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공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치료 |
잔글 →원인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성인의 경우 대부분 특발성이나, 26~36% 정도는 전신 질환과 연관되어 있다<ref name=r4>Watson PG et al. Scleritis and episcleritis. ''BJO''. 1976 Mar;60(3):163-91. [https://pubmed.ncbi.nlm.nih.gov/1268179/ 연결]</ref><ref name=r5>Sainz de la Maza M et al. Severity of scleritis and episcleritis. ''Ophthalmology''. 1994 Feb;101(2):389-96. [https://pubmed.ncbi.nlm.nih.gov/8115160/ 연결]</ref><ref name=r6>Akpek EK et al. Severity of episcleritis and systemic disease association. ''Ophthalmology''. 1999 Apr;106(4):729-31. [https://pubmed.ncbi.nlm.nih.gov/10201593/ 연결]</ref>. 5~14%는 아교질 혈관 질환이나 혈관염과 연관 있으며, 그 중 류마티스 관절염이 가장 흔하다. 실제로 [[베게너 육아종증]]이나 [[코간 증후군]] 등의 많은 질환에서 혈관 상태에 대한 징후로 나타난다<ref name=r6 />. | 성인의 경우 대부분 특발성이나, 26~36% 정도는 전신 질환과 연관되어 있다<ref name=r4>Watson PG et al. Scleritis and episcleritis. ''BJO''. 1976 Mar;60(3):163-91. [https://pubmed.ncbi.nlm.nih.gov/1268179/ 연결]</ref><ref name=r5>Sainz de la Maza M et al. Severity of scleritis and episcleritis. ''Ophthalmology''. 1994 Feb;101(2):389-96. [https://pubmed.ncbi.nlm.nih.gov/8115160/ 연결]</ref><ref name=r6>Akpek EK et al. Severity of episcleritis and systemic disease association. ''Ophthalmology''. 1999 Apr;106(4):729-31. [https://pubmed.ncbi.nlm.nih.gov/10201593/ 연결]</ref>. 5~14%는 아교질 혈관 질환이나 혈관염과 연관 있으며, 그 중 류마티스 관절염이 가장 흔하다. 실제로 [[베게너 육아종증]]이나 [[코간 증후군]] 등의 많은 질환에서 혈관 상태에 대한 징후로 나타난다<ref name=r6 />. | ||
Alpek 등은 환자의 51%에서 안구 주사 (rosacea), 건성 각결막염, 아토피 각결막염 등의 안질환이 동반되었다고 보고하였다<ref name=r6 />. 환자의 1~4%가 염증 장질환, 특히 크론병과 연관되었고, 아토피 환자의 1~12%가 | Alpek 등은 환자의 51%에서 안구 주사 (rosacea), 건성 각결막염, 아토피 각결막염 등의 안질환이 동반되었다고 보고하였다<ref name=r6 />. 환자의 1~4%가 염증 장질환, 특히 크론병과 연관되었고, 아토피 환자의 1~12%가 상공막염과, 환자의 2~7%가 안구 대상포진과 연관되었다고 보고되었다<ref name=r4 /><ref name=r5 />. 공막에 안내 인공수정체를 고정하는 봉합을 한 경우에 상공막염이 발생한 예도 있다<ref>Leo RJ et al. Episcleritis and secondary glaucoma after transscleral fixation of a PC IOL. ''Arch Ophthalmol''. 1991 May;109(5):617. [https://pubmed.ncbi.nlm.nih.gov/2025156/ 연결]</ref>. | ||
5~16세 환아의 상공막염은 진단 당시 67%가 전신 질환과 관련되었다<ref>Read RW et al. Episcleritis in childhood. ''Ophthalmology''. 1999 Dec;106(12):2377-9. [https://pubmed.ncbi.nlm.nih.gov/10599674/ 연결]</ref>. 통풍은 상공막염과 관련성이 큰데 상공막염 환자의 11%에서 소변 요산 수치가 올라가고 7%가 임상적으로 통풍을 가지고 있다<ref name=r4 />. 결핵이나 한센병, 라임병<ref>Flach AJ et al. Episcleritis, conjunctivitis, and keratitis as ocular manifestations of Lyme disease. ''Ophthalmology''. 1990 Aug;97(8):973-5. [https://pubmed.ncbi.nlm.nih.gov/2205817/ 연결]</ref>, 브루셀라병<ref>Güngör K et al. Recurrent episcleritis a/w brucellosis. ''Acta Ophthalmol Scand''. 2001 Feb;79(1):76-8. [https://pubmed.ncbi.nlm.nih.gov/11167294/ 연결]</ref>, 볼거리<ref>NORTH DP. Ocular complications of mumps. ''BJO''. 