본문으로 이동

약시: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치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또한 20세 이상 성인에서 안과 검사상 발견되는 한 눈 시력상실의 가장 큰 원인이 소아기 약시일 정도로 시력 저하의 주요 원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ref>Chua B et al. Consequences of amblyopia on education, occupation, and long term vision loss. ''BJO''. 2004 Sep;88(9):1119-21. [https://pubmed.ncbi.nlm.nih.gov/15317699/ 연결]</ref>.
또한 20세 이상 성인에서 안과 검사상 발견되는 한 눈 시력상실의 가장 큰 원인이 소아기 약시일 정도로 시력 저하의 주요 원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ref>Chua B et al. Consequences of amblyopia on education, occupation, and long term vision loss. ''BJO''. 2004 Sep;88(9):1119-21. [https://pubmed.ncbi.nlm.nih.gov/15317699/ 연결]</ref>.
== 발생 기전 ==
== 발생 기전 ==
* 시각이 미숙한 시기에 형태시 결핍으로 시력 발달이 안되어 발생하는 한 눈 또는 두 눈 시력 저하
* 비정상적 두눈 상호작용 (abnormal binocular interaction) 으로 인한 한 눈 시력 저하이다. 즉, 시력이 발달할 수 있는 어린 시기에 망막에 또렷한 상이 맺히고 두 눈의 관계가 대등해야 두 눈의 시각이 정상적으로 발달할 수 있다.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 정신 물리학 연구 ===
=== 정신 물리학 연구 ===
30번째 줄: 33번째 줄:
* 기질 (organic) 약시 : 시력 저하가 있으면서 위에 언급한 약시를 일으킬만한 눈 이상이 발견되지 않고 세극등 현미경 검사, 검안경 검사 등에서도 이상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흔히 <span style='color:blue;'>약시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지만</span>, 약시 치료를 하면 어느 정도 시력 향상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는 가역적인 약시가 기질 약시인 비가역적 약시에 중첩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Kushner는 눈 매체, 망막, 시신경 등 이상이 명백하게 발견되는 기질적 원인에 의한 시력 저하가 있는 환자에서도 상대적 약시가 있어 가림 치료에 반응을 보인다고 하였다.
* 기질 (organic) 약시 : 시력 저하가 있으면서 위에 언급한 약시를 일으킬만한 눈 이상이 발견되지 않고 세극등 현미경 검사, 검안경 검사 등에서도 이상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흔히 <span style='color:blue;'>약시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지만</span>, 약시 치료를 하면 어느 정도 시력 향상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는 가역적인 약시가 기질 약시인 비가역적 약시에 중첩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Kushner는 눈 매체, 망막, 시신경 등 이상이 명백하게 발견되는 기질적 원인에 의한 시력 저하가 있는 환자에서도 상대적 약시가 있어 가림 치료에 반응을 보인다고 하였다.


== 치료 ==
== [[약시/치료|치료]] ==
[[약시/치료]] 참고
 
소아 감각 기능의 발달 특성 상 7~9세의 결정적 시기가 지나면 시각경로 신경계가 이미 고정, 확립되어 약시 치료의 성공률이 떨어진다<ref>Holmes JM et al; PEDIG. Effect of age on response to amblyopia treatment in children. Arch Ophthalmol. 2011 Nov;129(11):1451-7. [https://pubmed.ncbi.nlm.nih.gov/21746970/ 연결]</ref>. 따라서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할수록 치료 효과가 좋으며 여러 국가에서 영유아 건강검진에 시각검진이 포함되어 있다<ref>Eibschitz-Tsimhoni M et al. Early screening for amblyogenic risk factors lowers the prevalence and severity of amblyopia. ''J AAPOS''. 2000 Aug;4(4):194-9. [https://pubmed.ncbi.nlm.nih.gov/10951293/ 연결]</ref>. 국내에서도 국가에서 시행하는 영유아 건강검진, 한국 실명예방재단에서 시행하는 자가 시력 검진 도구를 이용한 자가 검진이 실시되고 있다.
소아 감각 기능의 발달 특성 상 7~9세의 결정적 시기가 지나면 시각경로 신경계가 이미 고정, 확립되어 약시 치료의 성공률이 떨어진다<ref>Holmes JM et al; PEDIG. Effect of age on response to amblyopia treatment in children. Arch Ophthalmol. 2011 Nov;129(11):1451-7. [https://pubmed.ncbi.nlm.nih.gov/21746970/ 연결]</ref>. 따라서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할수록 치료 효과가 좋으며 여러 국가에서 영유아 건강검진에 시각검진이 포함되어 있다<ref>Eibschitz-Tsimhoni M et al. Early screening for amblyogenic risk factors lowers the prevalence and severity of amblyopia. ''J AAPOS''. 2000 Aug;4(4):194-9. [https://pubmed.ncbi.nlm.nih.gov/10951293/ 연결]</ref>. 국내에서도 국가에서 시행하는 영유아 건강검진, 한국 실명예방재단에서 시행하는 자가 시력 검진 도구를 이용한 자가 검진이 실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