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7번째 줄: |
7번째 줄: |
| }} | | }} |
| == 연구 == | | == 연구 == |
| * [[ARTEMIS 1]] (2020)<ref>Medeiros FA et al; ARTEMIS 1 Study Group. P3, Randomized, 20m Study of Bimatoprost Implant in OAG and OHTN (ARTEMIS 1). ''Ophthalmology''. 2020 Dec;127(12):1627-1641. [https://pubmed.ncbi.nlm.nih.gov/32544560/ 연결]</ref> | | * [[ARTEMIS 1 (2020)]]<ref>Medeiros FA et al; ARTEMIS 1 Study Group. P3, Randomized, 20m Study of Bimatoprost Implant in OAG and OHTN (ARTEMIS 1). ''Ophthalmology''. 2020 Dec;127(12):1627-1641. [https://pubmed.ncbi.nlm.nih.gov/32544560/ 연결]</ref> |
| * [[ARTEMIS 2]] (2021) | | * [[ARTEMIS 2 (2021)]] |
| {{참고}} | | {{참고}} |
2022년 6월 1일 (수) 09:35 기준 최신판
듀리스타 (Durysta ™)[1] (Allergan plc, Dublin, Ireland) 는 비마토프로스트의 전방내 이식물로 개방각 녹내장 (OAG) 과 고안압 (OHTN) 에 대해 사용하도록 2020년 3월에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았다.
모양
400×1,100㎛ 막대 모양의 삽입물, 28G 전방내 주사기
연구
참고
- ↑ 녹내장 개정 7판, 2023 (한국 녹내장 학회, 최신 의학사)
- ↑ Medeiros FA et al; ARTEMIS 1 Study Group. P3, Randomized, 20m Study of Bimatoprost Implant in OAG and OHTN (ARTEMIS 1). Ophthalmology. 2020 Dec;127(12):1627-1641.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