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주 절개술: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새 문서: 섬유주 절개술 (trabeculotomy) 은 안구 외부에서 섬유주 절개도를 쉴렘관 내로 삽입하여 전방내로 회전시키면 쉴렘관 내벽과 섬유주가 절개...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섬유주 절개술 (trabeculotomy) 은 안구 외부에서 섬유주 절개도를 쉴렘관 내로 삽입하여 전방내로 회전시키면 쉴렘관 내벽과 섬유주가 절개되어 방수가 쉴렘관으로 직접 들어가게 된다. 개방각 녹내 장의 방수 유출의 저항 증가 기전을 고려하면 이 수술법은 개방각 녹내장에 매우 적합한 수술 방법으로 여겨지나 현재는 소아의 선천 녹내장에 대한 수술에만 이용되고 특히 [[전방각 절개술]]을 시행할 수 없는 경우에 주로 이용된다. | '''섬유주 절개술 (trabeculotomy)'''{{녹내장}} 은 안구 외부에서 섬유주 절개도를 쉴렘관 내로 삽입하여 전방내로 회전시키면 쉴렘관 내벽과 섬유주가 절개되어 방수가 쉴렘관으로 직접 들어가게 된다. 개방각 녹내 장의 방수 유출의 저항 증가 기전을 고려하면 이 수술법은 개방각 녹내장에 매우 적합한 수술 방법으로 여겨지나 현재는 소아의 선천 녹내장에 대한 수술에만 이용되고 특히 [[전방각 절개술]]을 시행할 수 없는 경우에 주로 이용된다. | ||
== 적응증 == | == 적응증 == | ||
* 녹내장 약물을 투여하여도 각막 혼탁이 없어지지 않아서 전방각을 관찰할 수 없는 경우 | * 녹내장 약물을 투여하여도 각막 혼탁이 없어지지 않아서 전방각을 관찰할 수 없는 경우 |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홍채 절개, 수정체 | * 홍채 절개, 수정체 | ||
== 수술 결과 == | == 수술 결과 == | ||
선천 녹내장에서의 성공율은 73 | 선천 녹내장에서의 성공율은 73~100%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13세 이하의 환자에서는 처음 시도로 약 80%에서 성공하며 재수술을 반복하면 성공율이 90% 에 이른다. 생후 1년 이내의 영아 녹내장에서는 수술 성공률이 100%에까지 이르나, 2~25 세 사이의 연소 녹내장의 경우에는 40% 정도에서 성공한다. | ||
봉합사나 도관을 이용한 360˚ 섬유주 절개술의 경우 기존의 절개도를 이용한 부분적인 섬유주 절개술이나 전방각 절개술보다 더 좋은 성공률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 |||
한편 각막 직경도 예후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데, Quigley는 14mm보다 작은 경우는 100%, 14mm보다 큰 각막 직경을 가진 경우는 67% 성공율을 보고하였으나, Mcpherson과 Mcfarland는 각막 직경의 크기가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한다. | |||
[[전방각 절개술]]과의 결과 비교에서는 거의 비슷하게 효과가 있고 안전하며, 생후 1년 이내에 증세가 나타난 원발 영아 녹내장 같은 예후가 좋은 경우에서는 양측 모두 높은 성공율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매체가 투명하다면 전방각 절개술이 결막 반흔을 남기지 않아서 나중에 여과 수술이 필요하게 될 때 도움이 되며 더 신속한 수술 기법이라 마취 시간이 짧은 이점이 있다. | |||
{{참고}} | |||
[[분류:녹내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