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카르디아 각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위험 인자)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노카르디아 각막염 (Nocardia keratitis)''' | '''노카르디아 각막염 (Nocardia keratitis)'''{{각막}} | ||
== 역학 == | |||
노카르디아 균은 감염 각막염의 원인균으로 남부 아시아, 특히 인도 남부에서 종종 1.7~8.34%의 빈도로 보고되었는데<ref name=r2>Somani SN et al. Nocardia Keratitis. 2023 Jul 18.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5 Jan–. [https://pubmed.ncbi.nlm.nih.gov/31751092/ 연결]</ref>, 국내에서는 라식 후 발생한 각막염 1예<ref name=r3>김선웅 등, 라식 후 발생한 감염성 각막염의 임상 분석, ''한안지'' 2007;48(2):219-229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123 연결]</ref>, 신장 이식 환자에서 발생한 안내염 1예<ref>박혜련 등, 신장 이식 환자에서 발생한 내인성 Nocardia 안내염 1예, ''한안지'' 2003;44(4):998-1001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5352 연결]</ref> 이외에 특별히 보고된 적이 없다. | |||
== 위험 인자 == | == 위험 인자 == | ||
* 눈 외상 (가장 흔함) | * 눈 외상 (가장 흔함) : 흙에 의한 외상이 흔하다. | ||
* 이전의 눈 수술 : 백내장 수술<ref>Gokhale NS et al. Nocardia infection following PE. ''Indian J Ophthalmol''. 2007 Jan-Feb;55(1):59-61. [https://pubmed.ncbi.nlm.nih.gov/17189890/ 연결]</ref>, 레이저 각막 절삭 성형술, [[굴절 교정 레이저 각막 절제술|PRK]], [[전층 각막이식|PKP]]<ref>Jain V et al. Nocardia keratitis in a corneal graft. ''Eye (Lond)''. 2006 Dec;20(12):1385-6. [https://pubmed.ncbi.nlm.nih.gov/16397614/ 연결]</ref>, [[데스메막 박리 각막 내피 층판 이식술|DSEK]]<ref>Srirampur A et al. Retrocorneal abscess : an unusual presentation of Nocardia keratitis after DSEK. ''Can J Ophthalmol''. 2020 Apr;55(2):e61-e64. [https://pubmed.ncbi.nlm.nih.gov/31712046/ 연결]</ref>, [[데스메막 내피 이식술|DMEK]]<ref>Srirampur A et al. Management of Nocardia Interface Keratitis After DMEK. ''Cornea''. 2019 Dec;38(12):1599-1601. [https://pubmed.ncbi.nlm.nih.gov/31306288/ 연결]</ref>) | * 이전의 눈 수술 : 백내장 수술<ref>Gokhale NS et al. Nocardia infection following PE. ''Indian J Ophthalmol''. 2007 Jan-Feb;55(1):59-61. [https://pubmed.ncbi.nlm.nih.gov/17189890/ 연결]</ref>, 레이저 각막 절삭 성형술, [[굴절 교정 레이저 각막 절제술|PRK]], [[전층 각막이식|PKP]]<ref>Jain V et al. Nocardia keratitis in a corneal graft. ''Eye (Lond)''. 2006 Dec;20(12):1385-6. [https://pubmed.ncbi.nlm.nih.gov/16397614/ 연결]</ref>, [[데스메막 박리 각막 내피 층판 이식술|DSEK]]<ref>Srirampur A et al. Retrocorneal abscess : an unusual presentation of Nocardia keratitis after DSEK. ''Can J Ophthalmol''. 2020 Apr;55(2):e61-e64. [https://pubmed.ncbi.nlm.nih.gov/31712046/ 연결]</ref>, [[데스메막 내피 이식술|DMEK]]<ref>Srirampur A et al. Management of Nocardia Interface Keratitis After DMEK. ''Cornea''. 2019 Dec;38(12):1599-1601. [https://pubmed.ncbi.nlm.nih.gov/31306288/ 연결]</ref>) | ||
* 콘택트렌즈 착용 | * 콘택트렌즈 착용 | ||
* 스테로이드 점안제 사용 후 | * 스테로이드 점안제 사용 후 | ||
위험인자는 경제적, 지역적인 특수성이 있어 인도 | 위험인자는 경제적, 지역적인 특수성이 있어 인도 지역에서는 외상에 의한 경우가 많아 시골 지역에서 젊은 남자에게 흔히 발생하였으나 미국의 남부 플로리다 지역은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발생한 경우가 많았다<ref name=r2 /><ref name=r9>Adre E et al. Nocardia keratitis : amikacin nonsusceptibility, RFs, and treatment outcomes. ''J Ophthalmic Inflamm Infect''. 2022 Mar 5;12(1):11. [https://pubmed.ncbi.nlm.nih.gov/35247126/ 연결]</ref>.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일반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진행이 느린 경과를 보이지만, 드물게 공막까지 침범한 심한 경우도 있다. 초기에는 각막 표면에 과립형의 침윤이 모여서 다양한 크기의 흰색 침윤 덩어리를 만들게 되고 결국 각막 궤양이 되지만, 대개는 기질 표층에 국한된 경우가 많다. 