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성안/치료: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2단계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델피 패널에서 제시한 건성안의 중증도 (level 1~4) 에 기반하여 건성안의 증상과 소견에 따른 건성안 진단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level에 따른 권장 치료 방법을 함께 제시하였다<ref>Hyon J et al; Korean Corneal Disease Study Group. Korean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ry eye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linical efficacy. ''KJO''. 2014 Jun;28(3):197-206. [https://pubmed.ncbi.nlm.nih.gov/24882952/ 연결]</ref>. | 델피 패널에서 제시한 건성안의 중증도 (level 1~4) 에 기반하여 건성안의 증상과 소견에 따른 건성안 진단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level에 따른 권장 치료 방법을 함께 제시하였다<ref>Hyon J et al; Korean Corneal Disease Study Group. Korean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ry eye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linical efficacy. ''KJO''. 2014 Jun;28(3):197-206. [https://pubmed.ncbi.nlm.nih.gov/24882952/ 연결]</ref>. | ||
=== TFOS DEWS II (2017) === | === TFOS DEWS II (2017) === | ||
2017년 발표된 Tear Film and Ocular Surface Society Dry Eye Workshop (TFOS DEWS II) 건성안 치료 리포트에서는 기존 level에 맞춘 치료보다는 단계별 치료를 제안하였다<ref>Jones L et al. TFOS DEWS II Management and Therapy Report. ''Ocul Surf''. 2017 Jul;15(3):575-628. [https://pubmed.ncbi.nlm.nih.gov/28736343/ 연결]</ref>. | 2017년 발표된 Tear Film and Ocular Surface Society Dry Eye Workshop (TFOS DEWS II) 건성안 치료 리포트에서는 기존 level에 맞춘 치료보다는 단계별 치료를 제안하였다<ref name=r4>Jones L et al. TFOS DEWS II Management and Therapy Report. ''Ocul Surf''. 2017 Jul;15(3):575-628. [https://pubmed.ncbi.nlm.nih.gov/28736343/ 연결]</ref>.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표. TFOS DEWS II 건성안 치료 알고리즘 | |+표. TFOS DEWS II 건성안 치료 알고리즘 | ||
| 69번째 줄: | 69번째 줄: | ||
2009년 미국 보고에 따르면, 가장 많이 팔리는 전신 약제 중 22가지가 건성안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 | 2009년 미국 보고에 따르면, 가장 많이 팔리는 전신 약제 중 22가지가 건성안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 | ||
다<ref>Gomes JAP et al. TFOS DEWS II iatrogenic report. ''Ocul Surf''. 2017 Jul;15(3):511-538. [https://pubmed.ncbi.nlm.nih.gov/28736341/ 연결]</ref>. 이러한 약제들이 건성안을 유발하는 기전에 대해시는 아직 완전히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항콜린 작용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항우울제, 항정신병제제, 항고혈압제 등이 주요 건성안 유발 약제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다양한 점안제 역시 독성 반응, 안구표면 염증 유발, 눈물층 안정성의 저해 등으로 있해 건성안을 유발할 수 있다.36 심한 건성안 증상 및 소견올 보이는 환자들에서 가능하다면 이러한 약제들의 변경 또는 중단이 건성안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다<ref>Gomes JAP et al. TFOS DEWS II iatrogenic report. ''Ocul Surf''. 2017 Jul;15(3):511-538. [https://pubmed.ncbi.nlm.nih.gov/28736341/ 연결]</ref>. 이러한 약제들이 건성안을 유발하는 기전에 대해시는 아직 완전히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항콜린 작용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항우울제, 항정신병제제, 항고혈압제 등이 주요 건성안 유발 약제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다양한 점안제 역시 독성 반응, 안구표면 염증 유발, 눈물층 안정성의 저해 등으로 있해 건성안을 유발할 수 있다.36 심한 건성안 증상 및 소견올 보이는 환자들에서 가능하다면 이러한 약제들의 변경 또는 중단이 건성안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
== 2단계 == | |||
=== 기존 눈물의 보존 치료 === | |||
* [[눈물점 폐쇄]] | |||
* 습실 안경 (moisture chamber spectacles) : 습실 안경은 안구표면 주변 공기 호름올 최소화하여 습윤 환정을 제공한다,특히 습도가 낮거나 대기 질이 안 좋은 경우에 보조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 | |||
=== 점안 [[스테로이드]] === | |||
=== [[마이봄샘 기능 장애]] 치료를 위한 기기 치료 === | |||
눈꺼풀 온찜질 및 세척에 대한 순응도가 떨어지는 환자들에게 마이봄샘 가열 진동 (thermal pulsation) | |||
== 3단계 == | |||
=== [[자가 혈청]] === | |||
=== [[혈소판 풍부 혈장]] === | |||
=== [[치료 콘택트렌즈]] === | |||
=== 경구 눈물 분비 촉진제 === | |||
[[필로카르핀]], cevimeline과 같은 콜린 작용 악제가 눈물샘의 눈물 분비를 자극하여 쇼그렌증후군 같은 수성 | |||
결핍 건성안에 사용될 수 있다. | |||
== 4단계 == | == 4단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