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경동맥 해면정맥동루: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분류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경동맥 해면정맥동루 (carotid cavernous fistula; CCF)</b>
<b>경동맥 해면정맥동루 (carotid cavernous fistula; CCF)</b>
== 분류 ==
== 분류 ==
* [[직접 경동맥 해면정맥동루|직접 (direct)]]
* [[직접 경동맥 해면정맥동루|직접 (direct)]] : 외상성, 고혈류형
* [[간접 경동맥 해면정맥동루|간접 (indirect)]]
* [[간접 경동맥 해면정맥동루|간접 (indirect)]] : 자발성, 저혈류형
Barrow는 네 가지 형으로 분류하였다.
* A형 : 내경동맥과 해면굴샛길이 직접 통함
* B형 : 내경동맥의 뇌막 분지 (meningeal br.) 와 통함
* C형 : 외경동맥의 뇌막 분지와 통함
* D형 : 내, 외경동맥의 뇌막 분지와 통함
 
== 증상 ==
* 직접 (고혈류형 지름길) : 안와와 결막의 부종, 상공막과 결막 정맥의 확장, 상공막 정맥압의 상승, 안압 상승, 망막 정맥 확장, 박동 안구 돌출, 잡음
* 간접 (저혈류형 지름길) : 증상과 징후가 경미하며 안압 상승이 없거나 안압 상승이 동반된 결막 부종과 결막 혈관 확장
 
== 진단 ==
특징적인 임상 소견과 안와 CT, MRI 에서 안구 돌출, 위눈정맥의 확장, 외안근 비대 소견 등으로 진단하고 혈관조영술을 통하여 확진한다. 혈관조영술은 확진, 치료 계획의 수립에 도움이 된다.
{{참고|성형안과}}
{{참고|성형안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