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비증식 당뇨 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분류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9번째 줄: 9번째 줄:
== 분류 ==
== 분류 ==
가벼운 (mild), 중등도 (moderate), 심한(severe) 비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으로 나누었는데, 특히 '심한' 경우에서 임상적 중요성 때문에 매우 심한 경우를 다시 세분한다. 각 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증식 당뇨 망막병증|PDR]]과 고위험 증식 당뇨 망막병증으로의 진행 위험이 비례하여 증가한다. [[ETDRS]]에서는 [[범망막 광응고술]]를 고위험 [[증식 당뇨 망막병증|PDR]]에서 연기해서는 안되며, 고위험에 다가간 경우에도 고려 해야 한다고 권장한다. 초기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과 함께 심하거나 매우 심한 비증식 당뇨 망막병증이 이 경우에 속하며, 치료를 안 할 때는 고위험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으로의 진행 여부를 주의 깊게, 자주 관찰하여야 한다.
가벼운 (mild), 중등도 (moderate), 심한(severe) 비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으로 나누었는데, 특히 '심한' 경우에서 임상적 중요성 때문에 매우 심한 경우를 다시 세분한다. 각 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증식 당뇨 망막병증|PDR]]과 고위험 증식 당뇨 망막병증으로의 진행 위험이 비례하여 증가한다. [[ETDRS]]에서는 [[범망막 광응고술]]를 고위험 [[증식 당뇨 망막병증|PDR]]에서 연기해서는 안되며, 고위험에 다가간 경우에도 고려 해야 한다고 권장한다. 초기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과 함께 심하거나 매우 심한 비증식 당뇨 망막병증이 이 경우에 속하며, 치료를 안 할 때는 고위험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으로의 진행 여부를 주의 깊게, 자주 관찰하여야 한다.
=== 국제 임상 당뇨 망막병증 중등도 분류 ===
ETDRS 연구에서 안저 사진 상 [[당뇨 망막병증|DR]]의 중증도를 분류한 기준인 '수정 에어리 분류 (modified Airlie House classification)' 는 이후에도 여러 임상 연구에서 사용되었고 재현성과 유효성을 검증받은 분류 기준이다. 그렇지만, 일상적인 임상 진료에서 그 분류 체계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거나 실용적이지 않은 경우가 있어, 당뇨 환자를 진료하는 전세계 여러 의사 간의 정보 교환과 협조를 증진 시키고자 2003년 미국 안과 학회 (AAO) 에서 주관하여 좀 더 간소화된 [[당뇨 망막병증|DR]]과 [[당뇨 황반부종|DME]]의 분류 체계를 개발하였다.
* 없음 : 이상 소견 없음
* 가벼운 NPDR : 미세혈관류만 존재
* 중등도 NPDR : 미세혈관류가 존재하고 심한 NPDR 보다는 덜할 때
* 심한 NPDR : PDR 소견이 없고 다음 중 하나를 만족할 때
** 모든 사분면에 20개 이상의 망막내 출혈
** 둘 이상의 사분면에 명확한 [[염주 정맥]]
** 하나 이상의 사분면에 명확한 IRMA
* PDR : 신생혈관, 유리체 출혈, 망막앞 출혈 중 한 가지 이상이 있을 때
=== 심한 비증식 당뇨 망막병증 ===
=== 심한 비증식 당뇨 망막병증 ===
다음 3가지 중 한 가지라도 해당될 때이다.
다음 3가지 중 한 가지라도 해당될 때이다.
16번째 줄: 27번째 줄:
이 단계에서는 1년 안에 [[증식 당뇨 망막병증|PDR]]로 진행할 위험이 52% 이고, 고위험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으로 진행할 위험은 1년 안에 15%, 5년 안에 60% 이다.
이 단계에서는 1년 안에 [[증식 당뇨 망막병증|PDR]]로 진행할 위험이 52% 이고, 고위험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으로 진행할 위험은 1년 안에 15%, 5년 안에 60% 이다.
=== 매우 심한 비증식 당뇨 망막병증 ===
=== 매우 심한 비증식 당뇨 망막병증 ===
위의 3가지 소견 중 2개 이상 있을 때이다. 원래 최종 분류에서는 따로 분류되지 않고 심한 [[비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에서 가장 심한 단계 (53E) 였으나, 그 임상적 중요성으로 매우 심한 단계로 세분한다. 1년 안에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으로 진행할 위험이 75%, 고위험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으로 진행할 위험이 45% 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고위험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으로 진행할 위험이 중등도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과 비슷하여 50% 가 18개월 내에, 75% 가 5년 내에 진행한다.
위의 3가지 소견 중 2개 이상 있을 때이다. 원래 최종 분류에서는 따로 분류되지 않고 심한 [[비증식성 당뇨 망막병증|NPDR]]에서 가장 심한 단계 (53E) 였으나, 그 임상적 중요성으로 매우 심한 단계로 세분한다. 1년 안에 [[증식 당뇨 망막병증|PDR]]으로 진행할 위험이 75%, 고위험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으로 진행할 위험이 45% 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고위험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으로 진행할 위험이 중등도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과 비슷하여 50% 가 18개월 내에, 75% 가 5년 내에 진행한다.


== 검진 계획 ==
== 검진 계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