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공 망막박리: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열공 망막박리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RRD)'''{{망막}} 는 망막 전층의 열공으로 생기는 망막박리이다. 열공 망막 박리에서는 유리체-망막 견인에 의해 열린 상태로 있는 망막 열공을 통하여 액화된 유리체겔이 망막하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열공 망막박리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RRD)'''{{망막}} 는 망막 전층의 열공으로 생기는 망막박리이다. 열공 망막 박리에서는 유리체-망막 견인에 의해 열린 상태로 있는 망막 열공을 통하여 액화된 유리체겔이 망막하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 발생 기전 ==
== 발생 기전 ==
망막 열공 (tear) 은 흔히 유리체-망막 견인과 연관되고, 반면에 원공 (hole) 은 국소적인 망막 위축 또는 퇴행과 관련되어 있다<ref>Byer NE. Clinical study of retinal breaks. ''Trans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1967 May-Jun;71(3):461-73. [https://pubmed.ncbi.nlm.nih.gov/6032915/ 연결]</ref><ref></ref><ref>Byer NE. Prognosis of asymptomatic retinal breaks. ''Arch Ophthalmol''. 1974 Sep;92(3):208-10. [https://pubmed.ncbi.nlm.nih.gov/4853892/ 연결]</ref><ref>Byer NE. The natural history of asymptomatic retinal breaks. ''Ophthalmology''. 1982 Sep;89(9):1033-9. [https://pubmed.ncbi.nlm.nih.gov/7177568/ 연결]</ref>. RRD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망막 열공 (tear) 은 흔히 유리체-망막 견인과 연관되고, 반면에 원공 (hole) 은 국소적인 망막 위축 또는 퇴행과 관련되어 있다<ref>Byer NE. Clinical study of retinal breaks. ''Trans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1967 May-Jun;71(3):461-73. [https://pubmed.ncbi.nlm.nih.gov/6032915/ 연결]</ref><ref>Byer NE. Prognosis of asymptomatic retinal breaks. ''Arch Ophthalmol''. 1974 Sep;92(3):208-10. [https://pubmed.ncbi.nlm.nih.gov/4853892/ 연결]</ref><ref>Byer NE. The natural history of asymptomatic retinal breaks. ''Ophthalmology''. 1982 Sep;89(9):1033-9. [https://pubmed.ncbi.nlm.nih.gov/7177568/ 연결]</ref>. RRD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액화된 유리체 젤이 있고
* 액화된 유리체 젤이 있고
* 열공의 주변에 있는 망막을 당기는 견인력
* 열공의 주변에 있는 망막을 당기는 견인력

2022년 4월 15일 (금) 03:44 판

열공 망막박리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RRD)[1] 는 망막 전층의 열공으로 생기는 망막박리이다. 열공 망막 박리에서는 유리체-망막 견인에 의해 열린 상태로 있는 망막 열공을 통하여 액화된 유리체겔이 망막하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발생 기전

망막 열공 (tear) 은 흔히 유리체-망막 견인과 연관되고, 반면에 원공 (hole) 은 국소적인 망막 위축 또는 퇴행과 관련되어 있다[2][3][4]. RRD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액화된 유리체 젤이 있고
  • 열공의 주변에 있는 망막을 당기는 견인력
  • 액화된 유리체를 망막하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열공의 존재

이 세 가지 모두가 망막 박리를 일으키는 데 필요하다. 가령, 열공이나 원공이 견인력이 없거나 액화된 유리체가 없는 상태에서 존재한다면 망막 박리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는 나이가 적을수록 빈도가 낮게 나타나는 사실에서 확인될 수 있다. 그리고 사후 안조직 검사에서 안구의 5~10%에서 열공만 존재하고 박리가 관찰되지 않은 사실에서도 확인될 수 있다[5].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Byer NE. Clinical study of retinal breaks. Trans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1967 May-Jun;71(3):461-73. 연결
  3. Byer NE. Prognosis of asymptomatic retinal breaks. Arch Ophthalmol. 1974 Sep;92(3):208-10. 연결
  4. Byer NE. The natural history of asymptomatic retinal breaks. Ophthalmology. 1982 Sep;89(9):1033-9. 연결
  5. OKUN E. Gross and microscopic pathology in autopsy eyes. III. Retinal breaks wo RD. AJO. 1961 Mar;51:369-91.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