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근시: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역학
잔글 치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9번째 줄: 19번째 줄:


연령별 굴절 이상의 빈도에서도 8~13세까지 근시 환자의 비율이 급격히 늘어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은 앞서 살펴보았던 굴절값이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연령과도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 고도 근시 환자의 비율은 이 연령대보다는 좀 더 높은 연령대인 12세 이후 환자들에서 비율이 높아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근시가 발생하고 나서 고도 근시에 이르기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됨을 시사한다. 근시 억제 치료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가 고도 근시 환자를 줄이는 것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12세 미만의 초기 학동기 소아에 대한 치료가 고도 근시 환자의 비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연령별 굴절 이상의 빈도에서도 8~13세까지 근시 환자의 비율이 급격히 늘어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은 앞서 살펴보았던 굴절값이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연령과도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 고도 근시 환자의 비율은 이 연령대보다는 좀 더 높은 연령대인 12세 이후 환자들에서 비율이 높아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근시가 발생하고 나서 고도 근시에 이르기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됨을 시사한다. 근시 억제 치료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가 고도 근시 환자를 줄이는 것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12세 미만의 초기 학동기 소아에 대한 치료가 고도 근시 환자의 비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을 추정해 볼 수 있다.
== 합병증 ==
=== 망막 박리 ===
근시 정도에 따라 망막 박리의 연간 발생율은 증가한다<ref>Arevalo JF et al. RRD after LASIK for the correction of myopia. ''Retina''. 2000;20(4):338-41. [https://pubmed.ncbi.nlm.nih.gov/10950409/ 연결]</ref>.
* > 4.74 D : 0.0015 %
* > 5.00 D : 0.07 %
* > 6.00 D : 3.2 %
=== 황반 변성 ===
=== [[근시성 중심와 분리|중심와 분리]] ===
=== 조기 발생 [[녹내장]] ===
=== 백내장<ref>Praveen MR et al. Prevalence of cataract type in relation to AL in subjects with high myopia and emmetropia in an Indian population. ''AJO''. 2008 Jan;145(1):176-181. [https://pubmed.ncbi.nlm.nih.gov/17936714/ 연결]</ref> ===
=== 시력 상실<ref>Wong TY et al. Epidemiology and disease burden of pathologic myopia and myopic CNV : an evidence-based systematic review. ''AJO''. 2014 Jan;157(1):9-25.e12. [https://pubmed.ncbi.nlm.nih.gov/24099276/ 연결]</ref> ===


== 치료 ==
== 치료 ==
근시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진행을 완전히 멈추거나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근시의 유행을 통제하기 위한 기존의 대부분의 전략은 야외 활동 시간을 늘리고<ref>Rose KA et al. Outdoor activity reduces the prevalence of myopia in children. ''Ophthalmology''. 2008 Aug;115(8):1279-85. [https://pubmed.ncbi.nlm.nih.gov/18294691/ 연결]</ref>, 근거리 작업 시간을 줄이는 것<ref>Wu PC et al. Epidemiology of Myopia. ''Asia Pac J Ophthalmol (Phila)''. 2016 Nov/Dec;5(6):386-393. [https://pubmed.ncbi.nlm.nih.gov/27898441/ 연결]</ref>을 목표로 하였다.
=== [[안경]] ===
=== [[안경]] ===
근시는 근거리에서는 선명한 상을 보기 때문에 약시를 덜 유발한다. 따라서 초등학교 고학년 이전 0.5 이상의 시력은 교정이 필요하지 않다. 과교정을 예방하기 위해 조절 마비 굴절 검사 (CR) 가 필요하며, 4m 시력표로 도수를 정한 경우 0.25 D 정도 적게 처방한다.
근시는 근거리에서는 선명한 상을 보기 때문에 약시를 덜 유발한다. 따라서 초등학교 고학년 이전 0.5 이상의 시력은 교정이 필요하지 않다. 과교정을 예방하기 위해 조절 마비 굴절 검사 (CR) 가 필요하며, 4m 시력표로 도수를 정한 경우 0.25 D 정도 적게 처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