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경 연관 광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수술 <b>현미경 연관 광망막병증 (microscope related retinopathy)</b> == 역사 및 역학 == 수술 현미경 노출과 황반 손상과의 관련성은 1977년에 처음...)
 
잔글 (→‎FA)
10번째 줄: 10번째 줄:
노출된 빛의 조건과 환자 안저의 색소정도에 따라 다양하다. 대부분의 경우 겨우 알아볼 정도로 미미하지만, 아주 뚜렷한 소견을 보이기도 한다. 다른 형태의 광화학적 손상에서와 같이 임상적인 병변은 빛에 노출된 뒤 바로 나타나지 않고, 대개 24~48시간 내에 황백색 양상의 망막부종 혹은 경한 국소적인 색소성 변화를 볼 수있다. 이러한 병변은 망막 색소상피 부위에 존재하고, 때로는 장액 망막 박리가 동반될 수 있다. 망막의 광손상은 유착된 망막뿐 아니라 박리된 망막에도 일어날 수 있다.
노출된 빛의 조건과 환자 안저의 색소정도에 따라 다양하다. 대부분의 경우 겨우 알아볼 정도로 미미하지만, 아주 뚜렷한 소견을 보이기도 한다. 다른 형태의 광화학적 손상에서와 같이 임상적인 병변은 빛에 노출된 뒤 바로 나타나지 않고, 대개 24~48시간 내에 황백색 양상의 망막부종 혹은 경한 국소적인 색소성 변화를 볼 수있다. 이러한 병변은 망막 색소상피 부위에 존재하고, 때로는 장액 망막 박리가 동반될 수 있다. 망막의 광손상은 유착된 망막뿐 아니라 박리된 망막에도 일어날 수 있다.
=== FA ===
=== FA ===
초기에는 분병한 과형광을 보이다기- 후기 에는 형광염색의 소견을 나타낸다. 형광 누출은 특정적인 소견이 아니다. 노출후 l주일 내에 병변은광범한색소얼룩혹은 저색소의 환으로 둘러싸인 과녁 모양의 과색소 양상의 특정적 소견을 보이다가, 첫 한 달 후 벙변은 점차 작아지고 다양한 색소 변화를나타낸다.
초기에는 분병한 과형광을 보이다가 후기 에는 형광염색의 소견을 나타낸다. 형광 누출은 특정적인 소견이 아니다. 노출 후 1주일 내에 병변은 광범한 색소 얼룩 혹은 저색소의 환으로 둘러싸인 과녁 모양의 과색소 양상의 특정적 소견을 보이다가, 첫 한 달 후 벙변은 점차 작아지고 다양한 색소 변화를나타낸다.
{{참고|망막}}
{{참고|망막}}

2020년 6월 4일 (목) 01:28 판

수술 현미경 연관 광망막병증 (microscope related retinopathy)

역사 및 역학

수술 현미경 노출과 황반 손상과의 관련성은 1977년에 처음으로 제기되었다. 1983년에 McDonald외 lrvine은 통상적인 백내장 수술 동안 수술 현미경에 의해 야기된 6례의 망막 광독성을 보고하였으며, 그 이후 백내장 수술, 각막 이식, 굴절 수술, 유리체 절제술 및 녹내장 수술 등과 같은 수술 현미경을 이용하는 안내 수술에 관련되어 망막독성이 많이 보고되었다. 백내장 수술 후 광망막병증의 전체적인 발생률은 7~28%로 추정되고 있다.

병인

고강도의 동축 빛이 망막 위에 맺힐 때 발생되는 광화학 손상에 의한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망막손상을 일으키는 요인을 크게 주인지와 부인자로 나눌 수 있으며, 부인자로는 빛의 파장, 산소 분압 및 온도 등이 포함된다. 망막은 짧은 파장의 빛에 훨씬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주 짧은 파장은 대부분의 에너지를 전달하므로 조직 내에서 산소 유리기가 더 많이 형성된다. 망막은 440nm (청색) 혹은 그 이상의 파장보다 315nm 피장의 자외선에 6배 더 민감히디고 보고된 바 있다. 이것 때문에 어떤 현미경은 400~410nm 파장 이하의 빛을 차단하는 황색 필터 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원숭이를 이용한 연구에서, 이러한 필터의 유무는 망막 병변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노출 시간의 역치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임상 양상

증상

대부분 증상은 나타나지 않으며, 의심되는 병변은 술 후 검사에서 발견된다. 증상을 보이는 경우는 술 후 1~2일째 시력 감퇴 혹은 중심 주변 암점으로 니타날 수 있다. 시력은 보통 수개월 후 정상으로 돌아오지만, 중심 주변 암점이 지속적으로 남을수도 있다.

안저 소견

노출된 빛의 조건과 환자 안저의 색소정도에 따라 다양하다. 대부분의 경우 겨우 알아볼 정도로 미미하지만, 아주 뚜렷한 소견을 보이기도 한다. 다른 형태의 광화학적 손상에서와 같이 임상적인 병변은 빛에 노출된 뒤 바로 나타나지 않고, 대개 24~48시간 내에 황백색 양상의 망막부종 혹은 경한 국소적인 색소성 변화를 볼 수있다. 이러한 병변은 망막 색소상피 부위에 존재하고, 때로는 장액 망막 박리가 동반될 수 있다. 망막의 광손상은 유착된 망막뿐 아니라 박리된 망막에도 일어날 수 있다.

FA

초기에는 분병한 과형광을 보이다가 후기 에는 형광염색의 소견을 나타낸다. 형광 누출은 특정적인 소견이 아니다. 노출 후 1주일 내에 병변은 광범한 색소 얼룩 혹은 저색소의 환으로 둘러싸인 과녁 모양의 과색소 양상의 특정적 소견을 보이다가, 첫 한 달 후 벙변은 점차 작아지고 다양한 색소 변화를나타낸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