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도르래: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새 문서: '''도르래 (trochlea)''' 기관은 안와의 상비측에 위치하며 눈돌림근 중 상사근의 주행경로를 바꾸어 줌으로써 안구의 내회선, 외전 및 하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이다.2 {{참고}}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도르래 (trochlea)''' 기관은 안와의 상비측에 위치하며 눈돌림근 중 상사근의 주행경로를 바꾸어 줌으로써 안구의 내회선, 외전 및 하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이다.2
'''도르래 (trochlea)''' 기관은 안와의 상비측에 위치하며 눈돌림근 중 상사근의 주행경로를 바꾸어 줌으로써 안구의 내회선, 외전 및 하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이다<ref>Helveston EM et al. The trochlea. A study of the anatomy and physiology. ''Ophthalmology''. 1982 Feb;89(2):124-33. [https://pubmed.ncbi.nlm.nih.gov/7070784/ 연결]</ref>.
{{참고}}
{{참고}}

2025년 11월 24일 (월) 08:01 기준 최신판

도르래 (trochlea) 기관은 안와의 상비측에 위치하며 눈돌림근 중 상사근의 주행경로를 바꾸어 줌으로써 안구의 내회선, 외전 및 하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이다[1].

참고

  1. Helveston EM et al. The trochlea. A study of the anatomy and physiology. Ophthalmology. 1982 Feb;89(2):124-33.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