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낭하 백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전낭하 백내장 (anterior subcapsular cataract; ASC)'''{{백내장}} | '''전낭하 백내장 (anterior subcapsular cataract; ASC)'''{{백내장}} | ||
== 원인 == | == 원인 == | ||
상피세포 | * 급성 녹내장 발작 : 상피하 수정체 혼탁은 급성 녹내장 발작 이후에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녹내장 수정체 혼탁 (glaukomflecken) 이라고 한다. 안압이 심하게 오르면 전낭 아래에 국한된 회색 혼탁이 생기는데, 조직학적으로 보면 상피세포 괴사가 일어난 국소 영역이다<ref>Anderson DR. Pathology of the glaucomas. ''BJO''. 1972 Mar;56(3):146-57. [https://pubmed.ncbi.nlm.nih.gov/5032753/ 연결]</ref>. | ||
* 방사선 조사, 염증 등 다른 손상 | |||
== 전낭하 플라크 == | |||
수정체 상피세포 증식 및 변성 이후 발생한 혼탁이다. 보통 자극, 포도막염 또는 외상에 의한 파열의 결과이다. 조직학적으로는 앞쪽 혹은 적도 부위 수정체 상피 플라크가 섬유성 조직의 얇은 층으로 보인다 (섬유성 화생)<ref>Font RL et al. A LM and EM study of ASC. ''AJO''. 1974 Dec;78(6):972-84. [https://pubmed.ncbi.nlm.nih.gov/4140696/ 연결]</ref>. 이러한 플라크가 다층으로 쌓이면서 플라크 사이 층에 정상 피질이 놓이면 반복 백내장 (reduplication cataract) 이 생기게 된다. | |||
== 조직학 == | |||
ASC에는 세포외 기질이 축적되어 있는데, 이 중에는 섬유아세포 모양을 가진 수정체 상피세포도 포함 되어 있다. 기질에는 아교질, 섬유 결합소, 피브릴린 등의 다양한 기질 성분과 여러 가지 성장인자가 있어서 수정체 상피세포에 신호를 전달하거나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ref>Ishida I et al. GF deposition in ASC. ''JCRS''. 2005 Jun;31(6):1219-25. [https://pubmed.ncbi.nlm.nih.gov/16039501/ 연결]</ref>. | |||
{{참고}} | {{참고}} | ||
2025년 11월 17일 (월) 04:53 기준 최신판
전낭하 백내장 (anterior subcapsular cataract; ASC)[1]
원인
- 급성 녹내장 발작 : 상피하 수정체 혼탁은 급성 녹내장 발작 이후에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녹내장 수정체 혼탁 (glaukomflecken) 이라고 한다. 안압이 심하게 오르면 전낭 아래에 국한된 회색 혼탁이 생기는데, 조직학적으로 보면 상피세포 괴사가 일어난 국소 영역이다[2].
- 방사선 조사, 염증 등 다른 손상
전낭하 플라크
수정체 상피세포 증식 및 변성 이후 발생한 혼탁이다. 보통 자극, 포도막염 또는 외상에 의한 파열의 결과이다. 조직학적으로는 앞쪽 혹은 적도 부위 수정체 상피 플라크가 섬유성 조직의 얇은 층으로 보인다 (섬유성 화생)[3]. 이러한 플라크가 다층으로 쌓이면서 플라크 사이 층에 정상 피질이 놓이면 반복 백내장 (reduplication cataract) 이 생기게 된다.
조직학
ASC에는 세포외 기질이 축적되어 있는데, 이 중에는 섬유아세포 모양을 가진 수정체 상피세포도 포함 되어 있다. 기질에는 아교질, 섬유 결합소, 피브릴린 등의 다양한 기질 성분과 여러 가지 성장인자가 있어서 수정체 상피세포에 신호를 전달하거나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