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대상포진: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병인 |
잔글 →역학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눈 대상포진 (herpes zoster ophthalmicus, HZO)''' 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VZV) 의 3차 신경절을 통한 재활성화를 가리킨다. | '''눈 대상포진 (herpes zoster ophthalmicus, HZO)''' 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VZV) 의 3차 신경절을 통한 재활성화를 가리킨다. | ||
== 역학 == | == 역학 == | ||
대상포진의 10~20%가 눈 가지를 침범하고 이 중 20~70% 가 눈 증상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눈 침범은 나이, 성별, 피부 병변의 중증도와는 관계가 없다. | |||
== 병인 == | == 병인 == | ||
[[삼차신경|5번 뇌신경]]의 3개 가지 (눈, 위턱, 아래턱) 중 눈 가지가 가장 흔하게 침범된다89-90. 눈 가지는 코섬모체, 이마, 눈물샘 가지로 나누어지며, 이 중 이마 가지가 가장 흔하게 침범되고 눈물샘 가지가 가장 덜 침범된다88. 특히 이마 신경의 코섬모체 신경이 침범되면 이 신경이 분포하는 영역인 코, 결막, 공막, 각막, 홍채 및 포도막에 HZO의 대표적인 병변들이 생긴다. 피부 수포가 콧망울에 발생한 경우인 허친슨 징후는 코섬모체 신경 침범의 지표로 이용 된다88,91. 코섬모체 신경을 침범한 경우 50~76% 에서 안구 한병증이 발생하고, 침범하지 않은 경우에는 34% 에서만 안구 합병증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91-93. | [[삼차신경|5번 뇌신경]]의 3개 가지 (눈, 위턱, 아래턱) 중 눈 가지가 가장 흔하게 침범된다89-90. 눈 가지는 코섬모체, 이마, 눈물샘 가지로 나누어지며, 이 중 이마 가지가 가장 흔하게 침범되고 눈물샘 가지가 가장 덜 침범된다88. 특히 이마 신경의 코섬모체 신경이 침범되면 이 신경이 분포하는 영역인 코, 결막, 공막, 각막, 홍채 및 포도막에 HZO의 대표적인 병변들이 생긴다. 피부 수포가 콧망울에 발생한 경우인 허친슨 징후는 코섬모체 신경 침범의 지표로 이용 된다88,91. 코섬모체 신경을 침범한 경우 50~76% 에서 안구 한병증이 발생하고, 침범하지 않은 경우에는 34% 에서만 안구 합병증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91-9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