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텍스 각막 교정 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새 문서: 콘텍스 각막 교정 렌즈 (Contex OK lens) == 교정 원리 == 원하는 도수만큼 각막의 중심부를 눌러줌으로써 (sphericalization : 각막을 구와 같은... |
잔글 →처방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콘텍스 [[각막 교정 렌즈]] (Contex OK lens) | '''콘텍스 [[각막 교정 렌즈]] (Contex OK lens)''' | ||
== 교정 원리 == | == 교정 원리 == | ||
원하는 도수만큼 각막의 중심부를 눌러줌으로써 (sphericalization : 각막을 구와 같은 모양으로 변화시킴) 근시 및 난시를 교정하게 된다. | 원하는 도수만큼 각막의 중심부를 눌러줌으로써 (sphericalization : 각막을 구와 같은 모양으로 변화시킴) 근시 및 난시를 교정하게 된다. |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 flat K (FK) 선택 === | === flat K (FK) 선택 === | ||
두 경선의 K값 차이, 즉 각막 난시가 1.0D 정도이면 flatter meridian 즉 K값의 수치가 적은 쪽을 FK로 한다. | 두 경선의 K값 차이, 즉 각막 난시가 1.0D 정도이면 flatter meridian 즉 K값의 수치가 적은 쪽을 FK로 한다. | ||
예 : K = 43.00 / 44.00 → FK = 43.00 | 예 : K = 43.00 / 44.00 → FK = 43.00 | ||
그러나 난시가 1.0D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에는 FK를 조정한다. | 그러나 난시가 1.0D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에는 FK를 조정한다. | ||
예 : K = 43.00 / 44.50 → FK = 43.25 (또는 43.00) | 예 : K = 43.00 / 44.50 → FK = 43.25 (또는 43.00) | ||
K = 43.00 / 43.50 → FK = 42.75 (또는 43.00) | K = 43.00 / 43.50 → FK = 42.75 (또는 43.00) | ||
=== target power (TP) 선택 === | |||
원래 각막의 flat K 와 위의 방법으로 결정한 FK가 동일한 경우에는 자동 곡률계 (AR) 의 구면 도수를 TP로 하고 부가적으로 0.5D 를 더해준다. 난시 정도에 따라 FK가 달라지기 때문에 AR 상의 난시 도수는 계산되지 않는다. | |||
예 : K = 43.00 / 44.00, AR = -3.00 -0.50 ×180 → FK = 43.00, TP = -3.50 D | |||
그러나 FK가 원래의 각막 flat K보다 높을 때에는 높아진 도수만큼, 낮을 때에는 낮아진 도수만큼 반영한다. | |||
예 : K = 43.00 / 44.50, AR = -3.00 -1.00 ×180 → FK = 43.25, TP = -3.75 D | |||
K = 43.00 / 43.50, AR = -3.00 Dsph → FK = 42.75, TP = -3.25 D | |||
그러나 근시 진행이 빠른 성장기 학생이나 수면이 부족한 학생의 경우 시력이 충분히 나오지 않으면 기존의 TP보다 0.25~0.50D 더 올려도 좋다. | |||
=== 편심율 (e; eccentricity)결정 === | |||
지형도나 각막계의 temporal K로 편심율을 결정한다. 평균에 가까우면 (e=0.45~0.55) 진단 세트의 렌즈를 최초의 렌즈로 fitting 한다. 그러나 편심율이 낮거나 (0.4) 높을 때 (0.6) 는 렌즈의 편심율을 다르게 하거나 진단 세트에 있는 다른 렌즈로 fitting 해본다. | |||
만약 편심율이 낮은 각막의 경우는 세트의 렌즈로 43.00, -3.00, 5e로 하여 바람직하지 않을 때에는 FK를 가파르게, TP는 높게 합니다. | |||
43.00, -3.00, 5e → 43.00, -3.00, 4e 또는 43.50, -3.50, 5e | |||
만약 편심율이 높을 때에는 FK를 편평하게, TP는 낮게 합니다. | |||
43.00, -3.00, 5e → 43.00, -3.00, 6e 또는 42.50, -2.50, 5e | |||
=== 직경 (OAD) 결정 === | |||
만약 K값이 아주 가파르거나 편평하지 않을 때에는 진단 세트에 있는 직경 (10.6mm) 으로 한다. 그러나 아주 가파를 때는 (≥46.0D) 10.0mm, 아주 편평할 때는 (≤40.5D) 11.0mm 로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주 특별하지 않을 때에는 가능하면 10.6mm 로 한다. | |||
== 난시 교정용 렌즈 == | |||
기존의 각막 교정은 난시가 1.5D 이상인 경우에는 난시가 완전히 교정되지 않아 충분한 교정 시력이 나오지 않거나 상이 흔들려 보일 수 있다. 선택을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이 중요하다. | |||
* 각막 난시 ≥ 1.5 D 가, | |||
* 직난시 (WTR) 가 도난시 (ATR) 보다, | |||
* 윤부-윤부 난시가 중심부 난시보다 교정이 효과적이다. | |||
=== flat K (FK) === | |||
fitting 상태에 따라 달라지나 렌즈의 중심 이탈을 막기 위하여 기존의 교정에 비해 0.25~0.50 D 를 더 가파르게 한다. | |||
=== 목표 도수 (TP) === | |||
각막 난시가 굴절 난시와 비슷한 경우에는 1.0 D 정도를 더 올려준다. 그러나 각막 난시가 굴절 난시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난시 도수를 구면 보정하여 가감한다. (난시의 양은 각막 난시 기준) | |||
=== 편심율 === | |||
기존의 방법과 동일함 | |||
{{참고|콘택트렌즈}} | {{참고|콘택트렌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