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드록시클로로퀸 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기전 |
잔글 →임상 소견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하이드록시클로로퀸 망막병증 (hydroxychloroquine retinopathy; HCQR)''' | '''[[하이드록시클로로퀸]] 망막병증 (hydroxychloroquine retinopathy; HCQR)'''{{망막}} 은 [[클로로퀸 망막병증]]과 같은 양상들은 동일하나 <span style='color:blue;'>그 빈도는 낮은 것으로 보고</span>되고 있다. | ||
== 권장 용량 == | == 권장 용량 == | ||
추천되고 있는 약물의 용량은 하루 6.5mg/kg이며 소아에 있어서는 체중에 근거한 용량의 산출이 매우 중요하며 노인이나 전신 질환을 가진 사람에서는 정상적인 용량에서도 독성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 추천되고 있는 약물의 용량은 하루 6.5mg/kg이며 소아에 있어서는 체중에 근거한 용량의 산출이 매우 중요하며 노인이나 전신 질환을 가진 사람에서는 정상적인 용량에서도 독성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 ||
| 18번째 줄: | 16번째 줄: | ||
* VF : 그에 상응하는 암점과 안저자가형광촬영상 고형광 또는 저형광 병변이 관찰된다<ref>Melles RB et al. The risk of toxic retinopathy in patients on LT HCQ therapy. ''JAMA Ophthalmol''. 2014 Dec;132(12):1453-60. [https://pubmed.ncbi.nlm.nih.gov/25275721/ 연결]</ref>. | * VF : 그에 상응하는 암점과 안저자가형광촬영상 고형광 또는 저형광 병변이 관찰된다<ref>Melles RB et al. The risk of toxic retinopathy in patients on LT HCQ therapy. ''JAMA Ophthalmol''. 2014 Dec;132(12):1453-60. [https://pubmed.ncbi.nlm.nih.gov/25275721/ 연결]</ref>. | ||
* mfERG : 해당 영역 양성파의 진폭감소가 관찰된다<ref>Kellner U et al. FAF and mfERG for early detection of retinal alterations in patients using CQ/HCQ. ''IOVS''. 2006 Aug;47(8):3531-8. [https://pubmed.ncbi.nlm.nih.gov/16877425/ 연결]</ref>. | * mfERG : 해당 영역 양성파의 진폭감소가 관찰된다<ref>Kellner U et al. FAF and mfERG for early detection of retinal alterations in patients using CQ/HCQ. ''IOVS''. 2006 Aug;47(8):3531-8. [https://pubmed.ncbi.nlm.nih.gov/16877425/ 연결]</ref>. | ||
* FAF : 황반 중심부에서 중심주위 고리 모양 (pedcentral ring) 의 증가된 자가 형광이 나타난다. 이는 다초점 망막 전위도에서 진폭이 감소된 지역과 일치하고 OCT상 시세포 외절 및 내절의 중심 주위 손상과도 일치한다. 병이 더욱 진행하면 이 중심 주위의 자가 형광이 감소 혹은 증가된 상태와 더불어 더욱 반점 모양 (mottled appearance) O| 나타난다.59,60 최근 Ahn 등61은 광시야 안저 자가 형광 영상이 클로로퀸 망막병증의 평가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였다. | |||
== 선별 검사 == | == 선별 검사 == | ||
미국 안과학회에서 2016년 개정되어 발표한 HCQR 선별 검사 지침<ref>Marmor MF et al; AAO. Recommendations on Screening for CQ and HCQR (2016 Revision). ''Ophthalmology''. 2016 Jun;123(6):1386-94. [https://pubmed.ncbi.nlm.nih.gov/26992838/ 연결]</ref>에 따르면, HCQ 복용 시작 후 1년 안에 안저 검사를 포함한 기초 검사를 시행하여 기존 망막 조직 손상 여부를 확인한 후, 복용 5년 뒤부터 매년 선별 검사를 권고한다. 평균 하루 복용량 5 mg/kg 초과 고용량 복용자, 신장 질환 병력, Tamoxifen 복용 여부 등을 확인하여 선별검사 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선별검사 목록으로는 자동 시야 검사와 SD-OCT가 사용되고, 필요시 mfERG 또는 FAF이 권고된다.또한 새로운 선별검사로 자동시야검사에 비해 특정 망막 영역에 해당하는 암점을 세밀하게 평가하는 microperimetry와 원추세포의 배열을 직접 촬영하여 원추세포의 손상 정도를 확인하는 adaptive optics retinal image가 소개되고 있다. | 미국 안과학회에서 2016년 개정되어 발표한 HCQR 선별 검사 지침<ref>Marmor MF et al; AAO. Recommendations on Screening for CQ and HCQR (2016 Revision). ''Ophthalmology''. 2016 Jun;123(6):1386-94. [https://pubmed.ncbi.nlm.nih.gov/26992838/ 연결]</ref>에 따르면, HCQ 복용 시작 후 1년 안에 안저 검사를 포함한 기초 검사를 시행하여 기존 망막 조직 손상 여부를 확인한 후, 복용 5년 뒤부터 매년 선별 검사를 권고한다. 평균 하루 복용량 5 mg/kg 초과 고용량 복용자, 신장 질환 병력, Tamoxifen 복용 여부 등을 확인하여 선별검사 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선별검사 목록으로는 자동 시야 검사와 SD-OCT가 사용되고, 필요시 mfERG 또는 FAF이 권고된다.또한 새로운 선별검사로 자동시야검사에 비해 특정 망막 영역에 해당하는 암점을 세밀하게 평가하는 microperimetry와 원추세포의 배열을 직접 촬영하여 원추세포의 손상 정도를 확인하는 adaptive optics retinal image가 소개되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