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빛간섭 단층 촬영: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8번째 줄: 8번째 줄:
* 빛을 이용해 얻은 정보를 시간과 강도에 따라 재구성한 허상이며 아직 조직학이 이룬 정도의 해상도는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 빛을 이용해 얻은 정보를 시간과 강도에 따라 재구성한 허상이며 아직 조직학이 이룬 정도의 해상도는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 조직학적 관찰의 경우 여러 염색 방법을 이용한 관찰이 가능하다.
* 조직학적 관찰의 경우 여러 염색 방법을 이용한 관찰이 가능하다.
== 급여 인정 사항 ==
다음과 같은 질환의 진단 또는 치료효과 판정을 위해 시행하는 경우에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기준 이외에 시행한 경우는 비급여토록 함.
* 망막 분야 : 황반 변성, 황반 부종, 황반 원공, 맥락망막염, 맥락막 악성 신생물, 망막 동맥류, 유전성 망막 질환, 망막박리, 망막종양 등
* 시신경 분야 : 시신경염, 선천성 시신경 질환, 유전성 시신경 질환, 유두부종, 시신경 위축, 시신경 관련 시력 장애 (약시 등), 시신경 종양 등
* 녹내장
== 검사 방법 ==
== 검사 방법 ==
# 산동 또는 무산동으로 촬영이 가능하다. 그러나 산동을 하면 빛이 홍채에 가려 발생하는 왜곡을 줄일 수 있다. 환자의 굴절 이상 정도에 따라 미리 설정값을 지정하여 주면 좋은 영상을 얻는 데 도움이 된다.
# 산동 또는 무산동으로 촬영이 가능하다. 그러나 산동을 하면 빛이 홍채에 가려 발생하는 왜곡을 줄일 수 있다. 환자의 굴절 이상 정도에 따라 미리 설정값을 지정하여 주면 좋은 영상을 얻는 데 도움이 된다.
17번째 줄: 23번째 줄:
* 낮은 반사도 : 신경절세포층, 속핵층, 바깥핵층
* 낮은 반사도 : 신경절세포층, 속핵층, 바깥핵층
* 내경계막 : 황반 중심을 제외하고는 신경섬유층과 잘 구분되어 보이지 않는다.<br />거짓 색조로 표시된 경우 높은 반사도 층은 붉은색을, 중간 반사도 층은 노란색 또는 녹색을 띠며, 낮은 반사도 층은 푸른색으로 표시된다. 회색조에서는 일반적으로 높은 반사도 층은 흰색으로, 낮은 반사도 층은 검은색으로 표시된다.
* 내경계막 : 황반 중심을 제외하고는 신경섬유층과 잘 구분되어 보이지 않는다.<br />거짓 색조로 표시된 경우 높은 반사도 층은 붉은색을, 중간 반사도 층은 노란색 또는 녹색을 띠며, 낮은 반사도 층은 푸른색으로 표시된다. 회색조에서는 일반적으로 높은 반사도 층은 흰색으로, 낮은 반사도 층은 검은색으로 표시된다.
{{참고|안과검사|망막}}
#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4-240호 (2014.12.30) [http://www.mohw.go.kr/upload/viewer/skin/doc.html?fn=1419918636049_20141230145036.hwp&rs=/upload/viewer/result/202008/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