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두 판 사이의 차이

24번째 줄: 24번째 줄:
=== [[눈 대상포진]] ===
=== [[눈 대상포진]] ===


== 검사 및 진단 ==
== 진단 ==
대개 특징적인 임상 소견과 환자의 증상으로 별 어려움 없이 진단할 수 있으므로 검사실 검사가 필요한 경우가 많지 않다. 그러나 HSV 감염, 농가진 등과 같은 병과 감별하기 힘든 경우 검사실 검사가 필요하다.
대개 특징적인 임상 소견과 환자의 증상으로 별 어려움 없이 진단할 수 있으므로 검사실 검사가 필요한 경우가 많지 않다. 그러나 HSV 감염, 농가진 등과 같은 병과 감별하기 힘든 경우 검사실 검사가 필요하다.
* 형태학적 검사 : 헤르페스 바이러스를 확인할 수 있으나 이들 간의 아형을 확인할 수는 없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Tzanck 도말로 여러 염색 방법을 동원하여 채취된 조직에서 거대 다핵세포와 특징적인 호산성의 핵내 봉입체를 발견하는 것이다. 염색은 H&E, 김자, papanicolaou, 라이트, toluidine blue 등을 사용한다. 이외에 광학 현미경이나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검사할 수 있다.
* 형태학적 검사 : 헤르페스 바이러스를 확인할 수 있으나 이들 간의 아형을 확인할 수는 없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Tzanck 도말로 여러 염색 방법을 동원하여 채취된 조직에서 거대 다핵세포와 특징적인 호산성의 핵내 봉입체를 발견하는 것이다. 염색은 H&E, 김자, papanicolaou, 라이트, toluidine blue 등을 사용한다. 이외에 광학 현미경이나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검사할 수 있다.
30번째 줄: 30번째 줄:
* 면역 혈청을 이용한 방법 : 감염이 급성인지 만성인지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여러 면역 혈청을 이용한 방법으로 IgM 항체가 4배 이상 증가된 것이 확인되면 급성 감염을 확진할 수 있다.
* 면역 혈청을 이용한 방법 : 감염이 급성인지 만성인지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여러 면역 혈청을 이용한 방법으로 IgM 항체가 4배 이상 증가된 것이 확인되면 급성 감염을 확진할 수 있다.
* 세포 매개 면역 상태를 확인 : VZV 항원을 환자의 말초 림프구에 노출시켜 증식 잠재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기술적으로 어려워 널리 이용되지 않는다.
* 세포 매개 면역 상태를 확인 : VZV 항원을 환자의 말초 림프구에 노출시켜 증식 잠재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기술적으로 어려워 널리 이용되지 않는다.
== 예방 접종 ==
== 예방 접종 ==
대개 약독 생 (live attenuated) 백신을 사용한다. 각 나라별로 프로그램이 다르며 백신의 효과도 세대를 거듭할수록 나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우리나라에서는 대상포진이 아직  필수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이 아니지만 60세 이상에 대해 1회 접종을 권장하며, 대상포진을 앓은 경우에는 회복 후 최소 12개월이 경과한 후에 접종할 것을 권장한다.
대개 약독 생 (live attenuated) 백신을 사용한다. 각 나라별로 프로그램이 다르며 백신의 효과도 세대를 거듭할수록 나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우리나라에서는 대상포진이 아직  필수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이 아니지만 60세 이상에 대해 1회 접종을 권장하며, 대상포진을 앓은 경우에는 회복 후 최소 12개월이 경과한 후에 접종할 것을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