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동 각막 곡률 검사: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수동 각막 곡률 검사 (manual keratometry) == 검사 방법 == # 암실이나 반암실에서 수동 각막 곡률계 앞에 환자를 앉히고 턱받침대와 이마 고정대...)
 
잔글편집 요약 없음
 
9번째 줄: 9번째 줄:
# 만약 아래쪽 원들의 +가 동일 위치에 있지 않으면 난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축 조절기를 돌려 아래쪽 원들의 +가 일치되도록 한다.
# 만약 아래쪽 원들의 +가 동일 위치에 있지 않으면 난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축 조절기를 돌려 아래쪽 원들의 +가 일치되도록 한다.
# 이 때의 수평축, 수직축, 원통축의 눈금을 읽어 기록하며 D로 표시된 각막 전면의 굴절력은 환산표에 의해 곡률 반경으로 환산할 수 있다.
# 이 때의 수평축, 수직축, 원통축의 눈금을 읽어 기록하며 D로 표시된 각막 전면의 굴절력은 환산표에 의해 곡률 반경으로 환산할 수 있다.
{{외부 사진
|주소=https://www.takagieurope.com/wp-content/uploads/2017/06/KM-1-main.jpg
|세로=350
|제목=KM-1 LED manual keratometer
|출처=Takagi Europe
|링크=https://www.takagieurope.com/diagnostic-specialist/km-1-led-manual-keratometer/
}}

2020년 5월 12일 (화) 00:10 기준 최신판

수동 각막 곡률 검사 (manual keratometry)

검사 방법

  1. 암실이나 반암실에서 수동 각막 곡률계 앞에 환자를 앉히고 턱받침대와 이마 고정대로 머리를 고정시킨다.
  2. 한쪽 눈을 가린 후 검안경을 통하여 반사상이 환자의 각막 위에 비쳐지도록 조절한다.
  3. 초점 나사를 돌려 전진 또는 후퇴하여 3개의 원이 뚜럿이 나타나도록 한다.
  4. 이 때에 각막에 비추어진 세 개의 원 중 오른쪽 아래 원이 각막의 중심에 오도록 하며 각막 곡률계의 중앙에 나타나는 +표가 오른쪽 아래 원의 중심에 들어오도록 위, 아래, 왼쪽, 오른쪽으로 조절한 뒤 고정기로 고정한다.
  5. 왼쪽 아래 원의 오른쪽 +와 오른쪽 아래 원의 왼쪽 +가 겹치도록 수평자 조절기를 돌려 맞춘다.
  6. 위쪽 원의 아래 -와 오른쪽 아래 원의 위 -가 겹치도록 수직자 조절기를 돌려 맞춘다.
  7. 만약 아래쪽 원들의 +가 동일 위치에 있지 않으면 난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축 조절기를 돌려 아래쪽 원들의 +가 일치되도록 한다.
  8. 이 때의 수평축, 수직축, 원통축의 눈금을 읽어 기록하며 D로 표시된 각막 전면의 굴절력은 환산표에 의해 곡률 반경으로 환산할 수 있다.

틀:외부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