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망막병: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역학)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고혈압은 당뇨 망막병증을 악화시키고, 망막 동정맥 폐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계가 있으며, 개방각 녹내장의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고, 고혈압이 있는 경우 맥락막 신생혈관막이 발생한 눈의 반대쪽 눈에 신생혈관 빈도가 증가하는 등 다양한 안질환과 관계가 된다. | 고혈압은 당뇨 망막병증을 악화시키고, 망막 동정맥 폐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계가 있으며, 개방각 녹내장의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고, 고혈압이 있는 경우 맥락막 신생혈관막이 발생한 눈의 반대쪽 눈에 신생혈관 빈도가 증가하는 등 다양한 안질환과 관계가 된다. | ||
== 역학 == | == 역학 == | ||
시신경 유두 부종을 제외한 | 시신경 유두 부종을 제외한 HTNR 에서 보01는 소견 들은 40세 이상 성인에서 흔하며, 유병률은 2~17%로 보고 되었다.3,4 이들 연구에서는 고혈압 망막병의 소견들은 나이에 따라 증가하고, 인종이나 성별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 ||
소견은 혈압의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5 전반적인 소동맥 협착 (generalized arteriolar narrowing, GAN) O| 고혈압의 발현보다 선행할 수 있다. 6 한 연구에 서는 GAN 소견을 가지는 정상 혈압을 가지는 사람에서 고혈압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고, GAN 소견을 가지는 경도의 고혈압 환자는 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음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GAN은 보다 광범위한 전신 말초혈관의 수축을 반영하는 소견으로서,고혈압의 초기 임상적 마커가 될 수 있다. 소아에서의 연구에서 망막 소동맥 협착과 상승된 혈압 사이의 연관성은 4~5세와 같이 어린 나이에서도보고된 바 있다. 또한, HTNR 의 소견이 과거의 혈압 정도 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예를 들어, GAN과 소동맥정맥 함요 (arteriovenous nicking) 소견은 현재의 혈압 정도뿐만이 아니라 과거의 혈압 정도와도 관련이 있는데, 이는 위 두 가지 소견이 오래된 고혈압의 누적 효과를 반영하는 만성 고혈압성 손상의 마커임을 시사한다. 반면, 국소 소동맥 협착, 망막 출혈, 미세혈관류, 면화반은 현재의 혈압 정도와만 연관성을 가지며, 혈압의 단기적인 변화의 효과를 반영한다.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 ||
고혈압성 질환은 지속적인 동맥압의 병적인 상승과 전체 말초 저항의 증가로 뇌, 심장, 신장, 대동맥, 눈 등에서 혈관 질환을 유발하며 다양한 임상 양상을 나타낸다. 눈은 이러한 혈관 변화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유일한 기관이다. 전신 혈압이 상승되면 망막 순환의 자가 조절에 의해 상승된 혈압에 대해 일정한 혈류를 유지하기 위해 망막 혈관이 국소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수축된다. 지속적인 혈압의 상승은 혈장과 적혈구의 혈관외 유출을 동반하는 내측 혈액-망막 장벽의 파괴를 유발할 수 있어 망막 출혈, 면화반, 망막 내 지질 침착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에는 별 모양의 황반 삼출물이 발생한다. 심한 고혈압의 경우에는 망막 모세혈관의 폐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고혈압성 질환은 지속적인 동맥압의 병적인 상승과 전체 말초 저항의 증가로 뇌, 심장, 신장, 대동맥, 눈 등에서 혈관 질환을 유발하며 다양한 임상 양상을 나타낸다. 눈은 이러한 혈관 변화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유일한 기관이다. 전신 혈압이 상승되면 망막 순환의 자가 조절에 의해 상승된 혈압에 대해 일정한 혈류를 유지하기 위해 망막 혈관이 국소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수축된다. 지속적인 혈압의 상승은 혈장과 적혈구의 혈관외 유출을 동반하는 내측 혈액-망막 장벽의 파괴를 유발할 수 있어 망막 출혈, 면화반, 망막 내 지질 침착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에는 별 모양의 황반 삼출물이 발생한다. 심한 고혈압의 경우에는 망막 모세혈관의 폐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2021년 10월 15일 (금) 04:01 판
고혈압 망막병 (hypertensive retinopathy)[1]
고혈압은 당뇨 망막병증을 악화시키고, 망막 동정맥 폐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계가 있으며, 개방각 녹내장의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고, 고혈압이 있는 경우 맥락막 신생혈관막이 발생한 눈의 반대쪽 눈에 신생혈관 빈도가 증가하는 등 다양한 안질환과 관계가 된다.
