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소프트 콘택트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재질
잔글 처방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소프트 콘택트렌즈 (soft contact lens; SCL)</b> 은 연성 콘택트렌즈 라고도 한다.
'''소프트 콘택트렌즈 (soft contact lens; SCL)'''{{콘택트렌즈}} 은 연성 콘택트렌즈 라고도 한다.
== 역사 ==
== 역사 ==
고분자화학을 전공하는 체 코슬로바키아의 Otto Wichterle와 D Lim, 그리고 의사인 M Dreifus 가 처음으로 HEMA물질을 개발하였다 1950년대부터 Wichterle 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개발을 시작하여 1961년에 특허를 얻었으며, 렌즈의 제작에 있어서 원심 회전 주조법 (spin casting) 을 개발하여 계속 발전시켜 나갔다. 미국에서는 1971년 바슈롬 사가 FDA승인을 받으면서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였다.<br />&nbsp;&nbsp;1973년 American Optical 회사가 치료용 렌즈로 FDA 승인을 받았으며, 1975년 바슈롬 사의 'Plano-T'가 치료용으로, 또 1979년에는 Copper 사의 'Perma Lens'가 연속 착용용으로, 1980년에는 난시용 소프트 렌즈가 보급되기 시작하였다.<br />&nbsp;&nbsp;1990년대 이후에는 일회용 렌즈의 시대라고 할 수 있는데, 1988년 Johnson&Johnson 사가 일회용 연속 착용 렌즈 사용을 승인 받았고, 그 이후 많은 다른 회사들도 이 종류의 렌즈를 생산하고 있으며, 1994년 이후에는 일일 일회용 렌즈 (1-day disposable lens) 가 나오게 되었다.
고분자화학을 전공하는 체 코슬로바키아의 Otto Wichterle와 D Lim, 그리고 의사인 M Dreifus 가 처음으로 HEMA물질을 개발하였다 1950년대부터 Wichterle 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개발을 시작하여 1961년에 특허를 얻었으며, 렌즈의 제작에 있어서 원심 회전 주조법 (spin casting) 을 개발하여 계속 발전시켜 나갔다. 미국에서는 1971년 바슈롬 사가 FDA승인을 받으면서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였다.<br />&nbsp;&nbsp;1973년 American Optical 회사가 치료용 렌즈로 FDA 승인을 받았으며, 1975년 바슈롬 사의 'Plano-T'가 치료용으로, 또 1979년에는 Copper 사의 'Perma Lens'가 연속 착용용으로, 1980년에는 난시용 소프트 렌즈가 보급되기 시작하였다.<br />&nbsp;&nbsp;1990년대 이후에는 일회용 렌즈의 시대라고 할 수 있는데, 1988년 Johnson&Johnson 사가 일회용 연속 착용 렌즈 사용을 승인 받았고, 그 이후 많은 다른 회사들도 이 종류의 렌즈를 생산하고 있으며, 1994년 이후에는 일일 일회용 렌즈 (1-day disposable lens) 가 나오게 되었다.
== 물리적 특성 ==
* 광학적 투명도 : 최고의 시력을 얻기 위해서 재질은 광학적으로 투명해야 한다. 하이드로겔은 가시광선의 90% 이상을 투과하므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한 분자 내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고분자 사슬들은 스스로 미세 상분리 (microphase separation) 를 일으켜 불투명해지기도 하고, 온도 상승에 의해 하이드로겔이 불투명해지기도 한다.
* 기계적 특성 : 하이드로겔은 수화된 상태에서는 부드럽고 유연하지만 탈수가 되면 단단하고 부러지기 쉽다. 즉, 중합체의 함수율이 낮을수록 더 단단하고 부러지기 쉽다. 하이드로겔은 친수성이므로 물을 흡수하며 이는 하이드로겔을 부드럽게 하며 탄성의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준다. 하이드로겔은 힘을 가했을 때 (stress) 변형되지만 힘이 사라지면 원래의 크기와 모양으로 되돌아가는 완벽한 탄성 물질과는 달리 점탄성의 특성을 가진다.
== 재질 ==
== 재질 ==
*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onomer : 최초로 실제로 이용된 소프트 렌즈를 만드는 데 이용된 단량체이다.
*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onomer : 최초로 실제로 이용된 소프트 렌즈를 만드는 데 이용된 단량체이다.
