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피도 황반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 비정형 황반 결손증 (atypical macular coloboma)
* 비정형 황반 결손증 (atypical macular coloboma)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 역학 ==
발생 빈도, 인구 분포, 발병률에 관한 데이터들도 정확히 보고된 바 없다. 선천성이지만 가족력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ref>Liu Y et al. Congenital focal abnormalities of the retina and RPE. ''Eye (Lond)''. 2020 Nov;34(11):1973-1988. [https://pubmed.ncbi.nlm.nih.gov/32367006/ 연결]</ref>.
== 병인 ==
== 병인 ==
정확한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정확한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대체로 무증상이다.
대체로 무증상이며, 주로 안과 검사 중에 우연히 진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참고}}
{{참고}}

2025년 9월 19일 (금) 02:21 판

토피도 황반병증 (Torpedo maculopathy, TM)[1] 은 1992년 Roseman과 Gass[2]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망막 색소상피 (RPE) 에 드물게 발생하는 저색소성의 단일 반점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적 질환이다.

  • 황반 주변부 알비노 반점 증후군 (paramacular albinotic spot syndrome)
  • 선천성 저멜라닌 반점 (congenital hypomelanotic freckle)
  • 비정형 황반 결손증 (atypical macular coloboma)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역학

발생 빈도, 인구 분포, 발병률에 관한 데이터들도 정확히 보고된 바 없다. 선천성이지만 가족력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3].

병인

정확한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임상 소견

대체로 무증상이며, 주로 안과 검사 중에 우연히 진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Roseman RL et al. Solitary hypopigmented nevus of the RPE in the macula. Arch Ophthalmol. 1992 Oct;110(10):1358-9. 연결
  3. Liu Y et al. Congenital focal abnormalities of the retina and RPE. Eye (Lond). 2020 Nov;34(11):1973-1988.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