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모체: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섬모체 (ciliary body)'''{{녹내장}} 는 포도막의 일부분으로서 홍채와 맥락막 사이에 위치한다. 섬모체의 단면은 직각 삼각형의 형태를 보인다. 섬모체는 앞쪽으로는 공막 돌기에 부착하고 뒤에서는 톱니 둘레와 연결되며, 근육, 혈관, 그리고 상피로 구성된다. | '''섬모체 (ciliary body)'''{{녹내장}} 는 포도막의 일부분으로서 홍채와 맥락막 사이에 위치한다. 섬모체의 단면은 직각 삼각형의 형태를 보인다. 섬모체는 앞쪽으로는 공막 돌기에 부착하고 뒤에서는 톱니 둘레와 연결되며, 근육, 혈관, 그리고 상피로 구성된다. | ||
== 구조 == | == 해부학적 구조 == | ||
=== [[섬모체근]] === | === [[섬모체근]] === | ||
=== 섬모체 혈관 === | === 섬모체 혈관 ===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내층 : 색소상피로서 입방세포이다. | * 내층 : 색소상피로서 입방세포이다. | ||
* 외층 : 무색소상피로서 원주세포이다. | * 외층 : 무색소상피로서 원주세포이다. | ||
== 조직학적 구조 == | |||
각각의 섬모체 돌기는 모세혈관,간질 그리고 상피로 구성되어 있다. | |||
=== 모세혈관 === | |||
섬모체 돌기의 중심부에 있으며,내피는 얇고 색소상피로 향한 창 (fenestra) 을 갖고있다. 모세혈관의 내피는 혈관주위세포를 포함하는 바닥막으로 둘러 싸여 있다. | |||
=== 간질 === | |||
간질은 매우 얇으며 모세혈관을 둘러싼다. 점액다당질 (mucopolysaccharide), 단백질 그리고 혈장의 용질로 이루어진 기저 물질,아교원 섬유(collagen fibril) 그리고 자유세포 (wandering cell) 로 구성된다. | |||
=== 상피 === | |||
* 색소상피 : 세포질 내에 많은 멜라닌 과립이 있는 낮은 입방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아교질과 탄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정형의 바닥막이 간질 쪽에 존재한다. | |||
* 무색소상피 : 내경계막이라고도 불리는,원섬유로 구성된 바닥막에 의해 방수와 경계를 이룬다. | |||
세포질 내에는 많은 수의 사립체와 거친면 (rough surface) 및 활면 (smooth surface) 세포질그물(endoplasmic reticulum) 이 있으며 이것은 세포의 신진대사가 높고 활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포막은 많은 수의 기저 주름과 회선상의 측면 주름을 갖고 있다. 무색소상피세포와 색소상피세포에 는 desmosome, gap junction, puncta adherentia 그리고 tight junction 등 여 러 종류의 세포간 연결이 존재한다. Tight junction은 무색소상피세포의 상층부 주위에 항상 존재한다. Gap junction은 색소상피세포들의 측면 사이에서 많이 발견되고 무색소상피세포들의 즉면 사이에서는 적게 발견된다. Gap junction 과 puncta adherentia은 색소상피세포와 무색소상피세포 사이에 존재한다. Desmosome은 주로 무색소상피세포들의 측면 사이 에서 발견된다. | |||
섬유주 상피세포는 iodopyracet,p-aminohippurate,그리고 프로스타글란딘 같은 물질들을 방수에서 직접 제거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 |||
{{참고}} | {{참고}} |
2022년 4월 30일 (토) 08:50 판
섬모체 (ciliary body)[1] 는 포도막의 일부분으로서 홍채와 맥락막 사이에 위치한다. 섬모체의 단면은 직각 삼각형의 형태를 보인다. 섬모체는 앞쪽으로는 공막 돌기에 부착하고 뒤에서는 톱니 둘레와 연결되며, 근육, 혈관, 그리고 상피로 구성된다.
