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발 레이저 광응고: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 중심와로부터 유두 직경 거리만큼 떨어진 곳부터 적도 부위까지 시행한다.
* 중심와로부터 유두 직경 거리만큼 떨어진 곳부터 적도 부위까지 시행한다.
== 효과 ==
== 효과 ==
BVOS 연구에서는 망막 신생혈관 및 유리체 출혈의 치료로 SLP의 효과에 대해서도 보고하였는데<ref>BVOS Group, Argon laser scatter photocoagulation for prevention of NV and VH in BRVO. A RCT. ''Arch Ophthalmol''. 1986 Jan;104(1):34-41. [https://pubmed.ncbi.nlm.nih.gov/2417579/ 연결]</ref>, [[망막 분지정맥 폐쇄|BRVO]] 발생 후 3~18개월이 경과한 환자를 SLP 시행군과 경과 관찰군으로 무작위 배치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평균 3.7년의 경과 관찰 결과 신생혈관의 형성은 SLP군에서 유의하게 적었으며 , 신생혈관으로부터의 유리체 출혈도 레이저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그러나 레이저 광응고로 인한 시야 손상이 불가피하고 특히 상이측에 호발하는 BRVO의 특성상 하측 시야 장애의 가능성이 높아 독서 등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변부 망막에 대한 SLP는 시신경 유두부나 망막에 신생혈관이 발생한 것을 확인한 후 시행할 것을 권하였다.
BVOS 연구에서는 망막 신생혈관 및 유리체 출혈의 치료로 SLP의 효과에 대해서도 보고하였는데<ref>BVOS group, Argon laser photocoagulation for BRVO ME. ''AJO''. 1984 Sep 15;98(3):271-82. [https://pubmed.ncbi.nlm.nih.gov/6383055/ 연결]</ref>, [[망막 분지정맥 폐쇄|BRVO]] 발생 후 3~18개월이 경과한 환자를 SLP 시행군과 경과 관찰군으로 무작위 배치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평균 3.7년의 경과 관찰 결과 신생혈관의 형성은 SLP군에서 유의하게 적었으며 , 신생혈관으로부터의 유리체 출혈도 레이저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그러나 레이저 광응고로 인한 시야 손상이 불가피하고 특히 상이측에 호발하는 BRVO의 특성상 하측 시야 장애의 가능성이 높아 독서 등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변부 망막에 대한 SLP는 시신경 유두부나 망막에 신생혈관이 발생한 것을 확인한 후 시행할 것을 권하였다.
{{참고}}
{{참고}}

2022년 2월 25일 (금) 14:03 판

산발 레이저 광응고 (scatter laser photocoagulation, SLP)[1]

치료 방법

레이저 반점 크기 200~500㎛로 중등도의 백색 응고를

  • 응고반 직경 크기만큼 떨어져 모세혈관 비관류 전역에 걸쳐 시행하고
  • 중심와로부터 유두 직경 거리만큼 떨어진 곳부터 적도 부위까지 시행한다.

효과

BVOS 연구에서는 망막 신생혈관 및 유리체 출혈의 치료로 SLP의 효과에 대해서도 보고하였는데[2], BRVO 발생 후 3~18개월이 경과한 환자를 SLP 시행군과 경과 관찰군으로 무작위 배치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평균 3.7년의 경과 관찰 결과 신생혈관의 형성은 SLP군에서 유의하게 적었으며 , 신생혈관으로부터의 유리체 출혈도 레이저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그러나 레이저 광응고로 인한 시야 손상이 불가피하고 특히 상이측에 호발하는 BRVO의 특성상 하측 시야 장애의 가능성이 높아 독서 등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변부 망막에 대한 SLP는 시신경 유두부나 망막에 신생혈관이 발생한 것을 확인한 후 시행할 것을 권하였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BVOS group, Argon laser photocoagulation for BRVO ME. AJO. 1984 Sep 15;98(3):271-82.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