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네졸리드: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리네졸리드 (linezolid)''' 는 21세기 초에 심각한 술후 염증, 연부 조직 감염, 생명을 위협하는 그람 양성 균의 감염에 임상적 첫 사용 이후...) |
잔글 (→부작용)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부작용 == | == 부작용 == | ||
골수억제, 말초 신경병증 등 부작용들도 알려지고 있으며, 그중 리네졸리드로 유발된 미토콘드리아 손상에 의한 시신경병증은 신경계부작용 중의 하나이다<ref>Pilania RK et al. Linezolid-induced mitochondrial toxicity presenting as RNFL microcysts and optic and peripheral neuropathy in a patient w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Retin Cases Brief Rep''. 2021 May 1;15(3):224-229. [https://pubmed.ncbi.nlm.nih.gov/30048406/ 연결]</ref>. | 골수억제, 말초 신경병증 등 부작용들도 알려지고 있으며, 그중 리네졸리드로 유발된 미토콘드리아 손상에 의한 시신경병증은 신경계부작용 중의 하나이다<ref>Pilania RK et al. Linezolid-induced mitochondrial toxicity presenting as RNFL microcysts and optic and peripheral neuropathy in a patient w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Retin Cases Brief Rep''. 2021 May 1;15(3):224-229. [https://pubmed.ncbi.nlm.nih.gov/30048406/ 연결]</ref>. | ||
=== 시신경병증 === | |||
기전은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미토콘드리아 호흡 연쇄 효소 활성에 영향을 주어 세포 자멸을 유발하는 것이다.<ref>Garrabou G et al. Influence of Mitochondrial Genetics on the Mitochondrial Toxicity of Linezolid in Blood Cells and Skin Nerve Fiber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17 Aug 24;61(9):e00542-17. [https://pubmed.ncbi.nlm.nih.gov/28674062/ 연결]</ref><ref>De Vriese AS et al. Linezolid-induced inhibition of mitochondrial protein synthesis. ''Clin Infect Dis''. 2006 Apr 15;42(8):1111-7. [https://pubmed.ncbi.nlm.nih.gov/16575728/ 연결]</ref>. 이러한 리네졸리드의 미토콘드리아 호흡 연쇄 효소 활성 감소는 이차적으로 망막 신경절세포에 손상을 주며 결과적으로 시신경병증을 유발하는 것이다<ref>박수진 등, 클로로페나피르 음독 후 발생한 독성 시신경병증 1예, ''JKOS'' 2018;59(11):1097-1102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9886 연결]</ref>. | |||
안구 내 사상판전 망막신경섬유층 (RNFL) 은 망막의 투명도를 유지하기 위해 무수신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무수신경은 신호 전달에 있어서 | |||
유수신경보다 속도가 느리므로 신호 전달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며 이러한 에너지 공급을 위하여 미토콘드리아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ref>Wang L et al. Varicosities of intraretinal ganglion cell axons in human and nonhuman primates. ''IOVS''. 2003 Jan;44(1):2-9. [https://pubmed.ncbi.nlm.nih.gov/12506048/ 연결]</ref>. 따라서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세포 사멸을 야기하는 리네졸리드는 사상판전 RNFL에 손상을 주고 이차적으로 시신경병증을 일으키는 것이다. | |||
== 주의 == | |||
리네졸리드의 사용 안정성은 28일 이전까지 인정을 받았다<ref>Perry CM et al. Linezolid : a review of its use in the management of serious gram-positive infections. ''Drugs''. 2001;61(4):525-51. [https://pubmed.ncbi.nlm.nih.gov/11324682/ 연결]</ref>. 따라서 28일 이상 사용 시 안정성에 대해 장담할 수 없고 장기간 약물을 사용해야 하는 결핵 치료에서 특히 시신경병증 유발 가능성에 대해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국내의 증례에서도 9개월 이상 리네졸리드를 사용한 환자에서 시신경병증이 발생하였다<ref>윤요셉 등, 리네졸리드 복용 후 발생한 시신경병증, ''JKOS''. 2019;60(12):1363-136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9668 연결]</ref>. | |||
{{참고}} | {{참고}} |
2022년 5월 31일 (화) 14:40 기준 최신판
리네졸리드 (linezolid) 는 21세기 초에 심각한 술후 염증, 연부 조직 감염, 생명을 위협하는 그람 양성 균의 감염에 임상적 첫 사용 이후 여러 감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다제내성 결핵 치료에서 좋은 효과를 보고 있다[1].
부작용
골수억제, 말초 신경병증 등 부작용들도 알려지고 있으며, 그중 리네졸리드로 유발된 미토콘드리아 손상에 의한 시신경병증은 신경계부작용 중의 하나이다[2].
시신경병증
기전은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미토콘드리아 호흡 연쇄 효소 활성에 영향을 주어 세포 자멸을 유발하는 것이다.[3][4]. 이러한 리네졸리드의 미토콘드리아 호흡 연쇄 효소 활성 감소는 이차적으로 망막 신경절세포에 손상을 주며 결과적으로 시신경병증을 유발하는 것이다[5].
안구 내 사상판전 망막신경섬유층 (RNFL) 은 망막의 투명도를 유지하기 위해 무수신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무수신경은 신호 전달에 있어서 유수신경보다 속도가 느리므로 신호 전달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며 이러한 에너지 공급을 위하여 미토콘드리아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6]. 따라서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세포 사멸을 야기하는 리네졸리드는 사상판전 RNFL에 손상을 주고 이차적으로 시신경병증을 일으키는 것이다.
주의
리네졸리드의 사용 안정성은 28일 이전까지 인정을 받았다[7]. 따라서 28일 이상 사용 시 안정성에 대해 장담할 수 없고 장기간 약물을 사용해야 하는 결핵 치료에서 특히 시신경병증 유발 가능성에 대해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국내의 증례에서도 9개월 이상 리네졸리드를 사용한 환자에서 시신경병증이 발생하였다[8].
참고
- ↑ Lee M et al. Linezolid for treatment of chronic extensively drug-resistant tuberculosis. NEJM. 2012 Oct 18;367(16):1508-18. 연결
- ↑ Pilania RK et al. Linezolid-induced mitochondrial toxicity presenting as RNFL microcysts and optic and peripheral neuropathy in a patient w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Retin Cases Brief Rep. 2021 May 1;15(3):224-229. 연결
- ↑ Garrabou G et al. Influence of Mitochondrial Genetics on the Mitochondrial Toxicity of Linezolid in Blood Cells and Skin Nerve Fiber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17 Aug 24;61(9):e00542-17. 연결
- ↑ De Vriese AS et al. Linezolid-induced inhibition of mitochondrial protein synthesis. Clin Infect Dis. 2006 Apr 15;42(8):1111-7. 연결
- ↑ 박수진 등, 클로로페나피르 음독 후 발생한 독성 시신경병증 1예, JKOS 2018;59(11):1097-1102 연결
- ↑ Wang L et al. Varicosities of intraretinal ganglion cell axons in human and nonhuman primates. IOVS. 2003 Jan;44(1):2-9. 연결
- ↑ Perry CM et al. Linezolid : a review of its use in the management of serious gram-positive infections. Drugs. 2001;61(4):525-51. 연결
- ↑ 윤요셉 등, 리네졸리드 복용 후 발생한 시신경병증, JKOS. 2019;60(12):1363-1368.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