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체: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1번째 줄: 11번째 줄:


=== 유리체 피질 ===
=== 유리체 피질 ===
중심 유리체를 둘러싸는 얇은 (100~300㎛) 막이며, 콜라겐 농도가 가장 높다.
중심유리체를 둘러싸는 껍질 같은 막 형태의 구조물로, 두께가 100-300㎛ (후유리체피질 100~110㎛) 정도로 균일하고, 콜라겐 농도가 높고, 전부 및 후부 유리체 피질로 나뉘어진다. 유리체 피질 내에는 유리체세포가 주로 포함되어 있는데,내경계막에서 20~50㎛에 위치한 유리체 피질층에 주로 위치한다.
* 앞유리체 피질 : 유리체 기저 앞쪽에서부터 수정체 후면을 가로지르며 위치하고, 그 앞쪽면은 방수와 직접 접촉한다.
* 앞유리체 피질 : 유리체 기저 앞쪽에서부터 수정체 후면을 가로지르며 위치하고, 그 앞쪽면은 방수와 직접 접촉한다.
* 뒤유리체 피질 (두께 100~110㎛) : 유리체 기저 뒤쪽의 망막 표면에 위치하며 [[내경계막]]과 유착되어 있다.
* 뒤유리체 피질 (두께 100~110㎛) : 유리체 기저 뒤쪽의 망막 표면에 위치하며 [[내경계막]]과 유착되어 있다.
시신경 유두 앞에는 유리체 피질이 없으며, 황반 앞에는 유리체 피질이 얇다.
시신경 유두 앞에는 유리체 피질이 없으며, 황반 앞에는 유리체 피질이 얇다.
== 기능 ==
== 기능 ==
빛이 망막에 잘 도달하도록 유리체는 투명해야 하는데, 이는 유리체 내에 거대 분자와 가용성 단백질의 농도가 낮고, 콜라겐 섬유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중심부에서는 낮은 농도로 시축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어서 가능하다.
빛이 망막에 잘 도달하도록 유리체는 투명해야 하는데, 이는 유리체 내에 거대 분자와 가용성 단백질의 농도가 낮고, 콜라겐 섬유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중심부에서는 낮은 농도로 시축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어서 가능하다.

2022년 4월 13일 (수) 13:54 판

유리체 (vitreous)[1]

구성

구조

투명한 구 형태로 이루어진 젤 성분의 구조물로서 안구의 뒤쪽 4/5를 차지하며, 전체 용적은 4.0~4.5 mL, 무게는 4g 이다. 유리체는 구형이나 안구축 방향으로 약간 길쭉하고 상하 방향으로 평편하며, 앞쪽은 수정체 후면에서 컵모양 함몰을 이루며 이를 patellar fossa (Berger space) 라고 부른다. 유리체의 직경은 정시에서 수정체 후면인 patellar fossa로부터 앞뒤로 16.5 mm 이다[2].

중심 유리체

유리체 중심부 공간으로, 유리체 기저에서 후극부까지 앞뒤방향인 장축으로 길게 이어져 있는 저 농도의 콜라겐 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포가 거의 없는 공간이다.

유리체 기저

거상연을 중심으로, 거상연 앞쪽 1.5~2 mm 의 섬모체 평면부와 거상연 후부 3~4 mm까지의 망막 영역을 합친 3~6 mm의 유리체 공간으로 콜라겐 섬유가 가장 고농도로 조밀히 모여 있고, 유리체세포 (hyalocyte) 가 가장 많이 존재하며, 유리체가 가장 강하게 유착된 유리체-망막 경계부이다. 나이가 들수록 유리체기저의 뒤쪽 경계부는 더 후극부 쪽으로 확대되며, 비측에 비해 이측 망막 영역에서 경계부가 더 후극부 쪽으로 위치해 있다.

유리체 피질

중심유리체를 둘러싸는 껍질 같은 막 형태의 구조물로, 두께가 100-300㎛ (후유리체피질 100~110㎛) 정도로 균일하고, 콜라겐 농도가 높고, 전부 및 후부 유리체 피질로 나뉘어진다. 유리체 피질 내에는 유리체세포가 주로 포함되어 있는데,내경계막에서 20~50㎛에 위치한 유리체 피질층에 주로 위치한다.

  • 앞유리체 피질 : 유리체 기저 앞쪽에서부터 수정체 후면을 가로지르며 위치하고, 그 앞쪽면은 방수와 직접 접촉한다.
  • 뒤유리체 피질 (두께 100~110㎛) : 유리체 기저 뒤쪽의 망막 표면에 위치하며 내경계막과 유착되어 있다.

시신경 유두 앞에는 유리체 피질이 없으며, 황반 앞에는 유리체 피질이 얇다.

기능

빛이 망막에 잘 도달하도록 유리체는 투명해야 하는데, 이는 유리체 내에 거대 분자와 가용성 단백질의 농도가 낮고, 콜라겐 섬유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중심부에서는 낮은 농도로 시축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어서 가능하다.

유리체는 점도가 높아서 물질의 확산 이동을 저해하는 장벽의 역할을 한다. 허혈성 망막 질환에서 유리체 절제술은 VEGF가 망막으로부터 전안부를 통해 제거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이는 망막 신생혈관 발생의 위험을 낮추고 홍채 신생혈관 발생의 위험을 높인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Sebag J. Anatomy and pathology of the vitreo-retinal interface. Eye (Lond). 1992;6 (Pt 6):541-52.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