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 반응 분석기: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안구 반응 분석기 (ocular response analyzer; ORA) 는 비접촉 안압계의 일종으로, 정면에서 눈에 공기를 분출하고 난 후 각막이 전방 쪽으로 변...)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안구 반응 분석기 (ocular response analyzer; ORA) 는 [[비접촉 안압계]]의 일종으로, 정면에서 눈에 공기를 분출하고 난 후 각막이 전방 쪽으로 변형되었다 회복되는 과정에서 각막이 편평해지는 두 시점에서의 압력을 측정한다. 첫 번째 압력이 안압을 나타내며, 첫 번째와 두 번째 압력의 차이가 [[각막 이력]] (corneal hysteresis) 이다. | 안구 반응 분석기 (ocular response analyzer; ORA) 는 [[비접촉 안압계]]의 일종으로, 정면에서 눈에 공기를 분출하고 난 후 각막이 전방 쪽으로 변형되었다 회복되는 과정에서 각막이 편평해지는 두 시점에서의 압력을 측정한다. 첫 번째 압력이 안압을 나타내며, 첫 번째와 두 번째 압력의 차이가 [[각막 이력]] (corneal hysteresis) 이다. | ||
== 방법 == | |||
# 소프트렌즈를 착용했으면 제거하고, 넥타이를 했으면 느슨하게 한 후 환자를 기계 앞에 편안하게 앉게 한다. | |||
# 환자에게 눈을 뜨게 한 후 약간의 공기만 느낄 것이라고 설명한다. | |||
# 환자에게 붉은색에 둘러싸인 녹색 빛을 주시하게 하며, 이마를 수직으로 이마 지지대에 붙이도록 한다. | |||
# 눈을 깜빡이게 한 후 눈을 뜨게 하고 측정 버튼을 누른다. 결과 데이터가 옆의 컴퓨터에 표시된다. | |||
== 결과 == | |||
* IOPcc (corneal compensated IOP) | |||
* CH (corneal hysteresis) | |||
* CRF (corneal resistance factor) | |||
* IOPG (Goldmann correlated IOP) | |||
== 장점 == | == 장점 == | ||
각막 두께의 영향을 덜 받으며 [[골드만 압평 안압계]]의 안압과 상관 관계가 높지만 수 mmHg 더 높은 결과를 나타낸다. | 각막 두께의 영향을 덜 받으며 [[골드만 압평 안압계]]의 안압과 상관 관계가 높지만 수 mmHg 더 높은 결과를 나타낸다. | ||
== {{참고}} == | |||
# {{안과검사}} |
2020년 5월 29일 (금) 00:21 기준 최신판
안구 반응 분석기 (ocular response analyzer; ORA) 는 비접촉 안압계의 일종으로, 정면에서 눈에 공기를 분출하고 난 후 각막이 전방 쪽으로 변형되었다 회복되는 과정에서 각막이 편평해지는 두 시점에서의 압력을 측정한다. 첫 번째 압력이 안압을 나타내며, 첫 번째와 두 번째 압력의 차이가 각막 이력 (corneal hysteresis) 이다.
방법
- 소프트렌즈를 착용했으면 제거하고, 넥타이를 했으면 느슨하게 한 후 환자를 기계 앞에 편안하게 앉게 한다.
- 환자에게 눈을 뜨게 한 후 약간의 공기만 느낄 것이라고 설명한다.
- 환자에게 붉은색에 둘러싸인 녹색 빛을 주시하게 하며, 이마를 수직으로 이마 지지대에 붙이도록 한다.
- 눈을 깜빡이게 한 후 눈을 뜨게 하고 측정 버튼을 누른다. 결과 데이터가 옆의 컴퓨터에 표시된다.
결과
- IOPcc (corneal compensated IOP)
- CH (corneal hysteresis)
- CRF (corneal resistance factor)
- IOPG (Goldmann correlated IOP)
장점
각막 두께의 영향을 덜 받으며 골드만 압평 안압계의 안압과 상관 관계가 높지만 수 mmHg 더 높은 결과를 나타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