1953 Feb;37(2):99-101. [https://pubmed.ncbi.nlm.nih.gov/13032360/ 연결]</ref>, 가시아메바,톡소플라스마<ref>Zimmerman LE. Ocular pathology of toxoplasmosis. Surv Ophthalmol. 1961;6:832-838</ref>, 치쿤구니야 바이러스 (Chikungunya virus)<ref>Mahendradas P, et al. Ocular manifestations a/w chikungunya. ''Ophthalmology''. 2008 Feb;115(2):287-91. [https://pubmed.ncbi.nlm.nih.gov/17631967/ | 5~16세 환아의 상공막염은 진단 당시 67%가 전신 질환과 관련되었다<ref>Read RW et al. Episcleritis in childhood. ''Ophthalmology''. 1999 Dec;106(12):2377-9. [https://pubmed.ncbi.nlm.nih.gov/10599674/ 연결]</ref>. 통풍은 상공막염과 관련성이 큰데 상공막염 환자의 11%에서 소변 요산 수치가 올라가고 7%가 임상적으로 통풍을 가지고 있다<ref name=r4 />. 결핵이나 한센병, 라임병<ref>Flach AJ et al. Episcleritis, conjunctivitis, and keratitis as ocular manifestations of Lyme disease. ''Ophthalmology''. 1990 Aug;97(8):973-5. [https://pubmed.ncbi.nlm.nih.gov/2205817/ 연결]</ref>, 브루셀라병<ref>Güngör K et al. Recurrent episcleritis a/w brucellosis. ''Acta Ophthalmol Scand''. 2001 Feb;79(1):76-8. [https://pubmed.ncbi.nlm.nih.gov/11167294/ 연결]</ref>, 볼거리<ref>NORTH DP. Ocular complications of mumps. ''BJO''. 1953 Feb;37(2):99-101. [https://pubmed.ncbi.nlm.nih.gov/13032360/ 연결]</ref>, 가시아메바,톡소플라스마<ref>Zimmerman LE. Ocular pathology of toxoplasmosis. Surv Ophthalmol. 1961;6:832-838</ref>, 치쿤구니야 바이러스 (Chikungunya virus)<ref>Mahendradas P, et al. Ocular manifestations a/w chikungunya. ''Ophthalmology''. 2008 Feb;115(2):287-91. [https://pubmed.ncbi.nlm.nih.gov/17631967/ | ||
| 57번째 줄: | 57번째 줄: | ||
* <span style='color:blue;'>국소 스테로이드 점안</span> : 스테로이드가 병의 증상 및 징후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개선시키지만, 상공막염은 비교적 병의 경과가 짧은 양성 질환이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다<ref>Buckley RJ. Atopic disease of the cornea. In : Cavanagh HD, ed. The Cornea : Transactions of the World Congres of the Cornea III, New York: Raven; 1988.</ref><ref>Watson PG et al. Treatment of episcleritis. A double-blind trial comparing betamethasone 0.1%, oxyphenbutazone 10%, and placebo eye ointments. ''BJO''. 1973 Nov;57(11):866-70. [https://pubmed.ncbi.nlm.nih.gov/4594316/ 연결]</ref>. Foster와 Sainz de la Maza는 스테로이드의 사용이 병의 재발 위험성을 증가시키고 더 심한 상공막염을 발생시키는 반동 효과를 우려하여 상공막염에서 국소 스테로이드 사용을 금기시했으며, NSAID를 권장했다. 반면 Jab 등은 처음에 염증이 자연적으로 줄어드는지 관찰한 후에 국소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0.1% fluorometholone을 하루에 네 번 점안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효과가 없는 경우 1% prednisolone acetate를 사용한다. 증상과 징후가 개선되면 빠르게 스테로이드 점안을 줄여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반복되는 환자에서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 * <span style='color:blue;'>국소 스테로이드 점안</span> : 스테로이드가 병의 증상 및 징후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개선시키지만, 상공막염은 비교적 병의 경과가 짧은 양성 질환이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다<ref>Buckley RJ. Atopic disease of the cornea. In : Cavanagh HD, ed. The Cornea : Transactions of the World Congres of the Cornea III, New York: Raven; 1988.