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 교정 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기전 |
잔글 →기전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각막 교정 렌즈 (orthokeratology lens; OK lens)'''{{콘택트렌즈}}<ref>최진석, 각막 굴절 교정 렌즈 처방의 원리와 치료 효과, J Korean Med Assoc, 2017</ref><ref>Michael J. Lipsno et al., The Role of Orthokeratology in Myopia Control : A Review, Eye & Contact Lens, 2018</ref> 는 역기하 (reverse geometry) 디자인의 경성 산소 투과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중심 각막을 편평하게 (또는 원시의 경우 가파르게) 하여 근시와 난시를 일시적으로 교정하는 방법이다. ortho (straight) + kerato (cornea) + logy (science) 의 합성으로 직역을 하게 되면 각막을 바르게 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 |||
그 효과는 근시의 각막 굴절 수술과 유사하게 중심 각막을 편평하게 하여 안구의 굴절력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굴절 이상을 더 적은 근시로 바꾸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초점 굴절 교정, 각막 변형술, 정밀 각막 조형술, 제어 각막 교정술, 각막 굴절 치료, 시력 성형 치료 등으로도 불리워졌다. 최근에 디자인과 장비, 그리고 수면 시 착용법의 발전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특히 젊은 층에서 대중화되면서 전체 콘택트렌즈 처방의 28% 정도까지 점유하게 되었다. | 그 효과는 근시의 각막 굴절 수술과 유사하게 중심 각막을 편평하게 하여 안구의 굴절력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굴절 이상을 더 적은 근시로 바꾸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초점 굴절 교정, 각막 변형술, 정밀 각막 조형술, 제어 각막 교정술, 각막 굴절 치료, 시력 성형 치료 등으로도 불리워졌다. 최근에 디자인과 장비, 그리고 수면 시 착용법의 발전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특히 젊은 층에서 대중화되면서 전체 콘택트렌즈 처방의 28% 정도까지 점유하게 되었다. |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1998년 Tom Reim 등에 의해서 근시 -4.0~-6.0 D, 직난시 -2.0 D, 도난시 -0.75 D 까지 교정이 가능한 4-5 curved OK lens 가 개발되어 현재까지 사용되어지고 있다. 현재 국산 루시드 코리아 사의 렌즈, 미국 Contex, Dreim, Vipok, Euclid 사 등의 렌즈가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 1998년 Tom Reim 등에 의해서 근시 -4.0~-6.0 D, 직난시 -2.0 D, 도난시 -0.75 D 까지 교정이 가능한 4-5 curved OK lens 가 개발되어 현재까지 사용되어지고 있다. 현재 국산 루시드 코리아 사의 렌즈, 미국 Contex, Dreim, Vipok, Euclid 사 등의 렌즈가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 ||
== 기전 == | == 기전 == | ||
기전과 결과에 대해서는 많은 이론들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중심 각막의 얇아짐 (central corneal thinning) 과 중간주변부의 두꺼워짐 (midperiphery thickening) 이다. 많은 역기하 렌즈의 연구들에서 각막 구조의 변화는 각막의 중심 얇아짐과 중간 주변부의 깊어짐을 야기하는 주된 요소라고 하였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각막 기질의 두꺼워짐이 주된 역할을 한다고 하였으나 이는 각막 지형도 상에서 초기에 일차적인 요인이 아니라 생각되었다. | 렌즈 중심부의 곡률이 각막 중심 부분의 곡률보다 편평하여 렌즈가 각막을 압박함으로써 망막 주변부의 근시성 탈초점화를 유발하여 안축장의 확장을 지연시켜 근시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며<ref>Queirós A et al. Peripheral refraction in myopic patients after OK. ''Optom Vis Sci''. 2010 May;87(5):323-9. [https://pubmed.ncbi.nlm.nih.gov/20375751/ 연결]</ref><ref>Kang P et al. Peripheral refraction in myopic children wearing OK and RGP lenses. ''Optom Vis Sci''. 2011 Apr;88(4):476-82. [https://pubmed.ncbi.nlm.nih.gov/21317669/ 연결]</ref>, 현재 근시의 비약물적 억제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ref>Cho P et al. Myopia and OK for myopia control. ''Clin Exp Optom''. 2019 Jul;102(4):364-377. [https://pubmed.ncbi.nlm.nih.gov/30380591/ 연결]</ref>. | ||
기전과 결과에 대해서는 많은 이론들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중심 각막의 얇아짐 (central corneal thinning) 과 중간주변부의 두꺼워짐 (midperiphery thickening) 이다<ref>Swarbrick HA. OK review and update. ''Clin Exp Optom''. 2006 May;89(3):124-43. [https://pubmed.ncbi.nlm.nih.gov/16637967/ 연결]</ref>. 많은 역기하 렌즈의 연구들에서 각막 구조의 변화는 각막의 중심 얇아짐과 중간 주변부의 깊어짐을 야기하는 주된 요소라고 하였다<ref>Swarbrick HA et al. Corneal response to OK. Optom Vis Sci. 1998 Nov;75(11):791-9. [https://pubmed.ncbi.nlm.nih.gov/9848832/ 연결]</ref>. 또 다른 연구에서는 각막 기질의 두꺼워짐이 주된 역할을 한다고 하였으나 이는 각막 지형도 상에서 초기에 일차적인 요인이 아니라 생각되었다. | |||
