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 시신경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b>영양 시신경병증 (nutritional optic neuropathy)</b> 으로 진단하려면 영양 부족 상태가 오래 지속되었다는 증거가 있어야 한다. 만성 == 임상 양...)
 
잔글 (→‎종류)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영양 시신경병증 (nutritional optic neuropathy)</b> 으로 진단하려면 영양 부족 상태가 오래 지속되었다는 증거가 있어야 한다. 만성
<b>영양 시신경병증 (nutritional optic neuropathy)</b>
== 임상 양상 ==
== 임상 양상 ==
대개 두 눈에 동시에 발생하고 서서히 진행하며, 동통을 동반하지 않는다. 색각 이상이 초기에 나타나며 처음에는 주시하는 물체가 희미하게 보인다.
대개 두 눈에 동시에 발생하고 서서히 진행하며, 동통을 동반하지 않는다. 색각 이상이 초기에 나타나며 처음에는 주시하는 물체가 희미하게 보인다. 그 후 시력이 나빠지나, 대개 광각까지 상실하지는 않는다. 시야 결손은 주로 주시점 맹점 암점 형태로 나타나며, 두 눈에 동시에 오기 때문에 [[상대 구심 동공 운동 장애]]가 발견되지 않을 수 있다.
== 진단 ==
영양 부족 상태가 오래 지속되었다는 증거가 있어야 한다. 만성 알코올 중독, 흡수 장애 증후군, 과거 비만 수술, 편식 다이어트, 잘못된 채식주의, 우울증으로 인한 제한된 식사 등을 병력 청취를 통해 확인한다.
== 종류 ==
* [[유행 영양 시신경병증]]
* 비타민 B<sub>12</sub> 결핍 : 비타민 B<sub>12</sub>는 반드시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는데, 대개 간에 많이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영양 섭취 부족으로 실겨 이상이 오려면 상당한 시간이 지나야 한다. 채식만 하거나 장내 흡수율이 떨어진 경우에 발생하며, 시신경병증과 다른 신경 증상이 같이 온다. 음식으로 잘 치료되지 않는다. 이유를 알 수 없는 두 눈 시력 이상이 있다면 혈청 비타민 B<sub>12</sub>의 양을 측정해볼 필요가 있다.
* 티아민 (thiamine, 비타민 B<sub>1</sub>) 이 부족하면 시신경병증 뿐만 아니라 의식 변화, 보행 실조, 안구 운동 장애의 세 가지가 주 증상인 [[베르니케 뇌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외에 피리독신 (pyridoxine, 비타민 B<sub>6</sub>), niacin (비타민 B<sub>3</sub>), 엽산 (비타민 B<sub>9</sub>), riboflovain (비타민 B<sub>2</sub>) 이 결핍되었을 때도 시신경병증이 오나 대개 단독 결핍보다 병합된 영양소 결핍으로 인해 발생한다. 치료는 영양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다.

2020년 5월 14일 (목) 01:29 기준 최신판

영양 시신경병증 (nutritional optic neuropathy)

임상 양상

대개 두 눈에 동시에 발생하고 서서히 진행하며, 동통을 동반하지 않는다. 색각 이상이 초기에 나타나며 처음에는 주시하는 물체가 희미하게 보인다. 그 후 시력이 나빠지나, 대개 광각까지 상실하지는 않는다. 시야 결손은 주로 주시점 맹점 암점 형태로 나타나며, 두 눈에 동시에 오기 때문에 상대 구심 동공 운동 장애가 발견되지 않을 수 있다.

진단

영양 부족 상태가 오래 지속되었다는 증거가 있어야 한다. 만성 알코올 중독, 흡수 장애 증후군, 과거 비만 수술, 편식 다이어트, 잘못된 채식주의, 우울증으로 인한 제한된 식사 등을 병력 청취를 통해 확인한다.

종류

  • 유행 영양 시신경병증
  • 비타민 B12 결핍 : 비타민 B12는 반드시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는데, 대개 간에 많이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영양 섭취 부족으로 실겨 이상이 오려면 상당한 시간이 지나야 한다. 채식만 하거나 장내 흡수율이 떨어진 경우에 발생하며, 시신경병증과 다른 신경 증상이 같이 온다. 음식으로 잘 치료되지 않는다. 이유를 알 수 없는 두 눈 시력 이상이 있다면 혈청 비타민 B12의 양을 측정해볼 필요가 있다.
  • 티아민 (thiamine, 비타민 B1) 이 부족하면 시신경병증 뿐만 아니라 의식 변화, 보행 실조, 안구 운동 장애의 세 가지가 주 증상인 베르니케 뇌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외에 피리독신 (pyridoxine, 비타민 B6), niacin (비타민 B3), 엽산 (비타민 B9), riboflovain (비타민 B2) 이 결핍되었을 때도 시신경병증이 오나 대개 단독 결핍보다 병합된 영양소 결핍으로 인해 발생한다. 치료는 영양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