</ref><ref>Watson PG et al. Treatment of episcleritis. A double-blind trial comparing betamethasone 0.1%, oxyphenbutazone 10%, and placebo eye ointments. ''BJO''. 1973 Nov;57(11):866-70. [https://pubmed.ncbi.nlm.nih.gov/4594316/ 연결]</ref>. Foster와 Sainz de la Maza는 스테로이드의 사용이 병의 재발 위험성을 증가시키고 더 심한 상공막염을 발생시키는 반동 효과를 우려하여 상공막염에서 국소 스테로이드 사용을 금기시했으며, NSAID를 권장했다. 반면 Jab 등은 처음에 염증이 자연적으로 줄어드는지 관찰한 후에 국소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0.1% fluorometholone을 하루에 네 번 점안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효과가 없는 경우 1% prednisolone acetate를 사용한다. 증상과 징후가 개선되면 빠르게 스테로이드 점안을 줄여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반복되는 환자에서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 ||
* 전신 NSAID : 국소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스테로이드 사용을 원하지 않는 환자의 경우 투여할 수 있다. 보통 indomethacin이나 flubiprofen이 효과가 있다. 사용 후 증상과 징후가 사라지면 바로 약을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과, 적어도 6개월간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절충안으로 증상 호전 시 약의 용량을 줄이면서 완전히 염증이 소실될 때까지 낮은 용량을 유지하다가 신속하게 끊는 방법이 있다. | * 전신 NSAID : 국소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스테로이드 사용을 원하지 않는 환자의 경우 투여할 수 있다. 보통 indomethacin이나 flubiprofen이 효과가 있다. 사용 후 증상과 징후가 사라지면 바로 약을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과, 적어도 6개월간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절충안으로 증상 호전 시 약의 용량을 줄이면서 완전히 염증이 소실될 때까지 낮은 용량을 유지하다가 신속하게 끊는 방법이 있다. | ||
* 국소 tacrolimus : 국소 스테로이드의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다. | * 선택적 cyclooxygenase (COX) 억제제 : 역시 상공막염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ref>Kolomeyer AM et al. COX inhibitors in the treatment of chronic non-infectious, non-necrotizing scleritis and episcleritis. ''Ocul Immunol Inflamm''. 2012 Aug;20(4):293-9. [https://pubmed.ncbi.nlm.nih.gov/22642498/ 연결]</ref>. | ||
* prednisolone, hydroxychloroquine, 낮은 용량의 methotrexate : 류마티스 관절염 같은 원인 질환이 있으면 치료하기 위해 사용할 필요가 있다. | * 국소 tacrolimus : 국소 스테로이드의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다<ref>Miyazaki D et al. Therapeutic effects of tacrolimus ointment for refractory ocular surface inflammatory diseases. ''Ophthalmology''. 2008 Jun;115(6):988-992.e5. [https://pubmed.ncbi.nlm.nih.gov/17900694/ 연결]</ref>. | ||
* 금연 : 흡연은 | |||
전신 질환과 연관되지 않은 상공막염에 강력한 전신 치료는 대부분 필요 없다 | |||
* prednisolone, [[하이드록시클로로퀸|hydroxychloroquine]], 낮은 용량의 methotrexate : 류마티스 관절염 같은 원인 질환이 있으면 치료하기 위해 사용할 필요가 있다. | |||
* 금연 : 흡연은 치료 반응을 늦추기 때문에 환자의 금연이 필요하다. | |||
{{참고}}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