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타잔틴 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임상 소견)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 : 정상 | *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 : 정상 | ||
* 전기 생리학적 검사 : 정상 및 비정상이 모두 관찰되었다. | * 전기 생리학적 검사 : 정상 및 비정상이 모두 관찰되었다. | ||
비록 임상적으로는 황반부에만 국한되어 보이지만 병리학적으로는 결정체가 망막 내층 전체와 섬모체에서도 발견되며 [[ | 비록 임상적으로는 황반부에만 국한되어 보이지만 병리학적으로는 결정체가 망막 내층 전체와 섬모체에서도 발견되며 [[뮬러세포]]의 위축과도 관련이 있다. 대부분 환자들은 증상이 없으며 시력 및 색각 검사 상 정상을 나타낸다. | ||
== 예후 == | == 예후 == | ||
투약을 중지하면 수년에 걸쳐 서서히 안저 소견이 정상으로 돌아온다. | 투약을 중지하면 수년에 걸쳐 서서히 안저 소견이 정상으로 돌아온다. | ||
{{참고}} | {{참고}} |
2025년 1월 2일 (목) 12:19 기준 최신판
칸타잔틴 망막병증 (canthaxantine retinopathy)[1]
용량
망막독성은 사용한 양과 관련이 있으며 보고에 의하면 37g 을 복용한 경우 50% 에서, 60g 을 복용한 경우 100% 에서 망막증이 생겼다고 한다. 망막 색소상피 (RPE) 의 국소적인 이상, 고안압증, 노인, β-카로틴의 동반 사용 등은 낮은 농도에서도 망막의 독성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2].
임상 소견
망막증은 작은 결정체가 황반부에 고리 모양으로 침착되며 양안 대칭으로 생긴다[3].
- FA : 정상
- 전기 생리학적 검사 : 정상 및 비정상이 모두 관찰되었다.
비록 임상적으로는 황반부에만 국한되어 보이지만 병리학적으로는 결정체가 망막 내층 전체와 섬모체에서도 발견되며 뮬러세포의 위축과도 관련이 있다. 대부분 환자들은 증상이 없으며 시력 및 색각 검사 상 정상을 나타낸다.
예후
투약을 중지하면 수년에 걸쳐 서서히 안저 소견이 정상으로 돌아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