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즈 수술법: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휴즈 수술법 (Hughes procedure) 은 윗눈꺼풀에서 만든 눈꺼풀판-결막 피판 (tarsoconjunctival flap) 을 아래로 내려서 아랫눈꺼풀 결손부의 뒤층판을...)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휴즈 수술법 (Hughes procedure) 은 윗눈꺼풀에서 만든 눈꺼풀판-결막 피판 (tarsoconjunctival flap) 을 아래로 내려서 아랫눈꺼풀 결손부의 뒤층판을 재건하고 결손부의 앞층판은 근육-피부 앞옮김 피판 (mucocutaneous advancement flap) 이나 전층 피부 이식으로 재건하는 방법이다. 1차 수술 후 윗, 아랫눈꺼풀이 서로 봉합되어 있으므로 앞이 가려서 볼 수가 없으며, 4~6주 후에 2차 수술로 윗, 아랫눈꺼풀을 분리해 주어야 한다. | <b>휴즈 수술법 (Hughes procedure)</b> 은 윗눈꺼풀에서 만든 눈꺼풀판-결막 피판 (tarsoconjunctival flap) 을 아래로 내려서 아랫눈꺼풀 결손부의 뒤층판을 재건하고 결손부의 앞층판은 근육-피부 앞옮김 피판 (mucocutaneous advancement flap) 이나 전층 피부 이식으로 재건하는 방법이다. 1차 수술 후 윗, 아랫눈꺼풀이 서로 봉합되어 있으므로 앞이 가려서 볼 수가 없으며, 4~6주 후에 2차 수술로 윗, 아랫눈꺼풀을 분리해 주어야 한다. | ||
== 장점 == | == 장점 == | ||
* 미용적으론 기능적으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 | * 미용적으론 기능적으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근육-피부 앞옮김 피판 : 결손부 주위 아랫눈꺼풀의 피부와 근육을 박리한 후 만들어진 근육-피부 피판을 눈꺼풀판-결막 피판 앞으로 끌어올린 후 가장자리의 주변의 눈꺼풀 피부와 7-0 black silk를 사용하여 봉합한다. 이 경우 충분하게 박리하여 결손 부위의 긴장을 해소시켜야 하며 결손 부위의 양쪽 아래 끝에 삼각형의 이완 절제(Burrow's traingle)를 실시하여 개귀모양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 :- 근육-피부 앞옮김 피판 : 결손부 주위 아랫눈꺼풀의 피부와 근육을 박리한 후 만들어진 근육-피부 피판을 눈꺼풀판-결막 피판 앞으로 끌어올린 후 가장자리의 주변의 눈꺼풀 피부와 7-0 black silk를 사용하여 봉합한다. 이 경우 충분하게 박리하여 결손 부위의 긴장을 해소시켜야 하며 결손 부위의 양쪽 아래 끝에 삼각형의 이완 절제(Burrow's traingle)를 실시하여 개귀모양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 ||
:6. 2차 수술 : | :6. 2차 수술 : | ||
== 부작용 및 합병증 == | == 부작용 및 합병증 == | ||
* 아랫눈꺼풀의 이완 | * 아랫눈꺼풀의 이완 | ||
25번째 줄: | 24번째 줄: | ||
* 윗눈꺼풀 뒤당김 | * 윗눈꺼풀 뒤당김 | ||
* 어린 아이에서의 약시 | * 어린 아이에서의 약시 | ||
{{참고|성형안과}} |
2020년 6월 22일 (월) 00:26 기준 최신판
휴즈 수술법 (Hughes procedure) 은 윗눈꺼풀에서 만든 눈꺼풀판-결막 피판 (tarsoconjunctival flap) 을 아래로 내려서 아랫눈꺼풀 결손부의 뒤층판을 재건하고 결손부의 앞층판은 근육-피부 앞옮김 피판 (mucocutaneous advancement flap) 이나 전층 피부 이식으로 재건하는 방법이다. 1차 수술 후 윗, 아랫눈꺼풀이 서로 봉합되어 있으므로 앞이 가려서 볼 수가 없으며, 4~6주 후에 2차 수술로 윗, 아랫눈꺼풀을 분리해 주어야 한다.
장점
- 미용적으론 기능적으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
단점
- 2차 수술이 필요하다.
적응증
- 50% 이상의 아랫눈꺼풀 결손
- 크기가 너무 커서 텐젤 반원형 회전 피판법[/a]으로는 재건이 불가능한 경우
수술 방법
- 국소 마취제 주사
- 아랫눈꺼풀 결손의 크기 측정
- 윗눈꺼풀의 눈꺼풀판-결막 피판 만들기
- 아랫눈꺼풀 뒤층판의 재건 : 완성된 눈꺼풀판-결막 피판을 아랫눈꺼풀 결손 부위로 끌어내린다. 피판의 양쪽 끝을 결손 부위의 양끝 눈꺼풀판 또는 구석 인대에 6-0 vicryl의 단속 봉합으로 고정한다. 아랫눈꺼풀의 가쪽 눈구석 인대가 없으면 가쪽 안와 가장자리의 골막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피판의 눈꺼풀판 아래 가장자리를 밑에 남아 있는 결막이나 아랫눈꺼풀 당김기와 봉합한다.
- 아랫눈꺼풀 앞층판의 재건 : 주변의 피부에 중간 정도의 여분이 있으면 근육-피부 앞옮김 피판을 사용하며, 여분이 없으면 전층 피부 이식을 사용한다.
- - 전층 피부 이식 : 반대편의 윗눈꺼풀, 귓바퀴 뒤에서 채취한 전층 피부 이식편으로 눈꺼풀판-결막 피판을 덮은 후 이식편의 가장자리를 주변의 눈꺼풀 피부와 7-0 black silk를 사용하여 연속 봉합한다. 전층 피부 이식편 위에 Telfa와 솜을 덮어 약간 압박되는 드레싱을 하여 일주일간 유지시킨다. 이것은 혈종이 생기고 경계 부위가 융기되는 것을 예방하여 이식편의 생존을 향상시킨다.
- - 근육-피부 앞옮김 피판 : 결손부 주위 아랫눈꺼풀의 피부와 근육을 박리한 후 만들어진 근육-피부 피판을 눈꺼풀판-결막 피판 앞으로 끌어올린 후 가장자리의 주변의 눈꺼풀 피부와 7-0 black silk를 사용하여 봉합한다. 이 경우 충분하게 박리하여 결손 부위의 긴장을 해소시켜야 하며 결손 부위의 양쪽 아래 끝에 삼각형의 이완 절제(Burrow's traingle)를 실시하여 개귀모양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 6. 2차 수술 :
부작용 및 합병증
- 아랫눈꺼풀의 이완
- 아랫눈꺼풀 뒤당김
- 아랫눈꺼풀 겉말림
- 눈꺼풀테의 이상
- 각결막염
- 윗눈꺼풀 뒤당김
- 어린 아이에서의 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