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 색소상피 비대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전형적 (단독)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선천 색소상피 비대증 (congenital hypertrophy of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CHRPE)'''{{망막}}<ref>Buettner H. Congenital hypertrophy of the RPE. ''AJO''. 1975 Feb;79(2):177-89. [https://pubmed.ncbi.nlm.nih.gov/1115190/ 연결]</ref> | '''선천 색소상피 비대증 (congenital hypertrophy of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CHRPE)'''{{망막}}<ref>Buettner H. Congenital hypertrophy of the RPE. ''AJO''. 1975 Feb;79(2):177-89. [https://pubmed.ncbi.nlm.nih.gov/1115190/ 연결]</ref> | ||
1956년 Reese 등<ref>Jones IS et al. Benign melanomas of the RPE. ''AJO''. 1956 Aug;42(2):207-12. [https://pubmed.ncbi.nlm.nih.gov/13354690/ 연결]</ref>은 9예의 '망막 색소상피의 양성 흑색종'을 보고하였고, 1962년 Kurz 등은 이러한 병변은 [[망막 색소상피]]의 비대에 의한 것이라고 조직학적으로 밝혔다. | |||
== 원인 == | |||
정확히 밝혀져있지 않으나, 신생아와 어린이에서도 발견되는 것은 선천성임을 보여주는 증거가 된다<ref>Champion R et al. Congenital hypertrophy of the pigment epithelium : LM and ultrastructural findings in young children. ''Retina''. 1989;9(1):44-8. [https://pubmed.ncbi.nlm.nih.gov/2717803/ 연결]</ref>. | |||
== 분류 == | == 분류 == | ||
=== 전형적 | === 전형적 (단독) === | ||
선천적으로 여겨지나 증상이 없고, 중간 주변부 또는 주변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아 진단되는 중간 나이는 45세로 늦다. 명확한 경계의 납작하거나 다소 융기된 병변으로 대개 검게 색소 침착된 병변이나, 12%에서는 탈색소 병변으로 나타난다. 색소 침착된 경우의 43%에서는 탈색소된 공동 (lacunae) 이 관찰되며, 대부분 경계 부위에 탈색소된 반원 (halo) 이 관찰된다. 74~83% 정도의 단독 CHRPE 병변은 약간의 크기 증가를 보인다<ref>Shields CL et al. Solitary CHRPE : clinical features and frequency of enlargement in 330 patients. ''Ophthalmology''. 2003 Oct;110(10):1968-76. [https://pubmed.ncbi.nlm.nih.gov/14522773/ 연결]</ref>. | 선천적으로 여겨지나 증상이 없고, 중간 주변부 또는 주변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아 진단되는 중간 나이는 45세로 늦다. 명확한 경계의 납작하거나 다소 융기된 병변으로 대개 검게 색소 침착된 병변이나, 12%에서는 탈색소 병변으로 나타난다. 색소 침착된 경우의 43%에서는 탈색소된 공동 (lacunae) 이 관찰되며, 대부분 경계 부위에 탈색소된 반원 (halo) 이 관찰된다. 74~83% 정도의 단독 CHRPE 병변은 약간의 크기 증가를 보인다<ref>Shields CL et al. Solitary CHRPE : clinical features and frequency of enlargement in 330 patients. ''Ophthalmology''. 2003 Oct;110(10):1968-76. [https://pubmed.ncbi.nlm.nih.gov/14522773/ 연결]</ref>. | ||
=== 비전형적 | {{외부사진 | ||
|1=https://cdn.ncbi.nlm.nih.gov/pmc/blobs/ce04/7784997/5438bc532268/41433_2020_902_Fig1_HTML.jpg | |||
|2=A. 가장자리 내에 탈색소 고리가 있는 단독 평평한 색소성 원형 CHRPE, B. CHRPE 내부의 저색소성, 구멍 뚫린 듯한 반점 (lacunae) | |||
|3=Eye (Lond). 2020 Nov;34(11):1973-1988 | |||
|4=https://pubmed.ncbi.nlm.nih.gov/32367006/ | |||
}} | |||
=== 비전형적 (다발성) === | |||
'bear tracks' 라고도 불리며, 각각의 병변은 대개 단독 CHRPE보다 크기가 작고 공동이나 반원이 없으며 구역적 분포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시기능은 정상이며, 안정적인 병변으로 단순 경과 관찰만이 필요하다. | 'bear tracks' 라고도 불리며, 각각의 병변은 대개 단독 CHRPE보다 크기가 작고 공동이나 반원이 없으며 구역적 분포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시기능은 정상이며, 안정적인 병변으로 단순 경과 관찰만이 필요하다. | ||
== 감별 진단 == | == 감별 진단 == | ||
* [[맥락막 모반]] | * [[맥락막 모반]] | ||
* [[맥락막 흑색종]] | * [[맥락막 흑색종]] | ||
== [[가족성 선종 용종증]] (FAP) 과의 관계 == | |||
위와 같은 전형적인 단독 또는 다발성 CHRPE는 FAP 또는 대장암과는 관련이 없다<ref>Shields JA et al. Lack of association among typical CHRPE, adenomatous polyposis, and Gardner syndrome. ''Ophthalmology''. 1992 Nov;99(11):1709-13. [https://pubmed.ncbi.nlm.nih.gov/1333580/ 연결]</ref>. 그러나 처음에 CHRPE로 잘못 불리었으나, 위 경우들과는 달리 특징적으로 양안에 발생하며, 구역적 분포 양상이 아니고 무작위로 퍼져 있는 분포를 보이며, 경계가 불규칙하고 들쭉날쭉한 경우에 가족성 대장암과 연관이 있는 FAP 또는 [[가드너 증후군]]을 강력하게 의심하고 관련 검사를 진행해야 한다. 또한 FAP의 경우 100%에서 대장암이 발생하며, 70%에서 이러한 특징적인 안저 소견이 관찰된다. | |||
== 경과 == | == 경과 == | ||
일반적으로 예후는 매우 좋아서 대부분은 단순 경과 관찰만이 요구된다. 드물게 1% 정도에서 CHRPE 병변 내 결절 성장을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삼출물과 망막하액 등이 동반된다면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매우 드물지만 탈색소 결절 성장을 보인 환자에서 악성 종양이 진단된 증례 보고도 있다. | 일반적으로 예후는 매우 좋아서 대부분은 단순 경과 관찰만이 요구된다. 드물게 1% 정도에서 CHRPE 병변 내 결절 성장을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삼출물과 망막하액 등이 동반된다면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매우 드물지만 탈색소 결절 성장을 보인 환자에서 악성 종양이 진단된 증례 보고도 있다<ref>Shields JA et al. Adenocarcinoma arising from CHRPE. ''Arch Ophthalmol''. 2001 Apr;119(4):597-602. [https://pubmed.ncbi.nlm.nih.gov/11296028/ 연결]</ref>. | ||
{{참고}}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