기질 침윤 형태는 크리스마스 장식 화환과 같은 (wreath-like) 형태를 보이기도 하지만, 깃털과 같은 경계면을 보여 진균이나 마이코박테리아와도 유사한 점이 있다<ref>Chang EL et al. Nocardia keratitis mimicking SLK and HSV. ''AJO Case Rep''. 2021 Feb 13;22:101030. [https://pubmed.ncbi.nlm.nih.gov/33665477/ 연결]</ref><ref> | 일반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진행이 느린 경과를 보이지만, 드물게 공막까지 침범한 심한 경우도 있다. 초기에는 각막 표면에 과립형의 침윤이 모여서 다양한 크기의 흰색 침윤 덩어리를 만들게 되고 결국 각막 궤양이 되지만, 대개는 기질 표층에 국한된 경우가 많다. 기질 침윤 형태는 크리스마스 장식 화환과 같은 (wreath-like) 형태를 보이기도 하지만, 깃털과 같은 경계면을 보여 진균이나 마이코박테리아와도 유사한 점이 있다<ref>Chang EL et al. Nocardia keratitis mimicking SLK and HSV. ''AJO Case Rep''. 2021 Feb 13;22:101030. [https://pubmed.ncbi.nlm.nih.gov/33665477/ 연결]</ref><ref name=r3 />. | ||
== 치료 == | |||
기존에는 [[아미카신]] 점안약이 첫 번째로 선택되었으나 내성과 항생제 감수성 결과가 축적되면서 최근에는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 점안제가 권고되고 있다<ref name=r9 />. 이외에도 플루오르퀴놀론, 토브라마이신, 클로람페니콜 등의 복합사용이 보고되었다. 점안제의 사용은 충분히 긴 기간 동안 사용하여야 하는데, 기존의 보고에서는 아미카신의 점안으로 감염의 완전 회복까지 평균 38일이 걸린다고 하였다<ref name=r2 />. | |||
또한 주의할 점은 스테로이드의 사용이다. 스테로이드 사용은 병변의 재발, 각막 천공, 공막염, 안내염의 초래 등으로 나쁜 시력 예후와 연관되었다고 하였다. | |||
{{참고}} | {{참고}} |
2025년 7월 26일 (토) 04:31 기준 최신판
노카르디아 각막염 (Nocardia keratitis)[1]
역학
노카르디아 균은 감염 각막염의 원인균으로 남부 아시아, 특히 인도 남부에서 종종 1.7~8.34%의 빈도로 보고되었는데[2], 국내에서는 라식 후 발생한 각막염 1예[3], 신장 이식 환자에서 발생한 안내염 1예[4] 이외에 특별히 보고된 적이 없다.
위험 인자
- 눈 외상 (가장 흔함) : 흙에 의한 외상이 흔하다.
- 이전의 눈 수술 : 백내장 수술[5], 레이저 각막 절삭 성형술, PRK, PKP[6], DSEK[7], DMEK[8])
- 콘택트렌즈 착용
- 스테로이드 점안제 사용 후
위험인자는 경제적, 지역적인 특수성이 있어 인도 지역에서는 외상에 의한 경우가 많아 시골 지역에서 젊은 남자에게 흔히 발생하였으나 미국의 남부 플로리다 지역은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발생한 경우가 많았다[2][9].
임상 소견
일반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진행이 느린 경과를 보이지만, 드물게 공막까지 침범한 심한 경우도 있다. 초기에는 각막 표면에 과립형의 침윤이 모여서 다양한 크기의 흰색 침윤 덩어리를 만들게 되고 결국 각막 궤양이 되지만, 대개는 기질 표층에 국한된 경우가 많다. 기질 침윤 형태는 크리스마스 장식 화환과 같은 (wreath-like) 형태를 보이기도 하지만, 깃털과 같은 경계면을 보여 진균이나 마이코박테리아와도 유사한 점이 있다[10][3].
치료
기존에는 아미카신 점안약이 첫 번째로 선택되었으나 내성과 항생제 감수성 결과가 축적되면서 최근에는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 점안제가 권고되고 있다[9]. 이외에도 플루오르퀴놀론, 토브라마이신, 클로람페니콜 등의 복합사용이 보고되었다. 점안제의 사용은 충분히 긴 기간 동안 사용하여야 하는데, 기존의 보고에서는 아미카신의 점안으로 감염의 완전 회복까지 평균 38일이 걸린다고 하였다[2].
또한 주의할 점은 스테로이드의 사용이다. 스테로이드 사용은 병변의 재발, 각막 천공, 공막염, 안내염의 초래 등으로 나쁜 시력 예후와 연관되었다고 하였다.
참고
- ↑ 각막 4판, 2024 (한국 각막 학회, 일조각)
- ↑ 2.0 2.1 2.2 Somani SN et al. Nocardia Keratitis. 2023 Jul 18.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5 Jan–. 연결
- ↑ 3.0 3.1 김선웅 등, 라식 후 발생한 감염성 각막염의 임상 분석, 한안지 2007;48(2):219-229 연결
- ↑ 박혜련 등, 신장 이식 환자에서 발생한 내인성 Nocardia 안내염 1예, 한안지 2003;44(4):998-1001 연결
- ↑ Gokhale NS et al. Nocardia infection following PE. Indian J Ophthalmol. 2007 Jan-Feb;55(1):59-61. 연결
- ↑ Jain V et al. Nocardia keratitis in a corneal graft. Eye (Lond). 2006 Dec;20(12):1385-6. 연결
- ↑ Srirampur A et al. Retrocorneal abscess : an unusual presentation of Nocardia keratitis after DSEK. Can J Ophthalmol. 2020 Apr;55(2):e61-e64. 연결
- ↑ Srirampur A et al. Management of Nocardia Interface Keratitis After DMEK. Cornea. 2019 Dec;38(12):1599-1601. 연결
- ↑ 9.0 9.1 Adre E et al. Nocardia keratitis : amikacin nonsusceptibility, RFs, and treatment outcomes. J Ophthalmic Inflamm Infect. 2022 Mar 5;12(1):11. 연결
- ↑ Chang EL et al. Nocardia keratitis mimicking SLK and HSV. AJO Case Rep. 2021 Feb 13;22:101030.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