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PrONTO: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결과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Prospective OCT Imaging of Patients with Neovascular AMD Treated with intraOcular Ranibizumab (PrONTO)'''{{망막}} 는, 앞선 연구들의 2년 동안 매달 주사 치료를 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주사 치료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횟수를 줄여보려는 시도로서 진행된 연구이다.
'''Prospective OCT Imaging of Patients with Neovascular AMD Treated with intraOcular Ranibizumab (PrONTO)'''{{망막}}<ref>Fung AE et al. An OCT-guided, variable dosing regimen with intravitreal ranibizumab (Lucentis) for wAMD. ''AJO''. 2007 Apr;143(4):566-83. [https://pubmed.ncbi.nlm.nih.gov/17386270/ 연결]</ref> 는, 앞선 연구들의 2년 동안 매달 주사 치료를 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주사 치료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횟수를 줄여보려는 시도로서 진행된 연구이다.
== 연구의 목적 ==
== 연구의 목적 ==
OCT를 바탕으로 한 재치료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1년 동안 [[라니비주맙]]의 치료 효과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OCT를 바탕으로 한 재치료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1년 동안 [[라니비주맙]]의 치료 효과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19번째 줄: 19번째 줄:
1년째 안정적이거나 호전된 환자의 95%에서 9.3 글자수의 증가가 있었으며 평균 중심 망막 두께는 178㎛ 감소하였다. 15글자 이상 시력이 호전된 경우는 35% 였으며 약 1년 동안 평균 5.6회의 주사 치료를 받았다. 병변이 좋아진 후 재치료가 필요하기까지 평균 기간은 약 4.5개월 이었다.
1년째 안정적이거나 호전된 환자의 95%에서 9.3 글자수의 증가가 있었으며 평균 중심 망막 두께는 178㎛ 감소하였다. 15글자 이상 시력이 호전된 경우는 35% 였으며 약 1년 동안 평균 5.6회의 주사 치료를 받았다. 병변이 좋아진 후 재치료가 필요하기까지 평균 기간은 약 4.5개월 이었다.


2년째 경과 관찰한 연구에서는 주사 치료 후 시행한 OCT 검사에서 fluid가 증가하기만 하여도 재치료를 하였는데, 24개월째 시력은 11.1 글자수가 증가하였고 평균 중심 망막 두께는 212㎛ 감소하였다. 43% 환자에서 15글자 이상 시력이 호전되었고, 총 9.9회의 주사 치료를 시행하였다.
2년째 경과 관찰한 연구<ref>Lalwani GA et al. A variable-dosing regimen with intravitreal ranibizumab for wAMD : year 2 of the PrONTO Study. ''AJO''. 2009 Jul;148(1):43-58.e1. [https://pubmed.ncbi.nlm.nih.gov/19376495/ 연결]</ref>에서는 주사 치료 후 시행한 OCT 검사에서 fluid가 증가하기만 하여도 재치료를 하였는데, 24개월째 시력은 11.1 글자수가 증가하였고 평균 중심 망막 두께는 212㎛ 감소하였다. 43% 환자에서 15글자 이상 시력이 호전되었고, 총 9.9회의 주사 치료를 시행하였다.


== 결론 ==
== 결론 ==
이와 같이 OCT를 사용한 가변적이 재치료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매달 주사하는 기존 주사 치료의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실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OCT를 사용한 가변적인 재치료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매달 주사하는 기존 주사 치료의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실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