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주 절제술/방법: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새 문서: == 고삐실 걸기 == 수술 부위를 노출시키기 위해 안구를 적절히 회전시켜 고정하는 방법으로 상직근의 힘줄이나 각막 윤부 경계 바로 앞의... |
잔글 →윤부 기저 결막편 =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녹내장}} | |||
== 고삐실 걸기 == | == 고삐실 걸기 == | ||
수술 부위를 노출시키기 위해 안구를 적절히 회전시켜 고정하는 방법으로 상직근의 힘줄이나 각막 윤부 경계 바로 앞의 각막에 8-0 vicryl 또는 8-0 silk 봉합사를 걸어서 당겨 둔다. 상직근의 힘줄에 고삐실을 걸면 때때로 [[결막하 출혈]]이 발생하므로 충분히 지혈을 하여야 한다. 각막에 고삐실을 걸 때는 각막 천공을 조심하여야 하며 눈의 위치 변동이 있으므로 12시 방향을 잘 기억해 두어야 한다. | 수술 부위를 노출시키기 위해 안구를 적절히 회전시켜 고정하는 방법으로 상직근의 힘줄이나 각막 윤부 경계 바로 앞의 각막에 8-0 vicryl 또는 8-0 silk 봉합사를 걸어서 당겨 둔다. 상직근의 힘줄에 고삐실을 걸면 때때로 [[결막하 출혈]]이 발생하므로 충분히 지혈을 하여야 한다. 각막에 고삐실을 걸 때는 각막 천공을 조심하여야 하며 눈의 위치 변동이 있으므로 12시 방향을 잘 기억해 두어야 한다. | ||
| 11번째 줄: | 12번째 줄: | ||
== 공막편 봉합 == | == 공막편 봉합 == | ||
== 결막 봉합 == | == 결막 봉합 == | ||
== 윤부 기저 결막편 == | |||
결막 절개 부위는 10-0 나일론 봉합사를 사용하여 연속 봉합한다. 나일론은 vicryl 같은 흡수 봉합사보다 조직 반응이 덜하고 연속 봉합은 단속 봉합보다 더욱 봉합 효과가 크다. 매듭은 절개 부위의 한쪽 끝부위에서 결찰하고, 봉합 형태는 연속 봉합 형태로 결막의 두 끝 부위를 관통하여 봉합한다. 매우 작은 맞물림을 만들어 봉합의 작은 부분만 결막의 바깥 부위에서 보이게 하여 봉합에 대한 조직 반응을 최소화한다. | |||
=== 원개 기저 결막편 === | |||
8-0 vicryl로 두 개의 날개 봉합이 윤부에 결막을 부착하는 데 사용된다. | |||
== 전방 재형성 == | == 전방 재형성 == | ||
결막편의 봉합 후 미리 만든 전방 천자를 통하여 평형염액을 전방내로 주입하여 전방을 깊게 만든다. 결막 봉합과 각막 절개창에서 방수가 새어나오는지는 2% 형광 물질로 검사한다. 만약 방수 누출이 있으면 10-0 나일론 단속 봉합을 추가한다. | 결막편의 봉합 후 미리 만든 전방 천자를 통하여 평형염액을 전방내로 주입하여 전방을 깊게 만든다. 결막 봉합과 각막 절개창에서 방수가 새어나오는지는 2% 형광 물질로 검사한다. 만약 방수 누출이 있으면 10-0 나일론 단속 봉합을 추가한다. | ||
| 17번째 줄: | 23번째 줄: | ||
점탄 물질의 사용은 전방 깊이를 유지시키고, 맥락막 박리를 예방하며 수술 후 전방 출혈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여과포의 반흔을 지연시킨다는 보고가 있으나, 평형염액을 사용하는 것과 특별한 차이가 없다. | 점탄 물질의 사용은 전방 깊이를 유지시키고, 맥락막 박리를 예방하며 수술 후 전방 출혈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여과포의 반흔을 지연시킨다는 보고가 있으나, 평형염액을 사용하는 것과 특별한 차이가 없다. |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