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체낭 분리: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수정체낭 분리 (capsular delamination)</b> 는 강한 열에 노출, 염증, 외상 및 방사선 조사와 같은 원인에 의해 표층부 수정체 전낭층이 심층부 표피층으로부터 분리되어 나타나며 분리된 가장자리가 말려 올라간 형태를 보이고 전방에서 얇고 투명한 막이 떠다니는 것이 관찰되기도 한다. 수정체낭 분리에서는 녹내장 유발은 흔하지 않으며 거짓비늘 증후군과 구별하기 위해 true exfoliation of lens capsul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b>수정체낭 분리 (capsular delamination)</b> 는 강한 열에 노출, 염증, 외상 및 방사선 조사와 같은 원인에 의해 표층부 수정체 전낭층이 심층부 표피층으로부터 분리되어 나타나며 분리된 가장자리가 말려 올라간 형태를 보이고 전방에서 얇고 투명한 막이 떠다니는 것이 관찰되기도 한다. 수정체낭 분리에서는 녹내장 유발은 흔하지 않으며 거짓비늘 증후군과 구별하기 위해 true exfoliation of lens capsul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참고|각막}}
{{참고|각막}}
# 2020 안과 소식지 11월 [http://www.ophthalmology.org/board/list.html?num=4652&start=0&sort=top%20desc,tongVol+0%20desc&code=news 연결]
# 2020 안과 소식지 11월 ([http://www.ophthalmology.org/board/list.html?num=4652&start=0&sort=top%20desc,tongVol+0%20desc&code=news 연결])

2020년 11월 21일 (토) 00:19 판

수정체낭 분리 (capsular delamination) 는 강한 열에 노출, 염증, 외상 및 방사선 조사와 같은 원인에 의해 표층부 수정체 전낭층이 심층부 표피층으로부터 분리되어 나타나며 분리된 가장자리가 말려 올라간 형태를 보이고 전방에서 얇고 투명한 막이 떠다니는 것이 관찰되기도 한다. 수정체낭 분리에서는 녹내장 유발은 흔하지 않으며 거짓비늘 증후군과 구별하기 위해 true exfoliation of lens capsul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참고

  1. 2020 안과 소식지 11월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