소아에서 장기적으로 안축장 성장을 유의하게 억제함도 보고되었다. Hiraoka et al<ref>Hiraoka T et al. Long-term effect of overnight OK on AL elongation in childhood myopia : a 5-year FU study. IOVS. 2012 Jun 22;53(7):3913-9. [https://pubmed.ncbi.nlm.nih.gov/22577080/ 연결]</ref> 은 5년 경과 관찰 기간 동안의 렌즈군과 안경군의 안축장 변화는 각각 0.99±0.47 mm, 1.41±0.68 mm 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p=0.024, unpaired t-test). 국내에서도 Kim et al<ref>Kim TH et al. Comparative effect of spectacles and OK lenses on axial elongation in children with mild‐to‐moderate myopia. JKOS 2018;59:1009-16.</ref> 이 1년 경과 관찰 기간 동안 안축장 변화 값을 렌즈군에서 0.24±0.29 mm, 안경군에서 0.42±0.20 mm 로 보고한 바 있다. | 소아에서 장기적으로 안축장 성장을 유의하게 억제함도 보고되었다. Hiraoka et al<ref>Hiraoka T et al. Long-term effect of overnight OK on AL elongation in childhood myopia : a 5-year FU study. IOVS. 2012 Jun 22;53(7):3913-9. [https://pubmed.ncbi.nlm.nih.gov/22577080/ 연결]</ref> 은 5년 경과 관찰 기간 동안의 렌즈군과 안경군의 안축장 변화는 각각 0.99±0.47 mm, 1.41±0.68 mm 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p=0.024, unpaired t-test). 국내에서도 Kim et al<ref>Kim TH et al. Comparative effect of spectacles and OK lenses on axial elongation in children with mild‐to‐moderate myopia. JKOS 2018;59:1009-16.</ref> 이 1년 경과 관찰 기간 동안 안축장 변화 값을 렌즈군에서 0.24±0.29 mm, 안경군에서 0.42±0.20 mm 로 보고한 바 있다. | ||
| 16번째 줄: | 18번째 줄: | ||
== 디자인의 종류 == | == 디자인의 종류 == | ||
* 시력 형성 치료 (Vision Shaping treatment; VST) | * 시력 형성 치료 (Vision Shaping treatment; VST) | ||
** Contex | ** Contex OK® E-System (Contex, Inc, Sherman Oaks, CA, USA) | ||
** BE lens | ** BE lens | ||
** DreamLens | ** DreamLens | ||
** Euclid Systems Corporatin : Emerald Design | ** Euclid Systems Corporatin : Emerald Design (Emerald Ortho-K®, Euclid Systems Corp, Herndon, VA, USA) | ||
* [[각막 굴절 치료]] (Corneal Refractive therapy; CRT) | * [[각막 굴절 치료]] (Corneal Refractive therapy; CRT) | ||
* [[LK 렌즈]] (Lucid Korea | * [[LK 렌즈]] (Lucid Korea Lens®, Lucid Korea, Seoul, Korea) | ||
* Fargo 렌즈 (GP Specialists Ltd®, San Diego, CA, USA) | |||
== 적응증 == | == 적응증 == | ||
| 41번째 줄: | 44번째 줄: | ||
== 착용의 실제 == | == 착용의 실제 == | ||
[[각막 교정 렌즈/처방]] 참고 | |||
== 착용 후 문제 == | == 착용 후 문제 == | ||
[[각막 교정 렌즈/문제]] 참고 | |||
== 추적 관찰 및 사후 관리 == | == 추적 관찰 및 사후 관리 == | ||
| 117번째 줄: | 61번째 줄: | ||
동양인의 각막은 그 크기가 서양에 비해 조금 작거나, 같은 비구면도라도 각막 형태 검사에서 차이가 나므로 서양 사람의 눈과 다르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최근 토릭 렌즈의 영역이 확대되어 난시가 심한 눈에서도 만족스러운 피팅을 얻고 있다. 원시나 노안에 대한 OK 렌즈도 개발되어 있고, 또한 치료 영역의 넓이를 줄이고 BC에 비구면도를 가입하며 역기하 커브와 정렬 커브 디자인을 조정하여 고도 근시에도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이렇듯 새로운 영역의 OK 렌즈의 개발에 따라 앞으로도 점차 활용도와 피팅 영역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동양인의 각막은 그 크기가 서양에 비해 조금 작거나, 같은 비구면도라도 각막 형태 검사에서 차이가 나므로 서양 사람의 눈과 다르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최근 토릭 렌즈의 영역이 확대되어 난시가 심한 눈에서도 만족스러운 피팅을 얻고 있다. 원시나 노안에 대한 OK 렌즈도 개발되어 있고, 또한 치료 영역의 넓이를 줄이고 BC에 비구면도를 가입하며 역기하 커브와 정렬 커브 디자인을 조정하여 고도 근시에도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이렇듯 새로운 영역의 OK 렌즈의 개발에 따라 앞으로도 점차 활용도와 피팅 영역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
{{참고}}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