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맥 폐쇄: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안동맥 폐쇄 (ophthalmic artery occlusion)
'''안동맥 폐쇄 (ophthalmic artery occlusion, OAO)'''{{망막}}
== 역학 ==
굉장히 드물며, 미용 목적의 안면부 필러 주입 후 발생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 원인 ==
== 원인 ==
경동맥 질환에 의한 색전이나 혈관염에 의하여 발생한다. 안동맥만 선택적으로 폐쇄되는지 또는 망막 동맥과 뒤섬모체 동맥이 다발성으로 함께 폐쇄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치 않으나 [[망막 동맥 폐쇄]] 환자의 약 5% 미만에서 안동맥 폐쇄가 관찰된다.
내경동맥 박리, 안와 털곰팡이증, 색전 등에 의하여 발생한다. 안동맥만 선택적으로 폐쇄되는지 또는 망막 동맥과 뒤섬모체 동맥이 다발성으로 함께 폐쇄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치 않으나 [[망막 동맥 폐쇄]] 환자의 약 5% 미만에서 안동맥 폐쇄가 관찰된다.
== 증상 ==
== 증상 ==
[[망막 중심 동맥 폐쇄]]보다 더 심한 시력 감소가 주증상으로 나타나고 광각까지 소실될 정도로 <span style='color:blue;'>심한 시력 상실</span>이 아주 급격히 발생한다.
[[망막 중심 동맥 폐쇄]]보다 더 심한 시력 감소가 주증상으로 나타나고 광각까지 소실될 정도로 <span style='color:blue;'>심한 시력 상실</span>이 아주 급격히 발생한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안저 검사에서 망막 전층이 허혈성 변화로 인해 하얗게 혼탁되어 보이고 <span style='color:blue;'>앵두 반점은 맥락막 혈류 장애가 같이 동반되므로 50%에서는 보이지 않는다</span>. 경우에 따라 폐쐐 후 시간이 지나면 맥락막 혈류가 회복되면서 앵두 반점이 관찰되기도 한다. [[망막 색소 상피]]에는 아무런 이상이 생기지 않는 망막 중심 동맥 폐쇄와 달리 폐쇄 후 수주가 경과하여 망막 혼탁이 사라지면 맥락막 혈류 장애로 인하여 이차적으로 망막 색소상피에 색소 변화가 발생한다. 또한 보다 심한 시신경 위축이 남게 된다.
안저 검사에서 망막 전층이 허혈성 변화로 인해 하얗게 혼탁되어 보이고 <span style='color:blue;'>앵두 반점은 맥락막 혈류 장애가 같이 동반되므로 50%에서는 보이지 않는다</span>. 경우에 따라 폐쐐 후 시간이 지나면 맥락막 혈류가 회복되면서 앵두 반점이 관찰되기도 한다. [[망막 색소 상피]]에는 아무런 이상이 생기지 않는 망막 중심 동맥 폐쇄와 달리 폐쇄 후 수주가 경과하여 망막 혼탁이 사라지면 맥락막 혈류 장애로 인하여 이차적으로 망막 색소상피에 색소 변화가 발생한다. 또한 보다 심한 시신경 위축이 남게 된다.
== 검사 및 진단 ==
== 검사 및 진단 ==
* FA : 망막 혈관 순환과 함께 맥락막 혈류도 지연되어 나타난다.
* FA : 망막 혈관 순환과 함께 맥락막 혈류도 지연되어 나타난다.
* ERG : b파는 물론 a파 모두가 감소하거나 소멸된다.
* ERG : b파는 물론 a파 모두가 감소하거나 소멸된다.
== 비수술적 치료 ==
== 치료 ==
치료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치료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 예후 및 합병증 ==
== 예후 및 합병증 ==
시력 예후는 매우 불량하다.
시력 예후는 매우 불량하다.
{{참고}}

2021년 8월 26일 (목) 08:25 판

안동맥 폐쇄 (ophthalmic artery occlusion, OAO)[1]

역학

굉장히 드물며, 미용 목적의 안면부 필러 주입 후 발생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원인

내경동맥 박리, 안와 털곰팡이증, 색전 등에 의하여 발생한다. 안동맥만 선택적으로 폐쇄되는지 또는 망막 동맥과 뒤섬모체 동맥이 다발성으로 함께 폐쇄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치 않으나 망막 동맥 폐쇄 환자의 약 5% 미만에서 안동맥 폐쇄가 관찰된다.

증상

망막 중심 동맥 폐쇄보다 더 심한 시력 감소가 주증상으로 나타나고 광각까지 소실될 정도로 심한 시력 상실이 아주 급격히 발생한다.

임상 소견

안저 검사에서 망막 전층이 허혈성 변화로 인해 하얗게 혼탁되어 보이고 앵두 반점은 맥락막 혈류 장애가 같이 동반되므로 50%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폐쐐 후 시간이 지나면 맥락막 혈류가 회복되면서 앵두 반점이 관찰되기도 한다. 망막 색소 상피에는 아무런 이상이 생기지 않는 망막 중심 동맥 폐쇄와 달리 폐쇄 후 수주가 경과하여 망막 혼탁이 사라지면 맥락막 혈류 장애로 인하여 이차적으로 망막 색소상피에 색소 변화가 발생한다. 또한 보다 심한 시신경 위축이 남게 된다.

검사 및 진단

  • FA : 망막 혈관 순환과 함께 맥락막 혈류도 지연되어 나타난다.
  • ERG : b파는 물론 a파 모두가 감소하거나 소멸된다.

치료

치료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예후 및 합병증

시력 예후는 매우 불량하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