56번째 줄: 59번째 줄:
== 착용 시간 ==
== 착용 시간 ==
과거 1990년대 중반에는 첫날 렌즈 착용 시간을 4시간 이내로 제한하고 이후 하루에 2시간씩 단계적으로 늘려 착용함으로써 단계적인 적응 시간 연장을 모색했으나 최근에는 렌즈의 재질 및 디자인의 개발로 이러한 시간적 제한은 불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단지, 상대적으로 보다 예민한 환자의 효과적인 적응을 위해서는 서서히 착용 시간을 늘려나가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만약, 적절한 착용법대로 렌즈를 착용하더라도 눈이 불편하다면 렌즈를 즉시 제거해야 하며, 착용 도중 심하게 눈이 충혈되거나 따갑다면 렌즈를 빼고 세척과 소독 과정을 다시 한 후 그래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안과 전문의에게 상의한다.
과거 1990년대 중반에는 첫날 렌즈 착용 시간을 4시간 이내로 제한하고 이후 하루에 2시간씩 단계적으로 늘려 착용함으로써 단계적인 적응 시간 연장을 모색했으나 최근에는 렌즈의 재질 및 디자인의 개발로 이러한 시간적 제한은 불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단지, 상대적으로 보다 예민한 환자의 효과적인 적응을 위해서는 서서히 착용 시간을 늘려나가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만약, 적절한 착용법대로 렌즈를 착용하더라도 눈이 불편하다면 렌즈를 즉시 제거해야 하며, 착용 도중 심하게 눈이 충혈되거나 따갑다면 렌즈를 빼고 세척과 소독 과정을 다시 한 후 그래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안과 전문의에게 상의한다.
== 처방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안경 도수 ([[현성 굴절 검사|MR]]) 에 따른 SCL 도수
|-
!Sph↓ Cyl→||-0.75 ~ -1.00||-1.25||-1.50||-1.75||-2.00||-2.25||-2.50||-2.75||-3.00
|-
| 0.00 ~ -1.75
|rowspan=2|Sph -0.75
|colspan=2 rowspan=2|Sph -1.25
|colspan=2|Sph -1.75
|colspan=2|Sph -2.25
|colspan=2|Sph+0.25 -2.25
|-
| 2.00 ~ -3.75
|colspan=3|Sph -1.75
|colspan=2|Sph -2.25
|colspan=1|Sph+0.25 -2.25
|-
| -8.25 ~ -8.50
|colspan=2|-7.50 -0.75
|colspan=2|-7.50 -1.25
|colspan=3|-7.50 -1.75
|colspan=2|-7.50 -2.25
|-
| -8.75 ~ -9.00
|colspan=2|-8.00 -0.75
|colspan=3|-8.00 -1.25
|colspan=2|-8.00 -1.75
|colspan=2|-8.00 -2.25
|-
| -9.25 ~ -9.75
|colspan=2|-8.50 -0.75
|colspan=3|-8.50 -1.25
|colspan=2|-8.50 -1.75
|colspan=2|-8.50 -2.25
|-
| -10.00 ~ -10.50
|colspan=2|-9.00 -0.75
|colspan=3|-9.00 -1.25
|colspan=2|-9.00 -1.75
|colspan=2|-9.00 -2.25
|}


== 처방의 평가 ==
== 처방의 평가 ==
62번째 줄: 107번째 줄:
=== 렌즈의 움직임 ===
=== 렌즈의 움직임 ===
렌즈의 적당한 움직임은 렌즈 아래의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각막의 산소 공급을 위해 필수적이다.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경우 RGP 렌즈에 비해 움직임이 매우 제한적이지만 눈을 깜빡일 때마다 렌즈 아래 눈물의 1~2% 정도의 교환이 일어나며 RGP 렌즈의 경우는 10% 정도의 교환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SCL에서는 눈 깜빡임을 통한 산소 공급, 즉 tear pumping에 의한 작용이 제한적이라 생각한다.
렌즈의 적당한 움직임은 렌즈 아래의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각막의 산소 공급을 위해 필수적이다.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경우 RGP 렌즈에 비해 움직임이 매우 제한적이지만 눈을 깜빡일 때마다 렌즈 아래 눈물의 1~2% 정도의 교환이 일어나며 RGP 렌즈의 경우는 10% 정도의 교환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SCL에서는 눈 깜빡임을 통한 산소 공급, 즉 tear pumping에 의한 작용이 제한적이라 생각한다.
{{참고|콘택트렌즈}}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