해부학적 구조
섬모체근
섬모체 혈관
안동맥으로부터 분지된 긴뒤섬모체동맥 (long posterior ciliary artery) 과 앞섬모체동맥 (anterior ciliary artery) 이 홍채 뿌리 가까이 에서 합류하여 대흥채동맥륜 (major arterial circle of iris) 을 형성하며 이것으로부터 많은 소동맥이 분지되어 나와 섬모체에 혈액을 공급한다. 이 소동맥들은 조임근을 가지고 있으며 이 조임근이 혈액 공급과 방수 생산을 조절한다. 영장류에서 행한 혈관주조법 (vascular casting technique) 에 의한 연구에 의하면 동맥륜은 최소한 3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앞섬모체동맥이 공막 표면에서 측방 분지 (lateral branch) 를 내어 주위의 앞섬모체동맥의 분지와 상공막륜 (episcleral circle) 을 형성하며,섬모체근 내에서는 앞섬모체동맥의 분지가 긴뒤섬모체동맥의 분지와 합류하여 근육내륜 (intramuscular circle) 을 형성하고,마지막으로 대홍채동맥륜을 형성한다.
영장류의 섬모체돌기는 대홍채동맥륜의 두 가지 종류의 분지 즉 앞섬모체돌기 소동맥 (anterior ciliary process arteriole) 과 뒤섬모체돌기 소동맥 (posterior ciliary process arteriole) 으로부터 혈류 공급을 받는다. 앞섬모체돌기 소동맥은 대섬모체돌기의 앞부분과 주변부에 혈류를 공급한다. 이 혈관에는 돌기 내에서 불규칙하게 확장된 모세혈관이 형성되기 전에 앞모세혈관 조임근으로 생각되는 협착 부위가 존재하는데,이 부위가 교감신경이 작용하여 혈류 조절을 통하여 방수 생산을 조절하는 곳으로 여겨진다. 뒤섬모체돌기 소동맥은 대섬모체돌기의 중심부,기저부 그리고 후부와 소섬모체돌기의 전체를 공급한다. 정맥혈은 맥락막 정맥으로 유입된다.
섬모체 상피
두 층의 상피가 섬모체 돌기와 평면부의 내면을 덮는다.
- 내층 : 색소상피로서 입방세포이다.
- 외층 : 무색소상피로서 원주세포이다.
조직학적 구조
각각의 섬모체 돌기는 모세혈관,간질 그리고 상피로 구성되어 있다.
모세혈관
섬모체 돌기의 중심부에 있으며,내피는 얇고 색소상피로 향한 창 (fenestra) 을 갖고있다. 모세혈관의 내피는 혈관주위세포를 포함하는 바닥막으로 둘러 싸여 있다.
간질
간질은 매우 얇으며 모세혈관을 둘러싼다. 점액다당질 (mucopolysaccharide), 단백질 그리고 혈장의 용질로 이루어진 기저 물질,아교원 섬유(collagen fibril) 그리고 자유세포 (wandering cell) 로 구성된다.
상피
- 색소상피 : 세포질 내에 많은 멜라닌 과립이 있는 낮은 입방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아교질과 탄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정형의 바닥막이 간질 쪽에 존재한다.
- 무색소상피 : 내경계막이라고도 불리는,원섬유로 구성된 바닥막에 의해 방수와 경계를 이룬다.
세포질 내에는 많은 수의 사립체와 거친면 (rough surface) 및 활면 (smooth surface) 세포질그물(endoplasmic reticulum) 이 있으며 이것은 세포의 신진대사가 높고 활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포막은 많은 수의 기저 주름과 회선상의 측면 주름을 갖고 있다. 무색소상피세포와 색소상피세포에 는 desmosome, gap junction, puncta adherentia 그리고 tight junction 등 여 러 종류의 세포간 연결이 존재한다. Tight junction은 무색소상피세포의 상층부 주위에 항상 존재한다. Gap junction은 색소상피세포들의 측면 사이에서 많이 발견되고 무색소상피세포들의 즉면 사이에서는 적게 발견된다. Gap junction 과 puncta adherentia은 색소상피세포와 무색소상피세포 사이에 존재한다. Desmosome은 주로 무색소상피세포들의 측면 사이 에서 발견된다. 섬유주 상피세포는 iodopyracet,p-aminohippurate,그리고 프로스타글란딘 같은 물질들을 방수에서 직접 제거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참고
- ↑ 녹내장 개정 7판, 2023 (한국 녹내장 학회, 최신 의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