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대상포진: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임상 소견 |
잔글 →병인 |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병인 == | == 병인 == | ||
[[삼차신경|5번 뇌신경]]의 3개 가지 (눈, 위턱, 아래턱) 중 눈 가지가 가장 흔하게 침범된다<ref>Hope-Simpson RE. The Nature of Herpes Zoster : A Long-term Study and a New Hypothesis. ''Proc R Soc Med''. 1965 Jan;58(1):9-20. [https://pubmed.ncbi.nlm.nih.gov/14267505/ 연결]</ref><ref>Weller TH. Varicella and herpes zoster. Changing concepts of the natural history, control, and importance of a not-so-benign virus. ''N Engl J Med''. 1983 Dec 8;309(23):1434-40. [https://pubmed.ncbi.nlm.nih.gov/6195526/ 연결]</ref>. 눈 가지는 코섬모체, 이마, 눈물샘 가지로 나누어지며, 이 중 이마 가지가 가장 흔하게 침범되고 눈물샘 가지가 가장 덜 침범된다<ref name=r4>Edgerton AE. HZO : Report of Case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Trans Am Ophthalmol Soc''. 1942;40:390-439. [https://pubmed.ncbi.nlm.nih.gov/16693295/ 연결]</ref>. 특히 이마 신경의 코섬모체 신경이 침범되면 이 신경이 분포하는 영역인 코, 결막, 공막, 각막, 홍채 및 포도막에 HZO의 대표적인 병변들이 생긴다. 피부 수포가 콧망울에 발생한 경우인 허친슨 징후는 코섬모체 신경 침범의 지표로 이용된다<ref name=r4 /> | [[삼차신경|5번 뇌신경]]의 3개 가지 (눈, 위턱, 아래턱) 중 눈 가지가 가장 흔하게 침범된다<ref>Hope-Simpson RE. The Nature of Herpes Zoster : A Long-term Study and a New Hypothesis. ''Proc R Soc Med''. 1965 Jan;58(1):9-20. [https://pubmed.ncbi.nlm.nih.gov/14267505/ 연결]</ref><ref>Weller TH. Varicella and herpes zoster. Changing concepts of the natural history, control, and importance of a not-so-benign virus. ''N Engl J Med''. 1983 Dec 8;309(23):1434-40. [https://pubmed.ncbi.nlm.nih.gov/6195526/ 연결]</ref>. 눈 가지는 코섬모체, 이마, 눈물샘 가지로 나누어지며, 이 중 이마 가지가 가장 흔하게 침범되고 눈물샘 가지가 가장 덜 침범된다<ref name=r4>Edgerton AE. HZO : Report of Case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Trans Am Ophthalmol Soc''. 1942;40:390-439. [https://pubmed.ncbi.nlm.nih.gov/16693295/ 연결]</ref>. 특히 이마 신경의 코섬모체 신경이 침범되면 이 신경이 분포하는 영역인 코, 결막, 공막, 각막, 홍채 및 포도막에 HZO의 대표적인 병변들이 생긴다. 피부 수포가 콧망울에 발생한 경우인 허친슨 징후는 코섬모체 신경 침범의 지표로 이용된다<ref name=r4 /><ref>Cobo M et al. Observations on the natural history of HZO. ''Curr Eye Res''. 1987 Jan;6(1):195-9. [https://pubmed.ncbi.nlm.nih.gov/3493883/ 연결]</ref>. 코섬모체 신경을 침범한 경우 50~76% 에서 안구 한병증이 발생하고, 침범하지 않은 경우에는 34% 에서만 안구 합병증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91-93.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