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봄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구조)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마이봄샘 (meibomian gland; MG)'''{{각막}} | |||
== 구조 == | |||
MG는 윗눈꺼풀에 30~40개,아랫눈꺼풀에 20~30개가 존재하며, 46 눈꺼풀 테두리에 수직으로 단일행 분포한다. 마이봄샘은 눈꺼풀판의 전층을 가득 메우고 있으며,마이봄샘 개구부는 속눈썹 뒤, 점막-피부 경계 바로 앞에 위치한다. MG는 포도송이처럼 다발을 이루면서 겉보기에 노란색을 띠며, 최대 30~40개의 주머니 모양의 과리들이 주관과 교통하는 형태를 띤다. | |||
마이봄샘 관은 일부 각질화된 세포들이 4~6층으로 선상 분포한다. 꽈리세포 (acinar cell) 는 비각질 세포이고 구심성으로 분포하며 가장 안쪽의 세포들이 지질을 온분비 (holocrine) 한다.47 마이봄샘은 눈꺼풀판의 치밀한 아교질, 섬유모세포, 림프 공간, 신경 및 혈관들로 둘러싸여 있다. 탄력 조직, 민무늬근육 섬유와 눈둘레근의 일부분이 마이봄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 |||
사람의 마이봄샘의 구조는 [[윗눈꺼풀]]과 [[아랫눈꺼풀]] 사이에 차이점이 존재한다.윗눈꺼풀에는 평균 31개, 5.5mm의 길이로 존재하며, 아랫눈꺼풀에에는 평균 26개, 2mm의 길이로 눈꺼풀 테두리를 따라 일렬로 정렬되어 있으며, 눈꺼풀판의 전 두께를 차지하고 있다. 용적 측면에서 보면, 윗눈꺼풀의 용적이 아랫눈꺼풀의 용적보다 약 2배로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Kim JH et al. Changes of the MG according to age in the normal Korean population. ''JKOS'' 2015;56:13-8</ref>. | |||
배출구는 속눈썽의 후방, 피부점막 경계부의 바로 전방에 위치한다. 육안으로 노란색 포도송이 모양이고, 주머니 모양의 소엽 30~40개가 합쳐져 1개의 주관을 이룬다. 눈꺼풀판의 조밀한 아교질 섬유, 섬유모세포, 림프, 혈관, 신경 조직으로 둘러싸여 있다. 또한 탄성조직, 평활근 섬유, 눈둘레근의 일부와 얽혀 있다. | |||
== 역학 == | == 역학 == | ||
눈물충 내 지방층은 마이봄선으로부터 형성 되며, 다음과 같은 중요한 기능이 있다. | 눈물충 내 지방층은 마이봄선으로부터 형성 되며, 다음과 같은 중요한 기능이 있다. | ||
* 눈물의 증발을 지연시킨다. | |||
* 피부의 피지로부터 장벽을 형성하여 눈물층의 오염을 방지한다. | |||
* 눈물의 표면장력을 낮춰 물이 눈물층으로 잘 흡수되도록 도우며, 결과적으로 눈물충을 두럽게 유지한다. | |||
* 수면 시 눈꺼풀테 사이의 공간을 봉쇄한다. | |||
* 안구 표면에서 윤활 작용을 한다. | |||
* 눈물층의 퍼짐과 안정성을 증대시킨다<ref>Jester JV et al. In vivo biomicroscopy and photography of MGs in a rabbit model of MGD. ''IOVS''. 1982 May;22(5):660-7. [https://pubmed.ncbi.nlm.nih.gov/7076409/ 연결]</ref>. | |||
== 검사 및 진단 == | == 검사 및 진단 == | ||
Meibography는 눈꺼풀을 뒤집은 후 적외선 촬영 혹은 비디오 영상으로 투조하는 기법이며, 이를 통해 마이봄선의 형태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다. | Meibography는 눈꺼풀을 뒤집은 후 적외선 촬영 혹은 비디오 영상으로 투조하는 기법이며, 이를 통해 마이봄선의 형태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다. | ||
{{참고 | {{참고}} |
2024년 7월 20일 (토) 03:46 기준 최신판
마이봄샘 (meibomian gland; MG)[1]
구조
MG는 윗눈꺼풀에 30~40개,아랫눈꺼풀에 20~30개가 존재하며, 46 눈꺼풀 테두리에 수직으로 단일행 분포한다. 마이봄샘은 눈꺼풀판의 전층을 가득 메우고 있으며,마이봄샘 개구부는 속눈썹 뒤, 점막-피부 경계 바로 앞에 위치한다. MG는 포도송이처럼 다발을 이루면서 겉보기에 노란색을 띠며, 최대 30~40개의 주머니 모양의 과리들이 주관과 교통하는 형태를 띤다.
마이봄샘 관은 일부 각질화된 세포들이 4~6층으로 선상 분포한다. 꽈리세포 (acinar cell) 는 비각질 세포이고 구심성으로 분포하며 가장 안쪽의 세포들이 지질을 온분비 (holocrine) 한다.47 마이봄샘은 눈꺼풀판의 치밀한 아교질, 섬유모세포, 림프 공간, 신경 및 혈관들로 둘러싸여 있다. 탄력 조직, 민무늬근육 섬유와 눈둘레근의 일부분이 마이봄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사람의 마이봄샘의 구조는 윗눈꺼풀과 아랫눈꺼풀 사이에 차이점이 존재한다.윗눈꺼풀에는 평균 31개, 5.5mm의 길이로 존재하며, 아랫눈꺼풀에에는 평균 26개, 2mm의 길이로 눈꺼풀 테두리를 따라 일렬로 정렬되어 있으며, 눈꺼풀판의 전 두께를 차지하고 있다. 용적 측면에서 보면, 윗눈꺼풀의 용적이 아랫눈꺼풀의 용적보다 약 2배로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배출구는 속눈썽의 후방, 피부점막 경계부의 바로 전방에 위치한다. 육안으로 노란색 포도송이 모양이고, 주머니 모양의 소엽 30~40개가 합쳐져 1개의 주관을 이룬다. 눈꺼풀판의 조밀한 아교질 섬유, 섬유모세포, 림프, 혈관, 신경 조직으로 둘러싸여 있다. 또한 탄성조직, 평활근 섬유, 눈둘레근의 일부와 얽혀 있다.
역학
눈물충 내 지방층은 마이봄선으로부터 형성 되며, 다음과 같은 중요한 기능이 있다.
- 눈물의 증발을 지연시킨다.
- 피부의 피지로부터 장벽을 형성하여 눈물층의 오염을 방지한다.
- 눈물의 표면장력을 낮춰 물이 눈물층으로 잘 흡수되도록 도우며, 결과적으로 눈물충을 두럽게 유지한다.
- 수면 시 눈꺼풀테 사이의 공간을 봉쇄한다.
- 안구 표면에서 윤활 작용을 한다.
- 눈물층의 퍼짐과 안정성을 증대시킨다[3].
검사 및 진단
Meibography는 눈꺼풀을 뒤집은 후 적외선 촬영 혹은 비디오 영상으로 투조하는 기법이며, 이를 통해 마이봄선의 형태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