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retinal deposits in preeclampsia and malignant HTN : implications for AMD: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논문 |Subretinal Deposits in Preeclampsia and Malignant Hypertension : Implications for AMD |임신 중독증과 악성 고혈압에서의 망막하 침착물 : 나이 관련...)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논문 | {{논문 | ||
|Subretinal Deposits in Preeclampsia and Malignant Hypertension : Implications for AMD | |Subretinal Deposits in Preeclampsia and Malignant Hypertension : Implications for AMD | ||
|임신 중독증과 악성 고혈압에서의 망막하 침착물 : [[나이 관련 황반 변성]]의 의미 | |임신 중독증과 악성 고혈압에서의 망막하 침착물 : [[나이 관련 황반 변성]] (AMD) 의 의미 | ||
|Ophthalmology | |Ophthalmology | ||
|Oscar Otero-Marquez, 정혜원 (건국대학교), 이승규, 최은영 (연세대학교), Gerardo Ledesma-Gil, Sharmina Alauddin, Minsub Lee (건국대학교), R Theodore Smith | |Oscar Otero-Marquez, 정혜원 (건국대학교), 이승규, 최은영 (연세대학교), Gerardo Ledesma-Gil, Sharmina Alauddin, Minsub Lee (건국대학교), R Theodore Smith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 }} | ||
== 목적 == | == 목적 == | ||
심한 임신 | 심한 임신 중독증 (PE) 과 악성 고혈압 (MHT) 에 이차적으로 나타난 고혈압성 맥락막병증이 있는 환자에서, OCT 에서의 구조와 단계 상 AMD 의 망막하 드루젠 모양 침착물 (subretinal drusenoid deposits; SDD) 과 비슷한 망막하 침착물의 발생율을 확인하였고, 이 허혈 맥락막병증이 AMD 의 SDD 의 병인에 갖는 의미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 ||
== 설계 == | == 설계 == | ||
후향적 단면 연구 | 후향적 단면 연구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적어도 한 눈에 망막하 침착물이 있는 33명의 임신 중독증 환자와 25명의 악성 고혈압 환자가 포함되었다. | 적어도 한 눈에 망막하 침착물이 있는 33명의 임신 중독증 환자와 25명의 악성 고혈압 환자가 포함되었다. | ||
== 방법 == | == 방법 == | ||
== 결론 == | |||
맥락막 허혈은 PE 와 MHT 맥락막병증이 있는 환자의 SDD 같은 병변의 배경 기전일 것이다. 이것은 | |||
{{참고}} | {{참고}} | ||
# https://pubmed.ncbi.nlm.nih.gov/33130003/ | # https://pubmed.ncbi.nlm.nih.gov/33130003/ | ||
[[분류:논문]][[분류:ophthalmology]] | [[분류:논문]][[분류:ophthalmology]] |
2020년 11월 27일 (금) 00:26 기준 최신판
Subretinal Deposits in Preeclampsia and Malignant Hypertension : Implications for AMD | |
---|---|
한글 제목 | 임신 중독증과 악성 고혈압에서의 망막하 침착물 : 나이 관련 황반 변성 (AMD) 의 의미 |
논문 | Ophthalmology |
저자 | Oscar Otero-Marquez, 정혜원 (건국대학교), 이승규, 최은영 (연세대학교), Gerardo Ledesma-Gil, Sharmina Alauddin, Minsub Lee (건국대학교), R Theodore Smith |
출판 날짜 | 2020 Feb 8 |
PMID, DOI | 33130003 |
목적
심한 임신 중독증 (PE) 과 악성 고혈압 (MHT) 에 이차적으로 나타난 고혈압성 맥락막병증이 있는 환자에서, OCT 에서의 구조와 단계 상 AMD 의 망막하 드루젠 모양 침착물 (subretinal drusenoid deposits; SDD) 과 비슷한 망막하 침착물의 발생율을 확인하였고, 이 허혈 맥락막병증이 AMD 의 SDD 의 병인에 갖는 의미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설계
후향적 단면 연구
대상
적어도 한 눈에 망막하 침착물이 있는 33명의 임신 중독증 환자와 25명의 악성 고혈압 환자가 포함되었다.
방법
결론
맥락막 허혈은 PE 와 MHT 맥락막병증이 있는 환자의 SDD 같은 병변의 배경 기전일 것이다. 이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