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눈물관 폐쇄: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폐쇄의 해부학적 위치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 눈물 펌프 : 눈물 배출의 정확한 원리가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배출 경로는 일종의 능동적인 펌프라고 생각되며, 안면 신경 마비와 경피증 (scleroderma) 이나 화상에 의한 눈꺼풀 경직은 눈물 배출 경로의 펌프 기능을 떨어뜨린다. | * 눈물 펌프 : 눈물 배출의 정확한 원리가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배출 경로는 일종의 능동적인 펌프라고 생각되며, 안면 신경 마비와 경피증 (scleroderma) 이나 화상에 의한 눈꺼풀 경직은 눈물 배출 경로의 펌프 기능을 떨어뜨린다. | ||
* 코눈물관 : 코눈물관은 염증, 외상이나 수술 후 반흔에 의해 막힐 수 있는데 정확한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제일 많다. 유아에서는 태어날 때 코눈물관 끝 부분에 있는 하스너 밸브가 뚫리지 않아 코눈물관 폐쇄가 발생할 수 있다. | * 코눈물관 : 코눈물관은 염증, 외상이나 수술 후 반흔에 의해 막힐 수 있는데 정확한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제일 많다. 유아에서는 태어날 때 코눈물관 끝 부분에 있는 하스너 밸브가 뚫리지 않아 코눈물관 폐쇄가 발생할 수 있다. | ||
== 분류 == | |||
* [[선천 코눈물관 폐쇄]] | |||
* [[원발 후천 코눈물관 폐쇄]] | |||
== 진단 == | == 진단 == | ||
=== 눈물 과다 분비와 흘림의 감별 === | === 눈물 과다 분비와 흘림의 감별 === | ||
| 12번째 줄: | 16번째 줄: | ||
== 증상 == | == 증상 == | ||
눈물 배출 장애 환자들은 눈물 흘림을 주소로 안과를 찾아오게 된다. 눈물이 많으면 보이는 사물이 흐려지고 뺨으로 흘러 넘치게 되어 환자들은 일상 생활에 많은 불편을 느끼게 된다. 눈물길의 폐쇄로 [[눈물 주머니]]에 화농성 분비물이 차게 되면 특히 아침에 눈곱이 많이 끼며 환자들은 눈물 주머니를 눌러 분비물을 배출시키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하기도 한다. | 눈물 배출 장애 환자들은 눈물 흘림을 주소로 안과를 찾아오게 된다. 눈물이 많으면 보이는 사물이 흐려지고 뺨으로 흘러 넘치게 되어 환자들은 일상 생활에 많은 불편을 느끼게 된다. 눈물길의 폐쇄로 [[눈물 주머니]]에 화농성 분비물이 차게 되면 특히 아침에 눈곱이 많이 끼며 환자들은 눈물 주머니를 눌러 분비물을 배출시키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하기도 한다. | ||
== 치료 == | |||
* [[실리콘관 삽입술]] | |||
* [[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 | |||
{{참고}}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