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모음 후퇴 눈떨림: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눈모음 후퇴 눈떨림 (convergence retraction nystagmus) == 원인 == <span style='color:blue;'>뒤맞교차를 손상하는 중뇌의 병변</span>, 예를 들면 송과체종...)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눈모음 후퇴 눈떨림 (convergence retraction nystagmus)
'''눈모음 후퇴 눈떨림 (convergence retraction nystagmus)'''{{신경안과}}
== 원인 ==
== 원인 ==
<span style='color:blue;'>뒤맞교차를 손상하는 중뇌의 병변</span>, 예를 들면 송과체종이나 위쪽 중뇌의 경색이 있을 때 발생한다.
<span style='color:blue;'>뒤맞교차를 손상하는 중뇌의 병변</span>, 예를 들면 송과체종이나 위쪽 중뇌의 경색이 있을 때 발생한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span style='color:blue;'>신속하게 위를 올려볼 때 양안의 눈모음과 후퇴</span>가 일어난다. 대개 상향 추종 운동이나 신속 운동에 장애가 있으나, 때로는 상향 추종 운동이 정상일 수도 있다. 수평 신속 운동 때 외전되는 눈의 가성 외향신경 마비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눈모음의 신경 지배가 많아져서 수평 신속 운동 때 외전이 느리기 때문이다. 동공 대광-근접 반사 해리, Collier 징후 (상방 주시 때 같은쪽 눈꺼풀 후퇴) 를 보일 수 있다.
<span style='color:blue;'>신속하게 위를 올려볼 때 양안의 눈모음과 후퇴</span>가 일어난다. 대개 상향 추종 운동이나 신속 운동에 장애가 있으나, 때로는 상향 추종 운동이 정상일 수도 있다. 수평 신속 운동 때 외전되는 눈의 가성 외향신경 마비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눈모음의 신경 지배가 많아져서 수평 신속 운동 때 외전이 느리기 때문이다. 동공 [[대광-근접 반사 해리]], Collier 징후 (상방 주시 때 같은쪽 눈꺼풀 후퇴) 를 보일 수 있다.
== 검사 및 진단 ==
== 검사 및 진단 ==
시운동 드럼이나 테이프로 검사할 수 있다. 테이프나 드럼을 아래로 움직이면 아래로 느린 추종운동이 일어나고 위로의 빠른 단계에서 눈모음과 안구 후퇴가 일어난다.
시운동 드럼이나 테이프로 검사할 수 있다. 테이프나 드럼을 아래로 움직이면 아래로 느린 추종운동이 일어나고 위로의 빠른 단계에서 눈모음과 안구 후퇴가 일어난다.
{{참고}}

2022년 6월 12일 (일) 07:10 기준 최신판

눈모음 후퇴 눈떨림 (convergence retraction nystagmus)[1]

원인

뒤맞교차를 손상하는 중뇌의 병변, 예를 들면 송과체종이나 위쪽 중뇌의 경색이 있을 때 발생한다.

임상 소견

신속하게 위를 올려볼 때 양안의 눈모음과 후퇴가 일어난다. 대개 상향 추종 운동이나 신속 운동에 장애가 있으나, 때로는 상향 추종 운동이 정상일 수도 있다. 수평 신속 운동 때 외전되는 눈의 가성 외향신경 마비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눈모음의 신경 지배가 많아져서 수평 신속 운동 때 외전이 느리기 때문이다. 동공 대광-근접 반사 해리, Collier 징후 (상방 주시 때 같은쪽 눈꺼풀 후퇴) 를 보일 수 있다.

검사 및 진단

시운동 드럼이나 테이프로 검사할 수 있다. 테이프나 드럼을 아래로 움직이면 아래로 느린 추종운동이 일어나고 위로의 빠른 단계에서 눈모음과 안구 후퇴가 일어난다.

참고

  1.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