역학
시신경 유두 부종을 제외한 HTNR 에서 보01는 소견 들은 40세 이상 성인에서 흔하며, 유병률은 2~17%로 보고 되었다.3,4 이들 연구에서는 고혈압 망막병의 소견들은 나이에 따라 증가하고, 인종이나 성별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소견은 혈압의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5 전반적인 소동맥 협착 (generalized arteriolar narrowing, GAN) O| 고혈압의 발현보다 선행할 수 있다. 6 한 연구에 서는 GAN 소견을 가지는 정상 혈압을 가지는 사람에서 고혈압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고, GAN 소견을 가지는 경도의 고혈압 환자는 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음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GAN은 보다 광범위한 전신 말초혈관의 수축을 반영하는 소견으로서,고혈압의 초기 임상적 마커가 될 수 있다. 소아에서의 연구에서 망막 소동맥 협착과 상승된 혈압 사이의 연관성은 4~5세와 같이 어린 나이에서도보고된 바 있다. 또한, HTNR 의 소견이 과거의 혈압 정도 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예를 들어, GAN과 소동맥정맥 함요 (arteriovenous nicking) 소견은 현재의 혈압 정도뿐만이 아니라 과거의 혈압 정도와도 관련이 있는데, 이는 위 두 가지 소견이 오래된 고혈압의 누적 효과를 반영하는 만성 고혈압성 손상의 마커임을 시사한다. 반면, 국소 소동맥 협착, 망막 출혈, 미세혈관류, 면화반은 현재의 혈압 정도와만 연관성을 가지며, 혈압의 단기적인 변화의 효과를 반영한다.
병태 생리
고혈압성 질환은 지속적인 동맥압의 병적인 상승과 전체 말초 저항의 증가로 뇌, 심장, 신장, 대동맥, 눈 등에서 혈관 질환을 유발하며 다양한 임상 양상을 나타낸다. 눈은 이러한 혈관 변화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유일한 기관이다. 전신 혈압이 상승되면 망막 순환의 자가 조절에 의해 상승된 혈압에 대해 일정한 혈류를 유지하기 위해 망막 혈관이 국소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수축된다. 지속적인 혈압의 상승은 혈장과 적혈구의 혈관외 유출을 동반하는 내측 혈액-망막 장벽의 파괴를 유발할 수 있어 망막 출혈, 면화반, 망막 내 지질 침착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에는 별 모양의 황반 삼출물이 발생한다. 심한 고혈압의 경우에는 망막 모세혈관의 폐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검사 및 진단
고혈압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안저 소견은 정상 혈압인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고 동맥경화성 변화는 연령의 증가와도 관련이 깊으므로 고혈압성 망막병증의 진단에는 정확한 혈압의 측정과 혈압약 복용 여부 등이 중요하며 안과 의사는 고혈압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안저 소견을 숙지하여 고혈압 병력이 없는 환자라도 혈압 측정을 포함한 전신적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예후
악성 고혈압은 예후가 좋지 않으며 이는 Keith-Wagener-Barker 분류에서 grade IV에 해당된다. 악성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으면 2년 내 사망률이 80%로 알려져 있으나, 치료를 받는 경우 평균 생존 기간은 12년으로 알려져 있다. Keith-Wagener-Barker 분류의 grade III를 accelerated phase, grade IV를 malignant phase로 구분하기도 하였으나, Lip 등의 연구에 의하면 두 경우 생존율에 차이가 없어 이러한 구분의 의의는 적다고 할 수 있다.
- ↑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