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내피 성장인자: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종류)
8번째 줄: 8번째 줄:
* VEGF-C
* VEGF-C
* VEGF-D
* VEGF-D
* PDF (placental growth factor)
* PGF (placental growth factor)
 
== 기능 ==
== 기능 ==
wAMD 뿐만 아니라 당뇨 망막병증과 [[신생혈관 녹내장]], [[미숙아 망막병증]]에서 그 역할이 잘 알려져 있다. 물론 섬유모세포 성장인지 (fibroblast growth factor, FGF)와 색소상피 유래 인자 (pigment epithelium-derived factor, PEDF), 인테그린 (integrin), angiopoietin, MMP 억제제 등도 일정 부분 역할을 하지만 VEGF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는 없다.2-6 초기에는 VEGF는 종양과 관련된 혈관 투과성 인자로 알려졌고<ref>Ambati J et al. AMD : etiology, pathogenesis, and therapeutic strategies. ''Surv Ophthalmol''. 2003 May-Jun;48(3):257-93. [https://pubmed.ncbi.nlm.nih.gov/12745003/ 연결]</ref>, 특히 wAMD에서 내피세포 증식과 이동 그리고 모세혈관 형성을 통한 혈관신생과 혈관 투과성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wAMD 뿐만 아니라 당뇨 망막병증과 [[신생혈관 녹내장]], [[미숙아 망막병증]]에서 그 역할이 잘 알려져 있다. 물론 섬유모세포 성장인지 (fibroblast growth factor, FGF)와 색소상피 유래 인자 (pigment epithelium-derived factor, PEDF), 인테그린 (integrin), angiopoietin, MMP 억제제 등도 일정 부분 역할을 하지만 VEGF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는 없다.2-6 초기에는 VEGF는 종양과 관련된 혈관 투과성 인자로 알려졌고<ref>Ambati J et al. AMD : etiology, pathogenesis, and therapeutic strategies. ''Surv Ophthalmol''. 2003 May-Jun;48(3):257-93. [https://pubmed.ncbi.nlm.nih.gov/12745003/ 연결]</ref>, 특히 wAMD에서 내피세포 증식과 이동 그리고 모세혈관 형성을 통한 혈관신생과 혈관 투과성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2021년 10월 8일 (금) 02:31 판

혈관 내피 성장 인자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1] 은 혈관 신생 뿐만 아니라 배아발생에서의 혈관 형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실제로 비증식 또는 증식 당뇨망막병증이 있는 눈의 유리체나 전방수에서 농도의 증가를 볼 수 있고, 성공적인 망막 레이저 치료 후에는 VEGF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류

포유류에는 다섯 종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VEGF-A
  • VEGF-B
  • VEGF-C
  • VEGF-D
  • PGF (placental growth factor)

기능

wAMD 뿐만 아니라 당뇨 망막병증과 신생혈관 녹내장, 미숙아 망막병증에서 그 역할이 잘 알려져 있다. 물론 섬유모세포 성장인지 (fibroblast growth factor, FGF)와 색소상피 유래 인자 (pigment epithelium-derived factor, PEDF), 인테그린 (integrin), angiopoietin, MMP 억제제 등도 일정 부분 역할을 하지만 VEGF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는 없다.2-6 초기에는 VEGF는 종양과 관련된 혈관 투과성 인자로 알려졌고[2], 특히 wAMD에서 내피세포 증식과 이동 그리고 모세혈관 형성을 통한 혈관신생과 혈관 투과성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혈관 투과성

VEGF는 칼슘 유입 증가와 일산화질소 농도의 변화로 조절 되는 미세혈관의 수압 전도성 (hydraulic conductivity) 을 증가시킨다. 물론 VEGF 이외에도 많은 성장인자들이 이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VEGF는 45 kDa의 헤파린-결합성 동종 접합 당단백질 (heparin-binding homodimeric glycoprotein) 로 이루어져 있다[3]. 인간의 VEGF 유전자는 7개의 인트론(intron) 과 8개의 엑손 (exon)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염색체 6p21.3 에 위치한다.

VEGF-A는 단일 유전자 에서 alternative posttranslational exon splicing을 통해 각각 121과 145, 165, 183, 189, 206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 어진 6개의 isoform을 만든다[4]. 이 중에서도 VEGF165는 가용형 (soluble) 과 조직 결합형이 모두 존재하며, 신생혈관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다른 중요한 3개의 isoform 인 VEGF121 과 VEGF189, VEGF206를 억제하지 않고 VEGF165 만 억제하는 것이 과연 VEGF와 관련된 정상적인 항상성을 유지하는 방법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통일되지 않은 실정이다. 실제로 쥐의 저산소 유발 혈관신생 모델에서 인간 VEGF165에 해당하는 VEGF164를 억제하는 것이 비특이적으로 VEGF 전체를 억제하는 것만큼 병적 신생혈관 예방에 도움이 되고, 망막혈관 생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5][6]. 하지만 최근 에는 multiple VEGF isoform에 대한 단클론 항체 (monoclonal antibody) 가 임상에 많이 쓰이고 있고 정상적인 망막혈관의 생리에 이런 비특이적 억제가 심각한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Ambati J et al. AMD : etiology, pathogenesis, and therapeutic strategies. Surv Ophthalmol. 2003 May-Jun;48(3):257-93. 연결
  3. Ferrara N. VEGF : basic science and clinical progress. Endocr Rev. 2004 Aug;25(4):581-611. 연결
  4. Robinson CJ et al. The splice variants of VEGF and their receptors. J Cell Sci. 2001 Mar;114(Pt 5):853-65. 연결
  5. Ishida S et al. VEGF164-mediated inflammation is required for pathological, but not physiological, ischemia-induced retinal NV. J Exp Med. 2003 Aug 4;198(3):483-9. 연결
  6. Usui T et al. VEGF164(165) as the pathological isoform : differential leukocyte and endothelial responses through VEGFR1 and VEGFR2. IOVS. 2004 Feb;45(2):368-74.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