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적으로 유의한 황반 부종: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당뇨 황반 부종이 모두 시력 손상을 일으키지는 않으므로 미국의 ETDRS에서는 시력 손상의 진행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높을 것으로 생...)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당뇨 황반 부종]]이 모두 시력 손상을 일으키지는 않으므로 미국의 [[ETDRS]]에서는 시력 손상의 진행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부류를 '임상적으로 유의한 황반 부종 (clinically significant macular edema; CSME)'이라 정의하였다. 황반 중심이 침범되었거나, 그럴 위험성이 높은 경우를 말하며 이러한 기준은 진단 및 치료 측면에서 현재에도 유효하다.
[[당뇨 황반 부종]]이 모두 시력 손상을 일으키지는 않으므로 미국의 [[ETDRS]]에서는 시력 손상의 진행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부류를 '임상적으로 유의한 황반 부종 (clinically significant macular edema; CSME)'이라 정의하였다. 황반 중심이 침범되었거나, 그럴 위험성이 높은 경우를 말하며 이러한 기준은 진단 및 치료 측면에서 현재에도 유효하다.
== 분류 ==
== 정의 ==
* 황반 중심으로부터 500㎛ 이내에 망막이 두꺼워져 있을 때
* 황반 중심으로부터 500㎛ 이내에 망막이 두꺼워져 있을 때
* 황반 중심으로부터 500㎛ 이내에 경성 삼출물이 있으면서 그 바깥쪽에 두꺼워진 망막이 이어져 있을 때
* 황반 중심으로부터 500㎛ 이내에 경성 삼출물이 있으면서 그 바깥쪽에 두꺼워진 망막이 이어져 있을 때
* 황반 중심으로부터 1유두직경 이내에 1유두면적 이상 두꺼워진 망막이 걸쳐 있을 때
* 황반 중심으로부터 1유두직경 이내에 1유두면적 이상 두꺼워진 망막이 걸쳐 있을 때

2020년 3월 11일 (수) 15:54 기준 최신판

당뇨 황반 부종이 모두 시력 손상을 일으키지는 않으므로 미국의 ETDRS에서는 시력 손상의 진행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부류를 '임상적으로 유의한 황반 부종 (clinically significant macular edema; CSME)'이라 정의하였다. 황반 중심이 침범되었거나, 그럴 위험성이 높은 경우를 말하며 이러한 기준은 진단 및 치료 측면에서 현재에도 유효하다.

정의

  • 황반 중심으로부터 500㎛ 이내에 망막이 두꺼워져 있을 때
  • 황반 중심으로부터 500㎛ 이내에 경성 삼출물이 있으면서 그 바깥쪽에 두꺼워진 망막이 이어져 있을 때
  • 황반 중심으로부터 1유두직경 이내에 1유두면적 이상 두꺼워진 망막이 걸쳐 있을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