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원공 개존: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난원공 개존 (patent foramen ovale, PFO)''' 은 심방간 중격의 발생학적 결손으로 인해 출생 후에도 난원공이 폐쇄되지 않은 상태로, 성인의 15...)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난원공 개존 (patent foramen ovale, PFO)''' 은 심방간 중격의 발생학적 결손으로 인해 출생 후에도 난원공이 폐쇄되지 않은 상태로, 성인의 15‐35%에서 발견되며 대부분 성인에서 특별한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으며 정상의 변이 형태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최근 경식도 심초음파 및 경두개 도플러 (transcranial doppler) 등 비침습적 진단 기법의 발달로 인해 PFO가 다른 방법으로 설명되지 않는 색전성 뇌경색 환자에서 정맥 혈전이 PFO를 통해 좌, 우심방 사이에 걸쳐 있는 기이성 색전증 (paradoxical embolism) 의 경로로 알려지면서 중요한 임상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ref>Teshome MK et al. PFO : A Comprehensive Review. ''Curr Probl Cardiol''. 2020 Feb;45(2):100392. [https://pubmed.ncbi.nlm.nih.gov/30327131/ 연결]</ref>. | '''난원공 개존 (patent foramen ovale, PFO)''' 은 심방간 중격의 발생학적 결손으로 인해 출생 후에도 난원공이 폐쇄되지 않은 상태로, 성인의 15‐35%에서 발견되며 대부분 성인에서 특별한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으며 정상의 변이 형태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최근 경식도 심초음파 및 경두개 도플러 (transcranial doppler) 등 비침습적 진단 기법의 발달로 인해 PFO가 다른 방법으로 설명되지 않는 색전성 뇌경색 환자에서 정맥 혈전이 PFO를 통해 좌, 우심방 사이에 걸쳐 있는 기이성 색전증 (paradoxical embolism) 의 경로로 알려지면서 중요한 임상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ref>Teshome MK et al. PFO : A Comprehensive Review. ''Curr Probl Cardiol''. 2020 Feb;45(2):100392. [https://pubmed.ncbi.nlm.nih.gov/30327131/ 연결]</ref>. | ||
{{참고}} |
2022년 4월 18일 (월) 13:14 판
난원공 개존 (patent foramen ovale, PFO) 은 심방간 중격의 발생학적 결손으로 인해 출생 후에도 난원공이 폐쇄되지 않은 상태로, 성인의 15‐35%에서 발견되며 대부분 성인에서 특별한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으며 정상의 변이 형태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최근 경식도 심초음파 및 경두개 도플러 (transcranial doppler) 등 비침습적 진단 기법의 발달로 인해 PFO가 다른 방법으로 설명되지 않는 색전성 뇌경색 환자에서 정맥 혈전이 PFO를 통해 좌, 우심방 사이에 걸쳐 있는 기이성 색전증 (paradoxical embolism) 의 경로로 알려지면서 중요한 임상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