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저플로: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기전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따라서 이 기구는 섬유주, 쉴렘관, collecting channels, 공막 정맥 얼기의 저항을 우회한다. | 따라서 이 기구는 섬유주, 쉴렘관, collecting channels, 공막 정맥 얼기의 저항을 우회한다. | ||
== 연구 == | == 연구 == | ||
=== 1상<ref>Batlle JF et al. 3y FU of a Novel Aqueous Humor MicroShunt. ''J Glaucoma''. 2016 Feb;25(2):e58-65. [https://pubmed.ncbi.nlm.nih.gov/26766400/ 연결]</ref> === | === 1상 연구<ref>Batlle JF et al. 3y FU of a Novel Aqueous Humor MicroShunt. ''J Glaucoma''. 2016 Feb;25(2):e58-65. [https://pubmed.ncbi.nlm.nih.gov/26766400/ 연결]</ref> === | ||
단일 기관, 전향적, 비무작위 연구로 최대 녹내장 안약 치료에 실패한 23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InnFocus 미세 우회 기구를 바깥으로 삽입하였으며, 14안은 단독으로, 9안은 백내장 수술과 함께 시행하였다. | 단일 기관, 전향적, 비무작위 연구로 최대 녹내장 안약 치료에 실패한 23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InnFocus 미세 우회 기구를 바깥으로 삽입하였으며, 14안은 단독으로, 9안은 백내장 수술과 함께 시행하였다. | ||
* 성공률 (안압≤14 mmHg 이고, 안압 하강 > 20%) : (1,2,3년째) 100%, 91%, 95% | * 성공률 (안압≤14 mmHg 이고, 안압 하강 > 20%) : (1,2,3년째) 100%, 91%, 95% |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 사용하는 안압 하강 약제의 수 (술전 2.4±0.9 개) : 0.3±0.8, 0.4±1.0, 0.7±1.1 | * 사용하는 안압 하강 약제의 수 (술전 2.4±0.9 개) : 0.3±0.8, 0.4±1.0, 0.7±1.1 | ||
가장 흔한 부작용은 일시적 저안압 (13%, 3/23), 일시적 맥락막 삼출 (8.7%, 2/23) 이었고 모두 자연적으로 호전되었다. 방수 유출, 감염, 전위, 각막 부종 또는 심각한 장기간 부작용은 없었다. | 가장 흔한 부작용은 일시적 저안압 (13%, 3/23), 일시적 맥락막 삼출 (8.7%, 2/23) 이었고 모두 자연적으로 호전되었다. 방수 유출, 감염, 전위, 각막 부종 또는 심각한 장기간 부작용은 없었다. | ||
=== [[젠|XEN]]과의 비교<ref>Scheres LMJ et al. XEN® Gel Stent compared to PRESERFLO™ MicroShunt implantation for POAG : 2y results. ''Acta Ophthalmol''. 2021 May;99(3):e433-e440. [https://pubmed.ncbi.nlm.nih.gov/32909682/ 연결]</ref> === | |||
후향적 비교 연구로 프리저플로 또는 젠을 삽입하고 최소 6개월을 경과 관찰 한 POAG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 | |||
!||XEN (31명, 41안)||MicroShunt (33명, 41안) | |||
|- | |||
|안압 (술전→2년째, mmHg)||19.2±4.4 → 13.8±3.8||20.1±5.0 → 12.1±3.5 | |||
|- | |||
|안압 하강 약제의 수 (개)||2.5±1.4 → 0.9±1.2||2.3±1.5 → 0.7±1.1 | |||
|- | |||
|2년째 성공률||73%||79% | |||
|} | |||
수술 후 합병증은 대부분 경미했고, 자연적으로 호전되었다. | |||
== 수술 방법 == | == 수술 방법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