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선천 백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분류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대개 양안성이고 다른 내과적 문제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대개 양안성이고 다른 내과적 문제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 원인 ==
== 원인 ==
태내 감염, 선천성 대사 장애, 염색체 이상 및 유전적 소인에 의해 발생됨이 알려져 있으나, 아직 병인이 명확하지 않다. 고혈압, 아토피 등의 면역질환, 당뇨, 스테로이드 제제의 장기적 사용, 외상 등 다양한 원인에
태내 감염, 선천성 대사 장애, 염색체 이상 및 유전적 소인에 의해 발생됨이 알려져 있으나, 아직 병인이 명확하지 않다. 고혈압, 아토피 등의 면역질환, 당뇨, 스테로이드 제제의 장기적 사용, 외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나타날 수 있다.
 
== 분류 ==
== 분류<ref>Potter WS. Pediatric cataracts. ''Pediatr Clin North Am''. 1993 Aug;40(4):841-53. [https://pubmed.ncbi.nlm.nih.gov/8345970/ 연결]</ref> ==
형태는 원인과 예후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ref>Lambert SR et al. Infantile cataracts. ''Surv Ophthalmol''. 1996 May-Jun;40(6):427-58. [https://pubmed.ncbi.nlm.nih.gov/8724637/ 연결]</ref>.
형태는 원인과 예후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ref>Lambert SR et al. Infantile cataracts. ''Surv Ophthalmol''. 1996 May-Jun;40(6):427-58. [https://pubmed.ncbi.nlm.nih.gov/8724637/ 연결]</ref>.
* 선천 층판 백내장 : 수정체의 한 층이 혼탁하고 주위는 투명한 경우이다. 수정체 발생 중에 가해진 손상으로 생 긴 중심 핵백내장이 새로운 섬유가 자람에 따라 평생에 걸쳐 점점 더 수정체 속으로 깊숙하게 이동한다.
* 층판 백내장 : 수정체의 한 층이 혼탁하고 주위는 투명한 경우이다. 수정체 발생 중에 가해진 손상으로 생긴 중심 핵백내장이 새로운 섬유가 자람에 따라 평생에 걸쳐 점점 더 수정체 속으로 깊숙하게 이동한다. 수정체 구조의 층을 따라 생기며 주변부는 투명한 피질층으로 싸여 있다<ref>de Gottrau P et al. Congenital zonular cataract. Clinicopathologic correlation w EM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Arch Ophthalmol''. 1993 Feb;111(2):235-9. [https://pubmed.ncbi.nlm.nih.gov/8431162/ 연결]</ref>.
* 배아 핵백내장 : 임신 첫 두 달 동안 수정체에 손상이 발생하며 생기며 수정체 가운데에 작은 혼탁이 보인다.
* 배아 핵백내장 : 임신 첫 두 달 동안 수정체에 손상이 발생하며 생기며 수정체 가운데에 작은 혼탁이 보인다.
* 태아 핵백내장 (봉합 백내장) : 임신 3달째에 생긴 손상 으로 발생하며, 전후 Y 봉합면 사이 혹은 봉합선에서 발생한다. 이차적인 분지를 가지는 봉합 혼탁은 그 후 임신기에 생긴 기형적 손상을 의미한다. 이후 손상에 따라 생기는 핵 주위 층판은 핵을 감싸 안는 백내장 층으로, 수정체낭과는 동심원처럼 위치한다.
* 태아 핵백내장 (봉합 백내장) : 임신 3달째에 생긴 손상 으로 발생하며, 전후 Y 봉합면 사이 혹은 봉합선에서 발생한다. 이차적인 분지를 가지는 봉합 혼탁은 그 후 임신기에 생긴 기형적 손상을 의미한다. 이후 손상에 따라 생기는 핵 주위 층판은 핵을 감싸 안는 백내장 층으로, 수정체낭과는 동심원처럼 위치한다.
* 층판 백내장 : 수정체 구조의 층을 따라 생기며 주변부는 투명한 피질층으로 싸여 있다.
* 극성 백내장 : 전극 혹은 후극에 생긴다. 앞쪽 수정체 상피의 섬유성 화생으로 전극 백내장이 생긴다.
* 극성 백내장 : 전극 혹은 후극에 생긴다. 앞쪽 수정체 상피의 섬유성 화생으로 전극 백내장이 생긴다.
* 피라미드 백내장 : 배아 발생 시 동공막의 과형성에 의해 결합 조직의 원추체 덩어리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전낭하 플라크와 함께 상피세포의 부분적 결손이 보인다.
* 피라미드 백내장 : 배아 동공막 과형성인 경우에는 결합 조직의 원추 모양 덩어리가 전방으로 돌출해 있다. 조직학적으로 전낭하 플라크와 함께 국소적인 상피세포 결손을 보이기도 한다.
* 후극 백내장 : 일차 유리체 증식으로 인해 생긴 디스크 모양 혼탁이다. 후낭하 피질의 변성으로 혼탁이 진행될 수 있다. 미텐도르프점이라고 불리는 유리체 혈관 잔류물은 수정체 후면에 작고 진한 흰색 점으로 보이며, 임상적으로는 무의미하다.
* 후극 백내장 : 일차 유리체 증식으로 인해 생긴 디스크 모양 혼탁이다. 후낭하 피질의 변성으로 혼탁이 진행될 수 있다. 미텐도르프점이라고 불리는 유리체 혈관 잔류물은 수정체 후면에 작고 진한 흰색 점으로 보이며, 임상적으로는 무의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