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조짐 편두통: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무조짐 편두통 (migraine without aura)'''{{신경안과}} == 역학 == 편두통 중 가장 흔한 형태이다. == 증상 == 두통 발작이 4~72시간 동안 지속되...) |
잔글 (→진단 기준)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증상 == | == 증상 == | ||
두통 발작이 4~72시간 동안 지속되며, 약제의 빈번한 사용으로 인해 심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결국 약제 과용으로 의한 두통을 유발하기도 하므로 복용 약제에 대해 자세히 파악해야 한다. | 두통 발작이 4~72시간 동안 지속되며, 약제의 빈번한 사용으로 인해 심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결국 약제 과용으로 의한 두통을 유발하기도 하므로 복용 약제에 대해 자세히 파악해야 한다. | ||
== 진단 기준 == | == IHS 진단 기준 == | ||
다음 1~4번을 만족시키는 5번 이상의 발작 | 다음 1~4번을 만족시키는 5번 이상의 발작 | ||
# 4~72시간 동안 지속되는 두통이 한 달에 15일 미만에서 발생 | # 4~72시간 동안 지속되는 두통이 한 달에 15일 미만에서 발생 |
2022년 6월 11일 (토) 14:57 기준 최신판
무조짐 편두통 (migraine without aura)[1]
역학
편두통 중 가장 흔한 형태이다.
증상
두통 발작이 4~72시간 동안 지속되며, 약제의 빈번한 사용으로 인해 심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결국 약제 과용으로 의한 두통을 유발하기도 하므로 복용 약제에 대해 자세히 파악해야 한다.
IHS 진단 기준
다음 1~4번을 만족시키는 5번 이상의 발작
- 4~72시간 동안 지속되는 두통이 한 달에 15일 미만에서 발생
- 다음 중 두 가지 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두통
- 일측성
- 박동성
- 중등도~중증의 통증 강도
- 일상적인 신체 활동 (걷기, 계단 오르기 등) 으로 심해지거나 회피하게 됨
- 두통이 있는 동안 다음 중 한 가지 이상이 나타남
- 구역, 구토
- 눈부심, 소리 공포증
- 두통의 다른 원인이 없는 경우
참고
- ↑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