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흰점 망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흰점 망막염 (retinitis puntata albescens)'''{{망막}} 은 드물게 볼 수 있는 망막 질환으로서 1882년 Mooren<ref>Mooren A. Cited by Elwyn H. Disease of the Retina, 2nd ed., New York, The Blakiston Company, p.376~378, 1953.</ref>이 처음 보고한 이래 우리나라에서도 몇 차례 보고된 바가 있다<ref>정해륜 외, 백점상 망막염의 1가족례, 대한안과학회지, 제 9권 1호. p29~31. 1968.</ref>.
'''흰점 망막염 (retinitis puntata albescens, RPA)'''{{망막}} 은 드물게 볼 수 있는 망막 질환으로서 1882년 Mooren<ref>Mooren A. Cited by Elwyn H. Disease of the Retina, 2nd ed., New York, The Blakiston Company, p.376~378, 1953.</ref>이 처음 보고한 이래 우리나라에서도 몇 차례 보고된 바가 있다<ref>정해륜 외, 백점상 망막염의 1가족례, 대한안과학회지, 제 9권 1호. p.29~31. 1968.</ref><ref>박영관. 백점상 망막염의 1예. 대한안과학회지, 제 16권 2호. p.135~138. 1975.</ref><ref>김용규. 백점상 망막염. 대한안과학회지. 제 17권 3호. p.347~351. 1976.</ref>. 1910년 Lauber<ref>Lauber H. Die sogenannte Retinitis punctata albescens, ''Klin Mbl Augenh''. 1910.</ref>가 임상적으로 악성인 진행형의 흰점 망막염과, 양성인 정지형의 [[흰점 망막병증]]으로 구별하였다.
== 유전 ==
대부분 열성 유전으로 발생하며 극히 드문 예에서는 우성으로 유전된다. Nettleship<ref>Nettleship E. Retinitis Punctata Albescens and Retinitis Pigmentosa as affected by pregnancy. ''Arch Ophth''. 1934.</ref>에 의하면 근친 결혼의 경우에 23.5%, 유전에 의한 경우가 23%, 근친 결혼과 유전성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3~4% 였다고 한다.
== 관련 질환 ==
Laurence-Moon-Biedle 증후군, Mongolism, Oxalosis<ref>Carr RE et al. FA and vitamin A and oxalate levels in fundus albipunctatus. ''AJO''. 1976 Oct;82(4):549-58. [https://pubmed.ncbi.nlm.nih.gov/1086061/ 연결]</ref>, 비타민 A 결핍증<ref>Levy NS et al. Fundus albipunctatus and vitamin A deficiency. ''AJO''. 1974 Dec;78(6):926-9. [https://pubmed.ncbi.nlm.nih.gov/4548310/ 연결]</ref>, Freidreich's ataxia, Bassen-Kornzweig 증후군, Infantile nephrocalcinosis, Marginal crystalline corneal dystrophy of Bietti 등이 합병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안저 전반에 걸쳐 다양한 크기의 희고 노란 반점들이 관찰되어 마치 [[흰점 망막병증]]과 유사한 소견을 보인다.
안저 전반에 걸쳐 다양한 크기의 희고 노란 반점들이 관찰되어 마치 [[흰점 망막병증]]과 유사한 소견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