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눈 대상포진: 두 판 사이의 차이

80번째 줄: 80번째 줄:
회복되지 않는 각막의 상처, 용해 그리고 천공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한다. 덜 심한 노출 각막염은 눈꺼풀 재건술이나 보툴리눔 (보톡스) 유발 눈꺼풀 처짐을 시행할 수 있다. 눈꺼풀 봉합술은 아물지 않는 각막 표면의 상처 치료에 아직도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접합제, 테이프, 띠 (strip) 등이 보조적으로 이용된다.
회복되지 않는 각막의 상처, 용해 그리고 천공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한다. 덜 심한 노출 각막염은 눈꺼풀 재건술이나 보툴리눔 (보톡스) 유발 눈꺼풀 처짐을 시행할 수 있다. 눈꺼풀 봉합술은 아물지 않는 각막 표면의 상처 치료에 아직도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접합제, 테이프, 띠 (strip) 등이 보조적으로 이용된다.


각막 천공의 경우 크기가 작으면 [[치료 콘택트렌즈]]나 각막편 이식 혹은 치료 목적의 각막 이식을 생각해볼 수 있다. [[심부 표층 각막 이식|DALK]]나 [[전층 각막이식]] (PKP)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대개 대상포진 눈감염에 있어서 전층 각막 이식 등의 치료는 시력과 관계 없이 수복적 (tectonic) 으로 치료한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시력 재활을 통해 좋은 시력과 함께 각막이 잘 유지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Reed 퉁은 대상포진. 안병증으로 인해 [[전층 각막이식|PKP]]을 받은 환자 12명을 3년간 관찰한 결과
각막 천공의 경우 크기가 작으면 [[치료 콘택트렌즈]]나 각막편 이식 혹은 치료 목적의 각막 이식을 생각해볼 수 있다. [[심부 표층 각막 이식|DALK]]나 [[전층 각막이식]] (PKP)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대개 대상포진 눈감염에 있어서 전층 각막 이식 등의 치료는 시력과 관계 없이 수복적 (tectonic) 으로 치료한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시력 재활을 통해 좋은 시력과 함께 각막이 잘 유지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Reed 퉁은 대상포진. 안병증으로 인해 [[전층 각막이식|PKP]]을 받은 환자 12명을 3년간 관찰한 결과 10명이 투명한 각막 상태를 유지했으며 9명은 20/80 이상의 시력을 유지했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가 일반적이지는 않아서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외에 연구가 더 필요하지만 인공 각막 이식이 눈 대상포진의 수술적 치료로도 고려될 수도 있다<ref>Pavan-Langston D et al. Boston keratoprosthesis treatment of herpes zoster neurotrophic keratopathy. ''Ophthalmology''. 2008 Feb;115(2 Suppl):S21-3. [https://pubmed.ncbi.nlm.nih.gov/18243928/ 연결]</ref>.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