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각막 교정 렌즈/처방: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콘택트렌즈}} == 처방 방법 == # 정렬 커브의 만곡 반경을 먼저 정하고 각막의 BC와 도수에 따라 렌즈의 BC와 역커브를 정하는 방법이 있다....
 
잔글 조정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콘택트렌즈}}
{{콘택트렌즈}}
== 처방 방법 ==
== 처방 방법 ==
# 정렬 커브의 만곡 반경을 먼저 정하고 각막의 BC와 도수에 따라 렌즈의 BC와 역커브를 정하는 방법이 있다. 정렬 커브를 0.1mm 단위로 차이를 두어 시험 장착을 해본다.
=== flat K (FK) ===
# 시험 착용 렌즈는 각막의 비구면도에 따라 3가지 종류가 있어 각막의 비구면도에 따라 거기에 맞는 시험 착용 렌즈를 선택하여 착용시켜서 검사한다.
두 경선의 K값 차이 즉, 각막 난시가 1.0D 정도이면 더 편평한 쪽 (K값이 작은 쪽) 을 선택한다.
# BC, 도수, 비구면도에 따라 시험 착용 렌즈를 정하는데, 한 가지 BC에 역기하 커브, 정렬 커브가 다른 렌즈가 9개씩 있다. 형광 염색 소견에 따라 역기하 커브 및 정렬 커브를 조절하여 시험 착용 후 최종 처방한다.
K = 43.00 / 44.00 → FK = 43.00
# 각막 형태 검사와 거기에 맞는 눈물층의 두께를 계산하여 처방하는 방법이 있는데, 먼저 각막 형태 검사 상 각막 중심부 BC와 비구면도, 각막 크기, 도수를 처방 프로그램에 입력하면 시험 착용 렌즈를 지정해준다. 그것을 시험 착용하여 그 다음날 나타나는 각막 형태 검사를 보고 그대로 하든지, 상태가 맞지 않으면 바꾸든지 한다.
그러나 난시가 1.0D 초과 또는 미만인 경우에는 그에 따라 조정하여 선택한다.
K = 43.00 / 44.50 (Cyl 1.50) → FK = 43.25 (또는 43.00)
K = 43.00 / 43.50 (Cyl 0.50) → FK = 42.75 (또는 43.00)
=== target power (TP) ===
원래 각막의 flat K 와 위에서 결정한 FK가 동일한 경우에는 AR의 구면 도수를 TP로 결정하고 0.5D를 더해준다. 난시 정도에 따라 FK가 달라지기 때문에 TP를 결정할 때에는 AR상의 난시 도수는 계산되지 않는다.
K = 43.00 / 44.00, AR = -3.00 -0.50 ×180 → FK = 43.00, TP = -3.50 D
그러나 FK가 원래 각막의 flat K보다 높을 때에는 높아진 도수만큼 높게 그리고 낮을 때에는 낮게 한다.
K = 43.00 / 44.50, AR = -3.00 -1.00 ×180 → FK = 43.25, TP = -3.75 D
K = 43.00 / 43.50, AR = -3.00 Dsph → FK = 42.75, TP = -3.25 D
그러나 근시 진행이 빠른 성장기 학생이나 수면이 부족한 학생의 경우 시력이 충분히 나오지 않으면 기존의 TP보다 0.25~0.50 D 를 올려도 좋다.
=== 비구면도 (ecc) ===
각막 지형도나 각막계의 temporal K 로 비구면도를 결정한다.
=== 직경 (OVD) ===
K가 너무 가파르거나 편평하지 않을 때에는 시험 세트에 있는 직경 (10.6mm) 로 한다.
그러나 아주 가파를 때 (≥ 46.0 D) 는 10.0mm 로, 그리고 아주 편평할 때 (≤ 40.5 D) 는 11.0 mm 로 할 수 있다.
== 조정 ==
# 움직임을 보고 끼는 렌즈인지 느슨한 렌즈인지 판단한다.
# 중심 이탈 (decenteration) 은 어느 방향으로 생기며, 그 원인이 렌즈가 끼는 것인지 느슨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 교정 시력이 만족스럽지 못할 때 (저교정), 기본적인 원인은 apical touch의 문제이나, 그 원인이 렌즈가 끼는 것인지 느슨한 것인지를 판단하여 기본 곡률 (BC) 을 편평하게 할 것인지, 도수 (power) 를 올려줄 것인지를 결정한다.
 
43.00 / -3.00 / .5e
- tight : 편심율을 높게 (43.0 / -3.00 / .6e) 또는 BC를 편평하게 하고 도수를 낮게 (42.50 / -2.50 / .5e)
- loose : 편심율을 낮게 (43.0 / -3.00 / .4e) 또는 BC를 가파르세 하고 도수를 높게 (43.50 / -3.50 / .5e)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꽉 끼는 (tight) 렌즈||느슨한 (loose) 렌즈
|-
|눈 깜빡임 시 움직임||감소||과함
|-
|중심 이탈||수직, 상측 또는 이측||수평, 하측 또는 비측
|-
|기포||빈번||드물다.
|}
 
== 형광 염색 소견 ==
== 형광 염색 소견 ==
렌즈를 착용시켜 어느 정도 적응되어 눈물이 멈추고 나면 형광 염색약을 점안하여 각막과 렌즈의 상관 관계를 본다.
렌즈를 착용시켜 어느 정도 적응되어 눈물이 멈추고 나면 형광 염색약을 점안하여 각막과 렌즈의 상관 관계를 본다.
20번째 줄: 52번째 줄:
* 판독할 척도를 정한다. 대부분 제작 회사의 초기 척도는 너무 범위가 넓으므로 원하는 척도를 정하여 측정하면 더 정밀하게 판독할 수 있다.
* 판독할 척도를 정한다. 대부분 제작 회사의 초기 척도는 너무 범위가 넓으므로 원하는 척도를 정하여 측정하면 더 정밀하게 판독할 수 있다.
* 여러 가지 지도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여러 가지 지도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